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성경묵상

영어성경묵상

교황님의 미사 강론(2025.10.12)

최고관리자
2025.10.18 10:56 139 0

본문

HOMILY BY HIS HOLINESS POPE LEO XIV, JUBILEE OF MARIAN SPIRITUALITY, 28th Sunday in Ordinary Time, St Peter's Square, 12 October 2025

Dear sisters and brothers, The Apostle Paul exhorts each of us today, as he did to Timothy: “Remember Jesus Christ, raised from the dead, a descendant of David” (2 Tim 2:8). Marian spirituality, which nourishes our faith, has Jesus as its center. It is like Sunday, which opens each new week in the radiance of his Resurrection from the dead. “Remember Jesus Christ”: this alone matters; this is what distinguishes human spiritualities from the way of God. “Chained like a criminal,” (v. 9)

레오 14세 교황님의 미사 강론, 마리아 영성 희년, 연중 제28주일, 성 베드로 광장, 2025년 10월 12일

사랑하는 자매형제 여러분,  바오로사도는 티모테오에게 했던 것처럼 오늘 우리 각자에게 이렇게 권고합니다. “예수 그리스도를 기억하십시오. 그분께서는 다윗의 후손으로, 죽은 이들 가운데에서 되살아나셨습니다.” (디모테오 2서, 2,8) 우리 신앙을 키워주는 마리아 영성은 예수님을 중심에 두고 있습니다. 이는 마치 죽음에서 부활하신 그분의 광채로 새롭게 시작하는 매주를 여는 주일과 같습니다. “예수 그리스도를 기억하십시오.” 이것 자체가 중요합니다. 이것이 바로 “죄인처럼 묶여 있는” (9절) 인간의 영성을 하느님의 길과 구별하는 것입니다. (2티모 2,9).

Paul urges us not to lose sight of what is essential, and not to strip the name of Jesus of its history and of its cross. What we consider inordinate and crucify, God raises up because “he cannot deny himself” (v. 13). Jesus is God’s faithfulness, God’s faithfulness to himself. The celebration of Sunday, therefore, should make us Christians. It should fill our thoughts and feelings with the burning memory of Jesus and change the way we live together and the way we inhabit the earth. Every Christian spirituality flows from this fire and helps to keep it alive.

바오로는 우리에게 본질적인 것을 놓치지 말고, 예수님의 이름에서 그분의 역사와 그분의 십자가를 떼어놓지 말라고 강하게 권고합니다. 우리가 과도하다고 여겨서 십자가에 목 박는 것을 하느님께서 일으키시는데, 이는 “당신 자신을 부정하실 수 없기” (13절) 때문입니다. 예수님께서는 하느님의 성실하심, 곧 자신에 대한 하느님의 성실하심입니다. 그러므로 주일을 지키는 것은 우리를 그리스도인으로 만들어야 합니다. 이는 우리의 생각과 감정을 예수님께 대한 불타는 기억으로 가득 채우고, 우리가 함께 사는 방식과 우리가 이 땅에 사는 방식을 바꿔야 합니다. 모든 그리스도인의 영성은 이 불로부터 흐르고, 그 불이 꺼지지 않게 합니다.

The reading from the Second Book of Kings (5:14-17) recounts the healing of Naaman, the Syrian. Jesus himself referred to this passage when he was in the synagogue in Nazareth (cf. Lk 4:27), and his interpretation had a disconcerting effect on the people of his hometown. To say that God had saved a foreigner suffering from leprosy rather than the many lepers in Israel turned them against him: “When they heard this, all in the synagogue were filled with rage. They got up, drove him out of the town, and led him to the brow of the hill on which their town was built, so that they might hurl him off the cliff” (Lk 4:28-29).

열왕기 하권 독서 (5:14-17절) 는 시리아 사람 나아만의 치유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예수님께서도 나사렛 회당 에서 이 구절을 언급하셨는데, (루카 4,27 참조) 그분의 해석이 고향사람들을 당혹시키는 결과를 낳았습니다. 하느님께서 이스라엘의 많은 나병 환자들이 아니라 나병에 걸린 한 외국인을 구원하셨다는 예수님의 말씀들 듣고 그들은 예수님께 등을 돌렸습니다. “회당에 있던 모든 사람들은 이 말씀을 듣고 화가 잔뜩 났다. 그래서 그들은 들고일어나 예수님을 고을 밖으로 내몰았다. 그 고을은 산 위에 지어져 있었는데, 그들은 예수님을 그 벼랑까지 끌고 가 거기에서 떨어뜨리려고 하였다.” (루카 4,28-29)

The Evangelist makes no mention of the presence of Mary. She may have been present to witness what the elderly Simeon had announced to her when she brought the newborn Jesus to the Temple: “This child is destined for the falling and the rising of many in Israel, and to be a sign that will be opposed so that the inner thoughts of many will be revealed — and a sword will pierce your own soul too’” (Lk 2:34-35).

복음사가는 마리아의 존재에 대해 언급하지 않습니다. 마리아께서는 갓 난 예수님을 성전에 데려갔을 때 나이 든 시메온이 다음과 같이 말하는 것을 들으셨을 것입니다. “이 아기는 이스라엘에서 많은 사람을 쓰러지게도 하고 일어나게도 하며, 또 반대를 받는 표징이 되도록 정해졌습니다. 그리하여 당신의 영혼이 칼에 꿰찔리는 가운데, 많은 사람의 마음속 생각이 드러날 것입니다” (루카복음 2,34-35)

Yes, dear friends, “the word of God is living and active, sharper than any two-edged sword, piercing until it divides soul from spirit, joints from marrow; it is able to judge the thoughts and intentions of the heart” ( Heb 4:12). Pope Francis found the story of Naaman the Syrian to be a relevant and penetrating message for the life of the Church. Speaking to the Roman Curia, he said: “Naaman was forced to live with a tragic situation: he had leprosy. His armor, that had won him renown, in reality covered a frail, wounded and diseased humanity.

그렇습니다, 사랑하는 친구 여러분, “사실 하느님의 말씀은 살아 있고 힘이 있으며 어떤 쌍날칼보다도 날카롭습니다. 그래서 사람 속을 꿰찔러 혼과 영을 가르고 관절과 골수를 갈라, 마음의 생각과 속셈을 가려냅니다.” (히브리 3,12) 프란치스코 교황님은 시리아 사람 나아만의 이야기가 교회의 생활에 적절하고 통찰력 있는 메시지라고 생각하셨습니다. 로마 교황청에 말씀하시면서 이렇게 언급하셨습니다. “나아만은 비극적인 상황을 견뎌야 했습니다. 그가 나병에 걸렸습니다. 그에게 명성을 안겨줬던 그의 갑옷은 이제 연약하고 상처받고 병든 인간을 가리고 있습니다.”

We often find this contradiction in our lives: sometimes great gifts are the armor that covers great frailties. [...]If Naaman had continued only to accumulate medals to decorate his armor, in the end he would have been devoured by his leprosy: appearing to be alive, yet enclosed and isolated in his disease.” [1] Jesus frees us from this danger. He does not wear armor; instead he is born and dies naked. He offers his gift without forcing the healed lepers to acknowledge him: only a Samaritan in the Gospel seems to realize that he had been saved (cf. Lk 17:11-19). Perhaps the fewer titles we have to boast of, the clearer it is that love is free. God is pure gift and sheer grace. Yet how many voices and convictions can separate us even today from this stark and revolutionary truth!

“우리도 삶에서 종종 이런 모순을 겪습니다. 때로는 큰 선물이 큰 연약함을 가리는 갑옷이 됩니다. [...] 나아만이 갑옷장식을 위해 계속 훈장만 모았다면, 결국 그는 그의 나병에 먹혀버렸을 것입니다. 살아있는 듯 보이지만, 병에 갇혀 고립되어 있는 것입니다.” 예수님께서는 우리를 이런 위험으로부터 자유롭게 하십니다. 예수님께서는 갑옷을 입지 않으십니다. 오히려 벌거벗은 채 내어나시고 벌거벗은 채로 돌아가십니다. 그분은 치유된 나병 환자들에게 자신을 인정하도록 강요하시지 않고 선물을 주십니다. 복음서의 사마리아인만이 자신이 구원받았다는 것을 깨닫는 듯합니다. (루카 17,11-19 참조) 우리가 자랑할 칭호가 적을수록, 사랑이 거저라는 것을 더 분명히 아는 것 같습니다. 하느님께서는 순수한 선물이시며 순수한 은총이십니다. 그러나 오늘날에도 얼마나 많은 목소리와 신념이 우리를 이 극명하고 혁명적인 진리에서 떼어냅니까!

Brothers and sisters, Marian spirituality is at the service of the Gospel: it reveals its simplicity. Our affection for Mary of Nazareth leads us to join her in becoming disciples of Jesus. It teaches us to return to him and to meditate and ponder the events of our lives in which the Risen One still comes to us and calls us. Marian spirituality immerses us in the history upon which heaven opened. It helps us to see the proud being scattered in their conceit, the mighty being cast down from their thrones and the rich being sent away empty-handed. It impels us to fill the hungry with good things, to lift up the lowly, to remember God’s mercy and to trust in the power of his arm (cf. Lk 1:51-54). Jesus invites us to be part of his Kingdom, just as he asked Mary for her “yes,” which, once given, was renewed every day.

형제자매 여러분, 마리아 영성은 복음에 봉사합니다. 그것은 그것의 단순함을 드러냅니다. 나자렛의 마리아에 대한 우리의 애정은 우리를 그녀와 함께 예수님의 제자가 되도록 이끕니다. 그것은 우리가 그분께 돌아가, 부활하신 분께서 여전히 우리에게 오셔서 우리를 부르시는 우리의 삶의 사건들을 묵상하고 숙고하도록 가르칩니다. 마리아 영성은 우리를 하늘이 열린 그 역사 속으로 담급니다. 그것은 우리가 교만한 이들이 그들의 자만으로 흩어지고, 통치자들은 왕좌에 끌어내려지고, 부유한 이들이 빈손으로 내쫓기는 것을 보도록 돕습니다. 그것은 우리가 굶주린 이들을 좋은 것으로 배불리고, 비천한 이들을 들어 높이고, 하느님의 자비를 기억하고, 그분의 팔의 힘을 신뢰하도록 촉구합니다. (루카 1,51-54 참조) 예수님께서 우리를 그분의 왕국의 일부가 되라고 초대하십니다. 이는 바로 예수님께서 마리아에게 그의 “예”를 청하셨던 것과 같고, 마리아의 응답은 매일 새롭게 되풀이되었습니다.

The lepers in the Gospel who do not return to give thanks remind us that God’s grace can touch us and find no response. It can heal us, yet we can still fail to accept it. Let us take care therefore not to go up to the temple in such a way that does not lead us to follow Jesus. Some forms of worship do not foster communion with others and can numb our hearts. In these cases, we fail to encounter the people God has placed in our lives. We fail to contribute, as Mary did, to changing the world, and to share in the joy of the Magnificat. Let us take care to avoid any exploitation of the faith that could lead to labelling those who are different — often the poor — as enemies, “lepers” to be avoided and rejected.

감사드리러 돌아오지 않은 복음서의 나병 환자들은 우리에게 하느님의 은총이 우리를 감동시켜도 아무런 응답을 얻지 못할 수 있음을 일깨워줍니다. 그것은 우리를 치유할 수 있지만 우리는 여전히 그것을 받아들이지 못합니다. 그러므로 예수님을 따르도록 이끌지 않는 방식으로 성전에 오르지 않도록 조심합시다. 어떤 예배형태는 다른 사람들과의 친교를 조장하지 않고 우리의 마음을 무디게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 우리는 하느님께서 우리 삶에 두신 사람들을 만나지 못하게 됩니다. 마리아처럼 세상을 변화시키고 마니피캇의 기쁨을 나누는 데 기여하지 못하게 됩니다. 다른 사람들을 - 종종 가난한 사람들을 - 원수로, 피하고 거부해야 할 “나병 환자”로 낙인찍도록 이끄는 신앙의 착취를 피하도록 주의합시다.

Mary’s path follows that of Jesus, which leads us to encounter every human being, especially the poor, the wounded and sinners. Because of this, authentic Marian spirituality brings God’s tenderness, his way of “being a mother,” to light in the Church. As we read in the Apostolic Exhortation Evangelii Gaudium, “whenever we look to Mary, we come to believe once again in the revolutionary nature of love and tenderness. In her, we see that humility and tenderness are not virtues of the weak but of the strong who need not treat others poorly in order to feel important themselves. Contemplating Mary, we realize that she who praised God for ‘bringing down the mighty from their thrones’ and ‘sending the rich away empty’ (Lk 1:52-53) is also the one who brings a homely warmth to our pursuit of justice” (no. 288).

마리아의 길은 예수님의 길을 따르며, 그 길은 우리를 모든 인간, 특히 가난한 이들, 상처받은 이들, 죄인들을 만나게 합니다. 이러한 까닭에 진정한 마리아 영성은 하느님의 온유하심, 곧 “어머니가 되시는” 그분의 방식을 교회로 가져와 교회를 밝혀줍니다. 사도 권고 「복음의 기쁨」에서 알 수 있듯이, “마리아를 바라볼 때마다 우리는 다시 한 번 온유한 사랑의 혁명이 지닌 힘을 믿게 됩니다. 우리는 그분 안에서 겸손과 온유가 나약한 이들의 덕이 아니라 강한 이들의 덕이라는 것을 알게 됩니다. 강한 사람은 자기가 중요하다는 것을 느끼려고 다른 이들을 홀대하지 않습니다. 마리아께서는 ‘통치자들을 왕좌에서 끌어내리시고’ (루카 1,52) ‘부유한 자들을 빈손으로 내치시는’ (루카 1,53) 하느님을 찬양하셨습니다. 우리는 마리아를 바라보며, 바로 그분께서 정의를 추구하는 우리에게 따뜻한 온기를 가져다주시는 분이심을 깨닫습니다.” (288)

Dear friends, in a world seeking justice and peace, let us revive Christian spirituality and popular devotion to the events and places blessed by God that have changed the face of the earth forever. Let us use them as a driving force for renewal and transformation. Indeed, the Jubilee we are celebrating calls for a time of conversion and restitution, of reflection and liberation. May Mary Most Holy, our hope, intercede for us and continue to lead us to Jesus, the crucified Lord. In him, there is salvation for all

사랑하는 친구 여러분, 정의와 평화를 추구하는 세상에서, 하느님께서 축복하시고 지구를 영원히 변화시킨 사건들과 장소들에 대한 기독교 영성과 대중적 헌신을 되살립시다. 그것들을 쇄신과 변화의 원동력으로 삼읍시다. 참으로, 우리가 기념하는 희년은 회개와 회복, 성찰과 해방의 시간을 요구합니다. 우리의 희망이신 지극히 거룩하신 마리아여, 저희를 위해 전구해 주시고, 십자가에 못 박히신 주 예수님께로 우리를 계속 인도해주소서! 그분 안에 모든 이의 구원이 있습니다.

한글 번역: 윤영학 아오스딩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