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성경묵상

영어성경묵상

교황님의 미사 강론(2025.10.19)

최고관리자
2025.10.22 13:44 86 0

본문

HOLY MASS AND CANONISATION OF THE BLESSED:

- Ignazio Choukrallah Maloyan
- Peter To Rot
- Vincenza Maria Poloni
- Maria del Monte Carmelo Rendiles Martínez
- Maria Troncatti
- José Gregorio Hernández Cisneros
- Bartolo Longo

미사와 복자들의 시성식:

- 이그나치오 추크랄라 말로얀: 아르메니아 출신 주교. 순교자
- 피터 투 로트: 파푸아뉴기니의 평신도 교리교사이자 순교자
- 빈첸차 마리아 폴로니: 이탈리아 베로나의 자선회를 설립한 수도자
- 마리아 델 몬테 카르멜로 렌딜레스 마르티네스: 베네수엘라 출신 수녀이자 자선사업가
- 마리아 트론카티: 이탈리아 출신의 선교 수녀, 에콰도르에서 활동함
- 호세 그레고리오 에르난데스 시스네로스: 베네수엘라의 “가난한 이들의 의사”로 알려진 분
- 바르톨로 롱고: 이탈리아의 법률가에서 회심하여 로사리오 전파 및 자선 활동에 헌신한 분

HOMILY OF HIS HOLINESS POPE LEO XIV, St Peter's Square, 29th Sunday in Ordinary Time, 19 October 2025

Dear brothers and sisters, Let us begin our reflection with the question that concludes the Gospel just proclaimed: “When the Son of Man comes, will he find faith on earth?” (Lk 18:8). This question reveals to us what is most precious in the Lord’s eyes: faith, namely, the bond of love between God and man. Today we have before us seven witnesses, the new Saints, who, with God’s grace, kept the lamp of faith burning. Indeed, they themselves became lamps capable of spreading the light of Christ.

레오 14세 교황님의 강론, 성 베드로 광장, 연중 제29주일, 2025년 10월 19일

사랑하는 형제자매 여러분, 방금 선포된 복음의 마지막 질문, “사람의 아들이 올 때에 이 세상에서 믿음을 찾아볼 수 있겠느냐?” (루카 18,8) 으로 우리의 묵상을 시작합시다. 이 질문은 우리에게 주님의 눈에 가장 소중한 것이 하느님과 사람 사이의 사랑의 끈인 믿음이라는 것을 드러냅니다. 오늘 우리 앞에는 일곱 증인들이 있습니다. 그들은 새로운 성인들로서 하느님의 은총으로 믿음의 등불이 계속 불타게 했습니다. 참으로 그들은 스스로 그리스도의 빛을 퍼뜨리는 등불이 되었습니다.

When we consider the great material, cultural, scientific and artistic treasures, faith shines not because these goods are to be undervalued, but because without faith they lose their meaning. Our relationship with God is of the utmost importance because at the beginning of time he created all things out of nothing and, at the end of time, he will save mortal beings from nothingness. A world without faith, then, would be populated by children living without a Father, that is, by creatures without salvation.

우리가 물질적, 문화적, 과학적, 예술적 보물들을 생각할 때, 믿음이 빛나는 이유는 이러한 보물들을 과소평가해서가 아니고 믿음이 없으면 이러한 보물들이 그 의미를 상실하기 때문입니다. 하느님과 우리의 관계는 지극히 중요합니다. 태초에 하느님께서 무(無)에서 만물을 창조하셨고, 끝 날에 하느님께서 필멸의 존재들을 무(無)에서 구원하실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믿음이 없는 세상은 하느님 아버지 없이 사는 아이들, 즉 구원받지 못한 피조물들로 가득 할 것입니다.

For this reason, Jesus, the Son of God made man, asks about faith: if it disappeared from the world, what would happen? Heaven and earth would remain as before, but there would no longer be hope in our hearts; everyone’s freedom would be defeated by death; our desire for life would fade into nothingness. Without faith in God, we cannot hope for salvation. Jesus’ question can disturb us, but only if we forget that it is Jesus himself who poses it. The Lord’s words, in fact, are always the “Gospel,” the joyful proclamation of salvation. This salvation is the gift of eternal life that we receive from the Father, through the Son, in the power of the Holy Spirit.

이런 이유로 사람이 되신 하느님의 아들 예수님께서 믿음에 대해 질문하십니다. 믿음이 세상에서 사라진다면 어떤 일이 생길까요? 하늘과 땅은 예전과 같이 그대로이겠지만, 우리의 마음에는 더 이상 희망이 없을 것입니다. 모든 이의 자유는 죽음에 패하고, 생명에 대한 우리의 갈망은 무(無)로 사라질 것입니다. 하느님께 대한 믿음 없이 우리는 구원을 바랄 수 없습니다. 예수님의 질문은 우리를 불안하게 만들 수 있지만, 그 질문을 던지신 분이 바로 예수님이라는 사실을 잊을 때에만 그렇습니다. 사실 주님의 말씀은 언제나 "복음", 곧 구원에 대한 기쁜 선포입니다. 이 구원은 우리가 성부로부터, 성자를 통해, 성령의 힘으로 받은 영원한 생명의 선물입니다.

Dear friends, this is precisely why Christ speaks to his disciples of the “need to pray always, and not to lose heart” (Lk 18:1). Just as we never grow weary of breathing, so let us never grow weary of praying! Just as breathing sustains the life of the body, so prayer sustains the life of the soul: faith, in fact, is expressed in prayer, and authentic prayer lives on faith.

사랑하는 친구 여러분, 바로 이것이 그리스도께서 제자들에게 “낙심하지 말고 끊임없이 기도해야 한다.”(루카 18,1)고 말씀하신 이유입니다. 우리가 숨 쉬는 것을 지겨워하지 않듯이 기도하는 것을 지겨워하지 맙시다. 호흡이 육체의 생명을 유지하듯이 기도가 영혼의 생명을 유지합니다. 사실 믿음은 기도로 표현되며, 진정한 기도는 믿음 위에 삽니다.

Jesus shows us this connection with a parable: a judge remains deaf to the pressing requests of a widow, whose perseverance finally leads him to act. At a glance, such tenacity becomes for us a beautiful example of hope, especially in times of trial and tribulation. Nevertheless, the woman’s perseverance and the judge, who acts reluctantly, set the stage for a provocative question from Jesus: Will not God, the good Father, “grant justice to his chosen ones who cry to him day and night?” (Lk 18:7).

예수님께서 비유를 통해 이러한 연관성을 우리에게 보여주십니다. 재판관은 과부의 간절한 요구를 들어주려고 하지 않지만 그 여인의 끈기가 마침내 그를 행동하게 합니다. 한 눈에 그런 끈기는 우리에게 희망의 아름다운 본보기가 됩니다. 특히 시련과 고난의 시기에 그러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여인의 끈기와 마지못해 행동하는 재판관은 예수님의 도발적인 질문을 위한 자리를 마련합니다. 좋으신 아버지 하느님께서 “당신께 선택된 이들이 밤낮으로 부르짖는데 그들에게 올바른 판결을 내려 주지 않으시겠느냐?” (루카 18,7)

Let us allow these words to resonate in our hearts: the Lord is asking us whether we believe that God is a just judge towards all. The Son asks us if we believe that the Father always wants our good and the salvation of every person. In this regard, two temptations test our faith: the first draws strength from the scandal of evil, leading us to think that God does not hear the cries of the oppressed and has no pity for the innocent who suffer. The second temptation is the claim that God must act as we want him to: prayer then gives way to a command to God, to teach him how to be just and effective.

이 말씀이 우리 마음속에 울려 퍼지도록 합시다. 주님께서 우리에게 하느님께서 모든 이에게 의로우신 재판관이심을 믿는지 묻고 계십니다. 아드님께서 우리에게 아버지께서 항상 우리의 유익과 모든 사람의 구원을 원하신다는 것을 믿는지 물으십니다. 이와 관련하여 두 가지 유혹이 우리의 믿음을 시험합니다. 첫 번째 유혹은 악의 영향을 받아 하느님께서 억압받는 이들의 부르짖음을 듣지 않으시고, 고통 받는 무고한 이들을 불쌍히 여기지 않으신다고 생각하는 것입니다. 두 번째 유혹은 하느님께서 우리가 원하는 대로 행하셔야 한다는 생각입니다. 그러면 기도는 하느님께 드리는 명령으로 바뀌어, 오히려 어떻게 하는 것이 정의롭고 효과적인지 하느님을 가르칩니다.

Jesus, the perfect witness of filial trust, frees us from both temptations. He is the innocent one who, especially during his Passion, prays thus: “Father, your will be done” (cf. Lk 22:42). The Master gives us these same words in the Our Father. Let us remember that whatever happens to us, Jesus entrusted himself as Son to the Father. We are, therefore, brothers and sisters in his name, so we can proclaim: “It is truly right and just, our duty and our salvation, always and everywhere to give you thanks, Lord, holy Father, almighty and eternal God, through Christ our Lord” (Eucharistic Prayer II, Preface).

아버지께 대한 신뢰의 완벽한 증인이신 예수님께서 우리를 두 가지 유혹에서 해방시키십니다. 그분께서는 특히 수난 중에 “아버지의 뜻이 이루어지게 하십시오.” (루카 23,42 참조) 라고 기도하신 천진한 분이십니다. 스승께서 주님의 기도에서 우리에게 같은 말씀을 하십니다. 우리에게 무슨 일이 일어나든지, 예수님께서 자신을 아버지께 아들로 맡기셨다는 것을 기억합시다. 그러므로 우리는 그분의 이름으로 형제자매이며, “거룩하신 아버지, 전능하시고 영원하신 주 하느님, 우리 주 그리스도를 통하여 언제나 어디서나 아버지께 감사함이 참으로 마땅하고 옳은 일이며 저희 도리요, 구원의 길이옵니다.” (감사기도 감사송) 라고 선포할 수 있습니다.

The Church’s prayer reminds us that God grants justice to all, giving his life for all. Thus, when we cry out to the Lord, “Where are you?”, let us transform this invocation into a prayer, and then we will recognize that God is present where the innocent suffer. The cross of Christ reveals God’s justice, and God’s justice is forgiveness. He sees evil and redeems it by taking it upon himself. When we are “crucified” by pain and violence, by hatred and war, Christ is already there, on the cross for us and with us. There is no cry that God does not console; there is no tear that is far from his heart. The Lord listens to us, embraces us as we are, and transforms us as he is. Those who reject God’s mercy, however, remain incapable of mercy towards their neighbor. Those who do not welcome peace as a gift will not know how to give peace.

교회의 기도는 하느님께서 모든 사람에게 정의를 베푸시고, 모든 사람을 위해 당신의 생명을 내어주신다는 것을 우리에게 환기시킵니다. 그러므로 우리가 주님께 “당신은 어디 계십니까?”라고 부르짖을 때, 이 호소를 기도로 바꿉시다. 그러면 우리는 무고한 이들이 고통 받는 곳에 하느님께서 현존하신다는 것을 깨달을 것입니다. 그리스도의 십자가는 하느님의 정의를 드러내며, 하느님의 정의는 용서입니다. 그분은 악을 보시고 스스로 악을 짊어지심으로써 구속하십니다. 우리가 아픔과 폭력, 증오와 전쟁으로 “십자가에 못 박힐” 때, 그리스도께서는 이미 그곳에, 우리를 위해, 우리와 함께 십자가 위에 계십니다. 하느님께서 위로하지 않으시는 부르짖음은 없고, 그분의 마음으로부터 멀리 있는 눈물은 없습니다. 주님께서는 우리에게 귀 기울이시고, 우리를 있는 그대로 껴안으시고, 우리를 그분처럼 변화시키십니다. 그러나 하느님의 자비를 거부하는 이들은 그들의 이웃에게 자비를 베풀 수 없습니다. 평화를 선물로 받아들이지 않는 이들은 평화를 베풀 줄 모릅니다.

Dear friends, we now understand that Jesus’ questions are a powerful invitation to hope and action: when the Son of Man comes, will he find faith in God’s providence? Indeed, it is this faith that sustains our commitment to justice, precisely because we believe that God saves the world out of love, freeing us from fatalism. When we hear the cries of those in difficulty, let us ask ourselves, are we witnesses to the Father’s love, as Christ was to all? He is the humble one who calls the arrogant to conversion, the just one who makes us just. We see all this in the lives of the new Saints: they are not heroes or champions of some ideal, but authentic men and women.

사랑하는 친구 여러분, 우리는 이제 예수님의 질문이 희망과 행동으로의 강력한 초대임을 이해합니다. 사람의 아들이 오실 때 그분께서 하느님의 섭리에 대한 믿음을 찾으실 수 있을까요? 참으로, 바로 이 믿음이 정의에 대한 우리의 헌신을 지탱해 줍니다. 하느님께서 사랑으로 세상을 구원하시고, 우리를 운명론에서 자유롭게 하신다고 믿기 때문입니다. 어려움에 처한 이들의 울부짖음을 들을 때, 스스로에게 질문해 봅시다. 그리스도께서 모든 사람에게 그러하셨듯이, 우리도 하느님 아버지의 사랑을 증거하고 있습니까? 그분은 겸손하시어 교만한 자에게 회개를 촉구하시고, 우리를 의롭게 만드시는 의로우신 분이십니다. 우리는 이 모든 것을 새로운 성인들의 삶에서 봅니다. 그들은 영웅이나 어떤 이상의 옹호자가 아니라 참 남녀입니다.

These faithful friends of Christ are martyrs for their faith, like Bishop Ignazio Choukrallah Maloyan and catechist Peter To Rot; they are evangelizers and missionaries, like Sister Maria Troncatti; they are charismatic founders, like Sister Vincenza Maria Poloni and Sister Maria del Monte Carmelo Rendiles Martínez; with their hearts burning with devotion, they are benefactors of humanity, like Bartolo Longo and José Gregorio Hernández Cisneros. May their intercession assist us in our trials and their example inspire us in our shared vocation to holiness. As we journey towards this goal, let us pray without ceasing, and continue in what we have learned and firmly believe (cf. 2 Tim 3:14). Faith on earth thus sustains the hope for heaven.

이 그리스도의 충실한 친구들은 이그나치오 추크랄라 말로얀 주교와 교리교사 피터 토 롯처럼 신앙을 위해 순교한 이들입니다. 마리아 트론카티 수녀처럼 그들은 복음 전파자이자 선교사입니다. 빈첸차 마리아 폴로니 수녀와 마리아 델 몬테 카르멜로 렌딜레스 마르티네스 수녀처럼 카리스마 넘치는 설립자입니다. 바르톨로 롱고와 호세 그레고리오 에르난데스 시스네로스처럼 헌신으로 불타는 마음을 지닌 인류의 은인입니다. 그들의 전구가 시련 속의 우리를 돕고, 그들의 모범이 거룩함을 향한 우리의 공동 성소에 영감을 불어넣게 하소서! 이 목표를 향해 나아가며, 끊임없이 기도하고, 우리가 배우고 굳게 믿는 바를 계속해서 지킵시다. (디모데후서 3,14 참조) 이처럼 지상에서의 믿음이 천국에 대한 희망을 지탱해줍니다.

Before Angelus
Dear brothers and sisters, I extend my heartfelt greetings to all of you who have taken part in this celebration, which has been a great feast of holiness!

삼종기도 전
사랑하는 형제자매 여러분, 거룩함의 위대한 축일이었던 이 시성식에 참여하신 모든 분들께 진심으로 인사드립니다!

I thank the Cardinals, Patriarchs and Bishops who are present. I also greet with gratitude the President of the Italian Republic, the President of Lebanon and the distinguished official delegations, in particular those from Armenia and Venezuela.

참석해 주신 추기경, 총대주교, 주교님들께 감사드립니다. 또한 이탈리아 공화국 대통령, 레바논 대통령, 그리고 저명한 공식 대표단, 특히 아르메니아와 베네수엘라 대표단 여러분께도 감사의 인사를 전합니다.

I joyfully welcome the spiritual daughters of the Foundresses who have been canonized today and the various communities and associations inspired by the charisms of the new Saints. Thank you all for your devout participation!

오늘 시성된 설립자 자매들의 영적 딸들과 새 성인들의 카리스마에 영감을 받은 다양한 공동체와 협회들을 기쁜 마음으로 환영합니다. 여러분의 헌신적인 참여에 감사드립니다!

I extend my greetings to the other pilgrims present, in particular to the Hermandad del Señor de los Milagros, which celebrated the traditional procession.

저는 다른 순례자들, 특히 전통 행렬에 참여한 Hermandad del Señor de los Milagros에게 인사를 전합니다.

Today is World Mission Day. While the whole Church is missionary, today we pray especially for those men and women who have left everything to bring the Gospel to those who do not know it. They are missionaries of hope among all peoples. May the Lord bless them!

오늘은 세계 선교의 날입니다. 온 교회가 선교사인 가운데, 오늘 우리는 복음을 모르는 사람들에게 복음을 전하기 위해 모든 것을 남겨두고 떠난 분들을 위해 특별히 기도합니다. 그들은 모든 민족들에게 희망을 전하는 선교사입니다. 주님, 그들을 축복하소서!

The news from Myanmar is sadly distressing: there are reports of ongoing armed clashes and aerial bombardments, including the targeting of civilians and civilian infrastructure. I am spiritually close to those who are suffering as a result of the violence, insecurity and many hardships. I renew my heartfelt appeal for an immediate and effective ceasefire. May the instruments of war give way to those of peace, through inclusive and constructive dialogue.

미얀마 소식은 매우 안타깝습니다. 민간인과 민간 시설에 대한 공격을 포함하여 무력 충돌과 공습이 계속되고 있다는 보고가 있습니다. 저는 폭력, 불안, 그리고 수많은 고난으로 고통 받는 이들과 영적으로 가까이 있습니다. 즉각적이고 효과적인 휴전을 다시 한 번 진심으로 호소합니다. 포용적이고 건설적인 대화를 통해 전쟁의 도구가 평화의 도구로 대체되기를 바랍니다.

Let us entrust to the intercession of the Virgin Mary and the new Saints our constant prayer for peace in the Holy Land, Ukraine and other places affected by war. May God grant all their leaders the wisdom and perseverance to advance in the search for a just and lasting peace.

성지, 우크라이나와 전쟁으로 고통 받는 다른 지역의 평화를 위한 우리의 끊임없는 기도를 동정 마리아와 새 성인들의 전구에 의탁합시다. 하느님, 모든 지도자들에게 정의롭고 지속적인 평화를 추구하며 전진할 수 있는 지혜와 인내를 주소서!

한글 번역: 윤영학 아오스딩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