영어성경묵상

영어성경묵상

교황님의 미사 강론(2025.09.07)

최고관리자
2025.09.13 11:00 132 0

본문

Holy Mass with Canonizations of the Blesseds: PIER GIORGIO FRASSATI and CARLO ACUTIS, PAPAL MASS, HOMILY OF HIS HOLINESS POPE LEO XIV, St. Peter's Square, 23rd Sunday in Ordinary Time, 7 September 2025

Dear brothers and sisters, In the first reading, we heard a question: [Lord,] “who has learned your counsel, unless you have given wisdom and sent your holy spirit from on high?” (Wis 9:17). This question comes after two young Blesseds, Pier Giorgio Frassati and Carlo Acutis, were proclaimed saints, and this is providential because in the Book of Wisdom, this question is attributed to a young man like them: King Solomon. Upon the death of his father David, he realized that he had many things: power, wealth, health, youth, beauty, and the entire kingdom. It was precisely this great abundance of resources that raised a question in his heart: “What must I do so that nothing is lost?” Solomon understood that the only way to find an answer was to ask God for an even greater gift, that of his wisdom, so that he might know God’s plans and follow them faithfully. He realized, in fact, that only in this way would everything find its place in the Lord’s great plan. Yes, because the greatest risk in life is to waste it outside of God’s plan.

복자들 (피에르 조르지오 프라사티와 카를로 아쿠티스)의 시성식을 거행하는 거룩한 미사, 레오 14세 교황님의 강론, 성 베드로 광장, 연중 제23주일, 2025년 9월 7일

사랑하는 형제자매 여러분, 제1독서에서 우리는 다음과 같은 질문을 들었습니다. [주님,] “당신께서 지혜를 주지 않으시고 그 높은 곳에서 당신의 거룩한 영을 보내지 않으시면 누가 당신의 뜻을 깨달을 수 있겠습니까?” (지혜 9,17) 이 질문은 두 젊은 복자, 피에르 조르조 프라사티와 카를로 아쿠티스가 성인으로 선포된 후에 나옵니다. 이는 섭리적입니다. 왜냐하면 지혜서에서 이는 그들과 같은 젊은이 즉 솔로몬 왕에게 주어진 질문이기 때문입니다. 아버지 다윗이 죽자 솔로몬 왕은 자신이 권력, 부, 건강, 젊음, 아름다움, 그리고 온 왕국을 가지고 있음을 깨닫습니다. 바로 이 풍성한 자원이 그의 마음속에 “아무것도 잃지 않으려면 나는 어떻게 해야 하지?”을 제기했습니다. 솔로몬은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찾는 유일한 방법은 하느님께 더 큰 선물, 곧 하느님의 지혜를 간청하는 것임을 알았고, 그렇게 함으로써 하느님의 계획을 알고 그 계획을 충실히 따를 수 있었습니다. 사실, 그는 오직 이렇게 함으로써만 모든 것이 주님의 위대한 계획안에서 제자리를 찾을 수 있음을 깨달았습니다. 그렇습니다. 인생에서 가장 큰 위험은 하느님의 계획 밖에서 삶을 낭비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Jesus, too, in the Gospel, speaks to us of a plan to which we must commit wholeheartedly. He says: “Whoever does not carry the cross and follow me cannot be my disciple” (Lk 14:27); and again: “none of you can become my disciple if you do not give up all your possessions” (v. 33). He calls us to abandon ourselves without hesitation to the adventure that he offers us, with the intelligence and strength that comes from his Spirit, that we can receive to the extent that we empty ourselves of the things and ideas to which we are attached, in order to listen to his word.

예수님께서도 복음에서 우리가 온 마음을 다해 시행해야 할 계획에 대해 말씀하십니다. 그분은 “누구든지 제 십자가를 짊어지고 내 뒤를 따라오지 않는 사람은 내 제자가 될 수 없다.” (루카 14,27) 그리고 다시 “이와 같이 너희 가운데에서 누구든지 자기 소유를 다 버리지 않는 사람은 내 제자가 될 수 없다.“ (33절) 라고 말씀하십니다. 예수님께서는, 우리가 예수님의 말씀을 경청하기 위해서, 그분께서 우리에게 제시하시는 모험에 주저 없이 우리 자신을 내어 맡기고, 그분의 영으로부터 오는 지성과 힘을 우리가 집착하는 것들과 생각하는 것들을 비운만큼 받으라고 부르십니다.

Many young people, over the centuries, have had to face this crossroad in their lives. Think of Saint Francis of Assisi, like Solomon, he too was young and rich, thirsty for glory and fame. That is why he went to war, hoping to be knighted and adorned with honors. But Jesus appeared to him along the way and asked him to reflect on what he was doing. Coming to his senses, he asked God a simple question: “Lord, what do you want me to do?” (Legend of the Three Companions, cap. II: Fonti Francescane, 1401). From there, he changed his life and began to write a different story: the wonderful story of holiness that we all know, stripping himself of everything to follow the Lord (cf. Lk 14:33), living in poverty and preferring the love of his brothers and sisters, especially the weakest and smallest, to his father’s gold, silver and precious fabrics.

수 세기 동안 많은 젊은이들이 그들의 삶에서 이러한 갈림길을 직면해야만 했습니다. 아시시의 성 프란치스코를 생각해 보십시오. 솔로몬처럼 그도 젊고 부유했으며, 영광과 명예에 목말랐습니다. 그래서 기사 작위를 받고 영예로운 훈장을 받기 위해 전쟁터로 나갔습니다. 그러나 예수님께서 그에게 나타나셔서 자신이 하는 일을 돌아보라고 하셨습니다. 정신을 차린 그는 하느님께 간단한 질문을 했습니다. "주님, 제가 무엇을 하기를 원하십니까?" (세 동료 전기, 제2장: 폰티 프란체스카네, 1401) 그로부터 그는 삶을 바꾸고 다른 이야기를 쓰기 시작했습니다. 우리 모두가 아는 거룩함의 놀라운 이야기, 주님을 따르기 위해 모든 것을 벗어던지고, (루카 14,33 참조) 가난하게 살면서 아버지의 금과 은, 그리고 값비싼 옷감보다 형제자매들, 특히 가장 약하고 작은이들을 더 사랑하는 이야기입니다.

How many similar saints we could recall! Sometimes we portray them as great figures, forgetting that for them it all began when, while still young, they said “yes” to God and gave themselves to him completely, keeping nothing for themselves. Saint Augustine recounts that, in the “tortuous and tangled knot” of his life, a voice deep within him said: “I want you” (Confessions, II, 10,18). God gave him a new direction, a new path, a new reason, in which nothing of his life was lost.

우리는 얼마나 많은 비슷한 성인들을 떠올릴 수 있을까요! 때때로 우리는 그들을 위대한 인물로 그리지만, 우리가 잊고 있는 것은 모든 것이 그들이 아직 젊었을 때 하느님께 “예”라고 말씀드리고, 자신을 온전히 바치고, 자신에게는 아무것도 남기지 않았을 때 시작했다는 것입니다. 성 아우구스티누스는 그것을, 그의 삶의 "꼬불꼬불하고 얽힌 매듭" 가운데 깊은 내면의 목소리가 “나는 너를 원한다.” 라고 말했다고 설명합니다. (고백록, II, 10,18) 하느님께서 그에게 새로운 방향, 새로운 길, 새로운 이유를 주셨고, 그 안에서 그의 삶은 아무것도 잃은 것이 없습니다.

In this setting, today we look to Saint Pier Giorgio Frassati and Saint Carlo Acutis: a young man from the early 20th century and a teenager from our own day, both in love with Jesus and ready to give everything for him.

이러한 맥락에서 오늘 우리는 성 피에르 조르조 프라사티와 성 카를로 아쿠티스를 바라봅니다. 20세기 초반의 청년과 우리 시대의 십 대인 두 사람은 예수님을 사랑했고 그분을 위해 모든 것을 바칠 준비가 되어 있었습니다.

Pier Giorgio encountered the Lord through school and church groups — Catholic Action, the Conferences of Saint Vincent, the FUCI (Italian Catholic University Federation), the Dominican Third Order — and he bore witness to God with his joy of living and of being a Christian in prayer, friendship and charity. This was so evident that seeing him walking the streets of Turin with carts full of supplies for the poor, his friends renamed him “Frassati Impresa Trasporti” (Frassati Transport Company)! Even today, Pier Giorgio’s life is a beacon for lay spirituality. For him, faith was not a private devotion, but it was driven by the power of the Gospel and his membership in ecclesial associations. He was also generously committed to society, contributed to political life and devoted himself ardently to the service of the poor.

피에르 조르지오는 가톨릭 액션, 성 빈센트 회의, 이탈리아 가톨릭 대학 연합(FUCI), 도미니코회 제3회 등 학교와 교회 단체를 통해 주님을 만났습니다. 그는 기도와 우정, 그리고 자선 안의 그리스도인으로 살아가는 기쁨으로 하느님을 증거했습니다. 가난한 사람들을 위한 물품을 가득 실은 카트를 끌고 토리노 거리를 걷는 그를 보고, 그의 친구들은 그를 "프라사티 임프레사 트라스포르티" (프라사티 운송 회사) 라고 불렀습니다! 오늘날에도 피에르 조르지오의 삶은 평신도 영성의 등불입니다. 그에게 신앙은 개인적인 헌신이 아니라 복음의 힘과 교회 단체들에 회원으로 가입한데서 비롯되었습니다. 그는 또한 사회에 관대하게 헌신하고, 정치 활동에 기여하며, 가난한 사람들을 위한 봉사에 열렬히 참여했습니다.

Carlo, for his part, encountered Jesus in his family, thanks to his parents, Andrea and Antonia — who are here today with his two siblings, Francesca and Michele — and then at school, and above all in the sacraments celebrated in the parish community. He grew up naturally integrating prayer, sport, study and charity into his days as a child and young man.

한편, 카를로는 부모님 안드레아와 안토니아 덕분에  - 부모님은 오늘 두 동생 프란체스카와 미켈레와 함께 이 자리에 참석하고 계십니다. - 그의 가정에서 예수님을 만났습니다. 그리고 학교에서, 그리고 무엇보다도 본당 공동체에서 거행되는 성사들을 통해 예수님을 만났습니다. 그는 어린 시절과 청년 시절 내내 자연스럽게 기도, 스포츠, 공부, 자선 활동을 하며 자랐습니다.

Both Pier Giorgio and Carlo cultivated their love for God and for their brothers and sisters through simple acts, available to everyone: daily Mass, prayer, and especially Eucharistic Adoration. Carlo used to say: “In front of the sun, you get a tan. In front of the Eucharist, you become a saint!” And again: “Sadness is looking at yourself; happiness is looking at God. Conversion is nothing more than shifting your gaze from below to above; a simple movement of the eyes is enough.” Another essential practice for them was frequent Confession. Carlo wrote: “The only thing we really have to fear is sin;” and he marveled because — in his own words — “people are so concerned with the beauty of their bodies and do not care about the beauty of their souls.” Finally, both had a great devotion to the saints and to the Virgin Mary, and they practiced charity generously. Pier Giorgio said: “Around the poor and the sick, I see a light that we do not have” (Nicola Gori, Al prezzo della vita: L’Osservatore romano, 11 February 2021). He called charity “the foundation of our religion” and, like Carlo, he practiced it above all through small, concrete gestures, often hidden, living what Pope Francis called “a holiness found in our next-door neighbors” (Apostolic Exhortation Gaudete et Exsultate, 7).

피에르 조르지오와 카를로는 누구나 할 수 있는 단순한 행위, 즉 매일 미사, 기도, 특히 성체 조배를 통해 하느님과 형제자매에 대한 사랑을 키웠습니다. 카를로는 "햇볕 앞에서는 검게 그을리고, 성체 앞에서는 성인이 됩니다!" 라고 말하곤 했습니다. 그리고 또 이렇게 말했습니다. "슬픔은 자신을 바라보는 것이고, 행복은 하느님을 바라보는 것입니다. 회개는 시선을 아래에서 위로 옮기는 것에 불과합니다. 눈의 단순한 움직임으로 충분합니다." 그들에게 또 다른 필수적인 수행은 잦은 고해성사였습니다. 카를로는 "우리가 진정으로 두려워해야 할 것은 죄뿐입니다."라고 썼고, "사람들이 육체의 아름다움에만 신경 쓰고 영혼의 아름다움에는 관심이 없는 것" 때문에 놀라워했습니다. 마지막으로, 두 사람 모두 성인과 성모 마리아에 대한 깊은 신심을 가지고 자선을 아낌없이 실천했습니다. 피에르 조르조는 이렇게 말했습니다. "가난하고 병든 이들 주변에서 저는 우리에게 없는 빛을 봅니다." (니콜라 고리, Al prezzo della vita: L’Osservatore romano, 2021년 2월 11일) 그는 자선을 "우리 종교의 기초"라고 칭했고, 카를로처럼 그도 무엇보다도 작고 구체적인 행동, 종종 숨겨진 행동을 통해 사랑을 실천했습니다. 프란치스코 교황이 "우리 이웃에게서 발견되는 거룩함" (사도 권고 〈기뻐하고 즐거워하라〉, 7항)이라고 칭한 삶을 실천했습니다.

Even when illness struck them and cut short their young lives, not even this stopped them nor prevented them from loving, offering themselves to God, blessing him and praying to him for themselves and for everyone. One day Pier Giorgio said: “The day of my death will be the most beautiful day of my life” (Irene Funghi, I giovani assieme a Frassati: un compagno nei nostri cammini tortuosi: Avvenire, 2 agosto 2025). In his last photo, which shows him climbing a mountain in the Val di Lanzo, with his face turned towards his goal, he wrote: “Upwards” (Ibid). Moreover, Carlo, who was even younger than Pier Giorgio, loved to say that heaven has always been waiting for us, and that to love tomorrow is to give the best of our fruit today.

병이 닥쳐 그들의 젊은 시절을 짧게 했을 때조차도, 이것 때문에 그들이 하느님을 사랑하고 자신을 바치고 하느님을 찬양하고 자신과 모든 이들을 위해 하느님께 기도하는 것을 멈추지 않았습니다. 어느 날 피에르 조르조는 이렇게 말했습니다. "내 죽음의 날은 내 일생의 가장 아름다운 날이 될 것입니다." (이레네 풍기, I giovani assieme a Frassati: un compagno nei nostri cammini tortuosi: Avvenire, 2025년 8월 2일) 발 디 란초의 산을 오르며 목표를 향해 얼굴을 돌린 그의 마지막 사진에서 그는 "위 로, Upwards" (같은 책) 라고 썼습니다. 더욱이, 피에르 조르조보다도 젊었던 카를로는 천국이 항상 우리를 기다리고 있으며, 내일을 사랑하는 것은 오늘 우리의 가장 좋은 열매를 맺는 것이라고 즐겨 말했습니다.

Dear friends, Saints Pier Giorgio Frassati and Carlo Acutis are an invitation to all of us, especially young people, not to squander our lives, but to direct them upwards and make them masterpieces. They encourage us with their words: “Not I, but God,” as Carlo used to say. And Pier Giorgio: “If you have God at the center of all your actions, then you will reach the end.” This is the simple but winning formula of their holiness. It is also the type of witness we are called to follow, in order to enjoy life to the full and meet the Lord in the feast of heaven.

사랑하는 벗들이여, 성 피에르 조르지오 프라사티와 성 카를로 아쿠티스는 우리 모두에게, 특히 젊은이들에게 우리의 삶을 낭비하지 말고, 우리의 삶을 위로 향하게 하여, 우리의 삶을 걸작으로 만들라는 초대입니다. 그들은 카를로가 늘 말했듯이 "내가 아니라 하느님이시여"라는 말로, 그리고 피에르 조르지오의 "모든 행동의 중심에 하느님을 모시면, 마침내 목적지에 도달할 것입니다"라는 말로 우리에게 용기를 북돋아 줍니다. 이는 그들의 거룩함의 단순하지만 설득력 있는 공식입니다. 그것은 또한 삶을 충만히 누리고 천국의 잔치에서 주님을 만나기 위해 우리가 따르도록 부름 받은 증거의 유형입니다.

한글 번역: 윤영학 아오스딩

역자 주:

카를로 아쿠티스 (1991-2006): 1991년 영국 런던 출생, 2006년 백혈병으로 사망
주요 생애: 웹 기술을 활용해 전 세계의 성체 기적을 기록한 웹사이트를 제작함, “신의 인플루언서”, 밀레니얼 성인 첫 번째“로 불리며, 특히 디지털 세대에게 깊은 영감을 줌, 통합 디지털 도구를 통해 복음을 전파한 모범 사례로 각광받음

피에르 조르조 프라사티 (1901-1925): 1901년 이태리 토리노 출생, 1925년 폴리오로 인해 24세 나이에 사망

주요 생애; 제3회 도미니코회 회원으로 청년운동 및 사회봉사 활동, 특히 가난한 이들을 위한 활동에 헌신함, 청년과 학생, 행동하는 신자들의 전형적인 모범으로 널리 존경받음.

출처: 챗지피티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