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황님의 미사 강론(2025.10.05)
최고관리자
2025.10.14 17:48
5
0
- - 짧은주소 : http://yscatholic.com/bbs/?t=1zB
본문
HOMILY OF HIS HOLINESS POPE LEO XIV, HOLY MASS, JUBILEE OF THE MISSIONARY WORLD AND JUBILEE OF MIGRANTS, St Peter's Square, 27th Sunday in Ordinary Time, 5 October 2025
Dear brothers and sisters, Today we celebrate the Jubilee of the Missions and of Migrants. This is a wonderful opportunity to rekindle in ourselves the awareness of our missionary vocation, which arises from the desire to bring the joy and consolation of the Gospel to everyone, especially those who are experiencing difficult and painful situations. In particular, I think of our migrant brothers and sisters, who have had to depart their homelands, often leaving their loved ones behind, enduring nights of fear and loneliness, experiencing discrimination and violence firsthand.
레오 14세 교황님의 미사 강론, 선교 세계의 희년과 난민의 희년, 성 베드로 광장, 연중 제27주일, 2025년 10월 5일
사랑하는 형제자매 여러분, 오늘 우리는 선교와 이주민 희년을 기념합니다. 이는 우리 안에 선교 성소에 대한 의식을 다시 불붙일 아주 좋은 기회입니다. 선교 성소는 복음의 기쁨과 위로를 모든 사람, 특히 어렵고 고통스런 상황을 겪고 있는 사람들에게 전하고자 하는 열망에서 비롯됩니다. 특별히 저는 종종 사랑하는 사람들을 남겨두고 고향을 떠나야 했던 우리의 난민 형제자매를 생각합니다. 그들은 두렵고 외로운 밤을 견디고 차별과 폭력을 직접 경험 하고 있습니다.
We are here because, at the tomb of the Apostle Peter, each one of us should be able to say with joy: the entire Church is missionary, and it is urgent – as Pope Francis affirmed – that we “go forth and preach the Gospel to all: to all places, on all occasions, without hesitation, reluctance or fear” (Apostolic Exhortation Evangelii Gaudium, 23).
오늘 우리 각자는 여기 베드로 사도의 무덤에서 기쁜 마음으로 다음과 같이 말할 수 있어야 합니다. 교회 전체가 선교사이며, 프란치스코 교황님께서 말씀하셨듯이, 우리가 “세상에 나아가 모든 이에게 모든 장소에서 온갖 기회에 주저하거나 망설이지 말고 두려움 없이 복음을 선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교황 권고, 복음의 기쁨, 23항)
The Spirit sends us to continue the work of Christ in the world’s peripheries, marked at times by war, injustice and suffering. Faced with these menacing situations, the cry that so often in history has been raised up to God has re-emerged: Lord, why do you not intervene? Why do you seem absent? This cry of sorrow is a form of prayer that pervades all of Scripture and, this morning, we heard it from the prophet Habakkuk: “O Lord, how long shall I cry for help, and you will not hear? … Why do you make me see wrongs and look upon trouble?” (Hab 1:2-3).
성령께서는 때때로 전쟁과 불의, 고통으로 얼룩진 세상의 변방에서 그리스도의 일을 계속하라고 우리를 보내십니다. 이러한 위협적인 상황들에 직면하여, 역사적으로 자주 하느님께 드려졌던 부르짖음이 다시 나타납니다. "주님, 어찌하여 가만히 계십니까? 왜 안 계신 것 같습니까? 이 슬픔의 부르짖음은 성경 전체에 배어있는 기도의 한 형태이며 오늘 아침에 하바쿡 예언서에서 그것을 들었습니다. “주님, 당신께서 듣지 않으시는데 제가 언제까지 살려달라고 부르짖어야 합니까? ... 어찌하여 제가 불의를 보게 하십니까? 어찌하여 제가 재난을 바라보아야 합니까?” (하바쿡 1,2-3)
Pope Benedict XVI, who had reflected on these questions during his historic visit to Auschwitz, returned to the theme in a catechesis, affirming: “God is silent and this silence pierces the soul of the person praying, who ceaselessly calls but receives no answer … God seems so distant, so forgetful, so absent” (Catechesis, 14 September 2011).
그의 역사적인 아우슈비츠 방문 중에 이 문제에 대해 성찰했던 베네딕토 16세 교황은 교리교육에서 이 주제를 언급하며 다음과 같이 말하였습니다. “하느님께서는 침묵하시며 이 침묵은 끊임없이 부르지만 아무런 응답도 받지 못하는 기도하는 사람의 영혼을 찌릅니다. .... 하느님께서는 아주 멀리 계시고, 자주 잊으시고, 안 계신 것 같습니다.” (교리교육, 2011.9.14.)
The response of the Lord, however, opens us to hope. If the prophet denounces the inescapable force of evil that seems to prevail, the Lord, for his part, announces to him that all of this will end, will cease, because salvation will come and it will not delay: “Look at the proud! Their spirit is not right in them, but the righteous live by their faith” (Hab 2:4).
그러나 주님의 응답은 우리에게 희망을 열어줍니다. 예언자가 왕성해 보이고 피할 수 없는 악의 세력을 비난한다면, 주님께서는, 한편, 그에게 이 모든 것이 끝날 것이라고 선언하십니다. 구원이 올 것이고 지체하지 않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보라, 뻔뻔스러운 자를, 그의 정신은 바르지 않다. 그러나 의인은 성실함으로 산다.” (하바쿡 2,4)
Therefore, there is life, a new possibility of life and salvation that comes from faith, because it not only helps us to resist evil and to persevere in doing good, but it transforms our lives so as to make of them an instrument of the salvation that even today God wishes to bring about in the world. And, as Jesus says in the Gospel, this is about a lowly strength, for faith does not impose itself by means of power and in extraordinary ways. Indeed, it is enough to have faith the size of a mustard seed in order to do unimaginable things (cf. Lk 17:6), because it carries within it the strength of God’s love that opens the way to salvation.
그러므로 삶이 있습니다. 즉 믿음에서 오는 삶과 구원의 새로운 가능성이 있습니다. 믿음은 우리가 악에 저항하고 끈기 있게 선을 행하는 것을 도울 뿐만 아니라, 우리의 삶을 변화시켜서, 우리의 삶을 하느님께서 오늘날에도 세상에서 이루고자 하시는 구원의 도구로 만들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예수님께서 복음에서 말씀하셨듯이, 이것은 낮은 힘에 관한 것입니다. 믿음은 힘이나 특별한 방식으로 강요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사실, 상상할 수 없는 일을 하기 위해서는 겨자씨만 한 믿음으로 충분합니다. (루카 17,6 참조). 왜냐하면 그 믿음 안에는 구원의 길을 여는 하느님 사랑의 힘이 담겨 있기 때문입니다.
This is a salvation that is fulfilled when we take responsibility and, with the compassion of the Gospel, care for the suffering of others; it is a salvation that leads the way, silently and apparently without success, in daily words and actions, which become precisely like the tiny seed of which Jesus speaks; it is a salvation that slowly grows when we become “unworthy servants”, namely when we place ourselves at the service of the Gospel and of our brothers and sisters, not seeking our own interests but only bringing God’s love to the world.
이것은 우리가 책임을 지고, 복음의 연민의 마음으로 다른 사람들의 고통을 돌볼 때 이루어지는 구원입니다. 그것은 매일의 말과 행동에서, 조용히 그리고 성공하지 못한 것처럼 보이며, 길을 인도하며, 정확히 예수님께서 말씀하신 작은 씨앗처럼 되는 구원입니다. 그것은 우리가 “쓸모없는 종”이 될 때, 천천히 자랍니다. 즉 우리 자신을 복음과 형제자매를 위해 봉사하는 자리에 놓고, 우리 자신의 이익을 추구하지 않고, 오직 세상에 하느님의 사랑을 전할 때 구원은 천천히 커집니다.
Trusting in this, we are called to renew in ourselves the fire of our missionary vocation. As Saint Paul VI affirmed, “it is our responsibility to proclaim the Gospel in this extraordinary period of human history, a time truly without precedent, in which, at the heights of progress never before reached, there are also accompanying depths of perplexity and desperation equally without precedent” (Message for World Mission Day, 25 June 1971).
이를 신뢰하며, 우리는 우리 안에 선교 성소의 불을 새롭게 하도록 부르심을 받습니다. 바오로 6세 성인께서 확언하셨듯이, “인류 역사의 이 특별한 시기에 복음을 선포하는 것은 우리의 책임입니다. 참으로 전례가 없는 시기로서, 그 안에는 또한 전에 결코 도달하지 못했던 발전의 정점에 전례 없는 깊은 혼란과 절망이 함께 존재합니다.” (1971년 6월 25일 세계 전교의 날 담화)
Brothers and sisters, today a new missionary age opens up in the history of the Church. If for a long time we have associated with mission the word “depart”, the going out to distant lands that did not know the Gospel or were experiencing poverty, today the frontiers of the missions are no longer geographical, because poverty, suffering and the desire for a greater hope have made their way to us. The story of so many of our migrant brothers and sisters bears witnesses to this: the tragedy of their flight from violence, the suffering which accompanies it, the fear of not succeeding, the perilous risk of traveling along the coastline, their cry of sorrow and desperation. Brothers and sisters, those boats which hope to catch sight of a safe port, and those eyes filled with anguish and hope seeking to reach the shore, cannot and must not find the coldness of indifference or the stigma of discrimination!
형제자매 여러분, 오늘 교회 역사에 새로운 선교 시대가 열리고 있습니다. 오랫동안 우리는 선교를 “떠나다”라는 단어, 곧 복음을 알지 못하거나 가난을 겪고 있는 먼 땅으로 떠나는 것을 의미하는 단어와 연관시켜 왔다면, 오늘날 선교의 전방은 더 이상 지리적 위치가 아닙니다. 가난과 고통, 그리고 더 큰 희망에 대한 갈망이 우리를 찾아오기 때문입니다. 수많은 우리 이주 형제자매들의 이야기가 이를 증언합니다. 즉 폭력으로부터의 비극적인 도피, 그에 따른 고통, 성공하지 못할지도 모른다는 두려움, 해안선을 따르는 여행의 극심한 위험성, 그들의 슬픔과 절망의 외침의 이야기들이 이를 말해주고 있습니다. 형제자매 여러분, 안전한 항구를 찾기를 바라는 보트들과 해안에 도착하기를 갈망하는 희망과 걱정으로 가득 찬 눈길에 무관심의 차가움 또는 차별의 낙인은 절대로 있을 수 없으며 있어서는 안 됩니다.
Mission is not so much about “departing”, but instead “remaining” in order to proclaim Christ through hospitality and welcome, compassion and solidarity. We are to remain without fleeing to the comforts of our individualism; to remain so as to look upon those who arrive from lands that are distant and violent; to remain and open our arms and hearts to them, welcoming them as brothers and sisters, and being for them a presence of consolation and hope.
선교는 이제 "떠나는 것"이 아니라, 환대와 환영, 연민과 연대를 통해 그리스도를 선포하기 위해 "남아있는 것"입니다. 우리는 개인주의의 안락함으로 도피하지 않고, 멀고 폭력적인 땅을 떠나 도착하는 사람들을 지켜보기 위해 남아 있어야 합니다. 남아서 그들에게 우리의 팔과 마음을 열고, 그들을 형제자매로 맞이하며, 그들에게 위로와 희망의 현존이 되어야 합니다.
There are many missionary men and women, but also believers and people of good will, who work in the service of migrants, and promote a new culture of fraternity on the theme of migration, beyond stereotypes and prejudices. But this precious service involves each one of us, within the limits of our own means. As Pope Francis affirmed, this is the time for all of us to let ourselves be “permanently in a state of mission” (Evangelii Guadium, 25).
이주민들을 위해 봉사하고, 고정관념과 편견을 넘어 이주라는 주제에 대한 새로운 형제애 문화를 장려하는 남녀 선교사들뿐 아니라 신자들과 선의의 사람들이 많이 있습니다. 그러나 이 소중한 봉사는 우리 각자가 각자의 능력에 따라 수행해야 합니다. 프란치스코 교황님께서 확언하셨듯이, 지금은 우리 모두가 “지속적인 선교 자세”를 유지해야 할 때입니다. (교황 권고, 복음의 기쁨, 25항)
This entails at least two important missionary tasks: missionary cooperation and missionary vocation. First of all, I ask you to promote a renewed missionary cooperation among the Churches. In the communities of ancient Christian tradition, such as those of the West, the presence of many brothers and sisters from the world’s South should be welcomed as an opportunity, through an exchange that renews the face of the Church and sustains a Christianity that is more open, more alive and more dynamic. At the same time, all missionaries that depart for other lands are called to live with respect within the culture they encounter, directing to the good all that is found true and worthy, and bringing there the prophetic message of the Gospel.
여기에는 적어도 두 가지 중요한 선교 과제, 즉 선교 협력과 선교 성소가 수반됩니다. 우선, 저는 교회들 간의 선교 협력을 새롭게 증진해 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서구 교회처럼 고대 기독교 전통을 지닌 공동체에서는 남반구에서 온 많은 형제자매들의 존재를, 교류를 통하여, 교회의 모습을 새롭게 하고, 더욱 개방적이고 생동감 넘치며 역동적인 그리스도교를 지탱하는 기회로, 환영해야 합니다. 동시에, 다른 지역으로 떠나는 모든 선교사는 자신이 만나는 문화 안에서 존경심을 가지고 살며, 참되고 가치 있는 것으로 밝혀진 모든 선으로 인도하며, 그곳에 복음의 예언적 메시지를 전하도록 부르심을 받습니다.
I would like to recall the beauty and importance of missionary vocations. I refer in particular to the Church in Europe: today there is a need for a new missionary effort by laity, religious and priests who will offer their service in missionary lands. We need new ideas and vocational experiences capable of sustaining this desire, especially in young people.
저는 선교 성소의 아름다움과 중요성을 상기하고 싶습니다. 저는 특별히 유럽의 교회에 대해 말씀드리는데, 유럽의 교회에는 오늘날 선교지에서 봉사할 평신도, 수도자, 그리고 사제들의 새로운 선교 활동이 필요합니다. 특별히 젊은이들의 이 열망을 뒷받침할 수 있는 새로운 아이디어와 성소 경험이 필요합니다.
Beloved friends, I willingly give my blessing to the local clergy of the particular Churches, to missionaries and those discerning a vocation. Whereas, to migrants I say: know that you are always welcome! The seas and deserts that you have crossed, Scripture calls “places of salvation”, in which God makes himself present to save his people. I hope that you find this face of God in the missionaries that you encounter.
사랑하는 친구 여러분, 저는 기쁜 마음으로 저희 축복을 특정 교회의 지역 성직자들, 선교사들, 그리고 성소를 분별하는 분들에게 보냅니다. 또한 이주민들에게 말씀드립니다. 여러분은 언제나 환영받습니다! 여러분이 건너온 바다와 사막을 성경은 "구원의 장소"라고 부르며, 그곳에서 하느님께서 당신 백성을 구원하기 위해 직접 현존하셨습니다. 여러분이 만나는 선교사들에게서 이러한 하느님의 얼굴을 발견하시기를 바랍니다.
I entrust all of you to the intercession of Mary, the first of her Son’s missionaries, who went in haste to the hill country of Judea, carrying Jesus in her womb and putting herself at the service of Elizabeth. May Mary sustain us, so that each of us can become co-workers for the Kingdom of Christ, the Kingdom of love, justice and peace.
저는 여러분 모두를 당신 아드님의 첫 번째 선교사였던 마리아의 전구에 의탁합니다. 성모 마리아께서는 예수님을 뱃속에 품고 유다 산골로 서둘러 가셔서, 엘리사벳의 시중을 드셨습니다. 성모 마리아여, 저희를 지켜주시어 저희 각자가 그리스도의 왕국, 곧 사랑, 정의, 그리고 평화의 왕국의 협력자가 될 수 있게 하소서!
한글 번역: 윤영학 아오스딩
Dear brothers and sisters, Today we celebrate the Jubilee of the Missions and of Migrants. This is a wonderful opportunity to rekindle in ourselves the awareness of our missionary vocation, which arises from the desire to bring the joy and consolation of the Gospel to everyone, especially those who are experiencing difficult and painful situations. In particular, I think of our migrant brothers and sisters, who have had to depart their homelands, often leaving their loved ones behind, enduring nights of fear and loneliness, experiencing discrimination and violence firsthand.
레오 14세 교황님의 미사 강론, 선교 세계의 희년과 난민의 희년, 성 베드로 광장, 연중 제27주일, 2025년 10월 5일
사랑하는 형제자매 여러분, 오늘 우리는 선교와 이주민 희년을 기념합니다. 이는 우리 안에 선교 성소에 대한 의식을 다시 불붙일 아주 좋은 기회입니다. 선교 성소는 복음의 기쁨과 위로를 모든 사람, 특히 어렵고 고통스런 상황을 겪고 있는 사람들에게 전하고자 하는 열망에서 비롯됩니다. 특별히 저는 종종 사랑하는 사람들을 남겨두고 고향을 떠나야 했던 우리의 난민 형제자매를 생각합니다. 그들은 두렵고 외로운 밤을 견디고 차별과 폭력을 직접 경험 하고 있습니다.
We are here because, at the tomb of the Apostle Peter, each one of us should be able to say with joy: the entire Church is missionary, and it is urgent – as Pope Francis affirmed – that we “go forth and preach the Gospel to all: to all places, on all occasions, without hesitation, reluctance or fear” (Apostolic Exhortation Evangelii Gaudium, 23).
오늘 우리 각자는 여기 베드로 사도의 무덤에서 기쁜 마음으로 다음과 같이 말할 수 있어야 합니다. 교회 전체가 선교사이며, 프란치스코 교황님께서 말씀하셨듯이, 우리가 “세상에 나아가 모든 이에게 모든 장소에서 온갖 기회에 주저하거나 망설이지 말고 두려움 없이 복음을 선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교황 권고, 복음의 기쁨, 23항)
The Spirit sends us to continue the work of Christ in the world’s peripheries, marked at times by war, injustice and suffering. Faced with these menacing situations, the cry that so often in history has been raised up to God has re-emerged: Lord, why do you not intervene? Why do you seem absent? This cry of sorrow is a form of prayer that pervades all of Scripture and, this morning, we heard it from the prophet Habakkuk: “O Lord, how long shall I cry for help, and you will not hear? … Why do you make me see wrongs and look upon trouble?” (Hab 1:2-3).
성령께서는 때때로 전쟁과 불의, 고통으로 얼룩진 세상의 변방에서 그리스도의 일을 계속하라고 우리를 보내십니다. 이러한 위협적인 상황들에 직면하여, 역사적으로 자주 하느님께 드려졌던 부르짖음이 다시 나타납니다. "주님, 어찌하여 가만히 계십니까? 왜 안 계신 것 같습니까? 이 슬픔의 부르짖음은 성경 전체에 배어있는 기도의 한 형태이며 오늘 아침에 하바쿡 예언서에서 그것을 들었습니다. “주님, 당신께서 듣지 않으시는데 제가 언제까지 살려달라고 부르짖어야 합니까? ... 어찌하여 제가 불의를 보게 하십니까? 어찌하여 제가 재난을 바라보아야 합니까?” (하바쿡 1,2-3)
Pope Benedict XVI, who had reflected on these questions during his historic visit to Auschwitz, returned to the theme in a catechesis, affirming: “God is silent and this silence pierces the soul of the person praying, who ceaselessly calls but receives no answer … God seems so distant, so forgetful, so absent” (Catechesis, 14 September 2011).
그의 역사적인 아우슈비츠 방문 중에 이 문제에 대해 성찰했던 베네딕토 16세 교황은 교리교육에서 이 주제를 언급하며 다음과 같이 말하였습니다. “하느님께서는 침묵하시며 이 침묵은 끊임없이 부르지만 아무런 응답도 받지 못하는 기도하는 사람의 영혼을 찌릅니다. .... 하느님께서는 아주 멀리 계시고, 자주 잊으시고, 안 계신 것 같습니다.” (교리교육, 2011.9.14.)
The response of the Lord, however, opens us to hope. If the prophet denounces the inescapable force of evil that seems to prevail, the Lord, for his part, announces to him that all of this will end, will cease, because salvation will come and it will not delay: “Look at the proud! Their spirit is not right in them, but the righteous live by their faith” (Hab 2:4).
그러나 주님의 응답은 우리에게 희망을 열어줍니다. 예언자가 왕성해 보이고 피할 수 없는 악의 세력을 비난한다면, 주님께서는, 한편, 그에게 이 모든 것이 끝날 것이라고 선언하십니다. 구원이 올 것이고 지체하지 않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보라, 뻔뻔스러운 자를, 그의 정신은 바르지 않다. 그러나 의인은 성실함으로 산다.” (하바쿡 2,4)
Therefore, there is life, a new possibility of life and salvation that comes from faith, because it not only helps us to resist evil and to persevere in doing good, but it transforms our lives so as to make of them an instrument of the salvation that even today God wishes to bring about in the world. And, as Jesus says in the Gospel, this is about a lowly strength, for faith does not impose itself by means of power and in extraordinary ways. Indeed, it is enough to have faith the size of a mustard seed in order to do unimaginable things (cf. Lk 17:6), because it carries within it the strength of God’s love that opens the way to salvation.
그러므로 삶이 있습니다. 즉 믿음에서 오는 삶과 구원의 새로운 가능성이 있습니다. 믿음은 우리가 악에 저항하고 끈기 있게 선을 행하는 것을 도울 뿐만 아니라, 우리의 삶을 변화시켜서, 우리의 삶을 하느님께서 오늘날에도 세상에서 이루고자 하시는 구원의 도구로 만들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예수님께서 복음에서 말씀하셨듯이, 이것은 낮은 힘에 관한 것입니다. 믿음은 힘이나 특별한 방식으로 강요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사실, 상상할 수 없는 일을 하기 위해서는 겨자씨만 한 믿음으로 충분합니다. (루카 17,6 참조). 왜냐하면 그 믿음 안에는 구원의 길을 여는 하느님 사랑의 힘이 담겨 있기 때문입니다.
This is a salvation that is fulfilled when we take responsibility and, with the compassion of the Gospel, care for the suffering of others; it is a salvation that leads the way, silently and apparently without success, in daily words and actions, which become precisely like the tiny seed of which Jesus speaks; it is a salvation that slowly grows when we become “unworthy servants”, namely when we place ourselves at the service of the Gospel and of our brothers and sisters, not seeking our own interests but only bringing God’s love to the world.
이것은 우리가 책임을 지고, 복음의 연민의 마음으로 다른 사람들의 고통을 돌볼 때 이루어지는 구원입니다. 그것은 매일의 말과 행동에서, 조용히 그리고 성공하지 못한 것처럼 보이며, 길을 인도하며, 정확히 예수님께서 말씀하신 작은 씨앗처럼 되는 구원입니다. 그것은 우리가 “쓸모없는 종”이 될 때, 천천히 자랍니다. 즉 우리 자신을 복음과 형제자매를 위해 봉사하는 자리에 놓고, 우리 자신의 이익을 추구하지 않고, 오직 세상에 하느님의 사랑을 전할 때 구원은 천천히 커집니다.
Trusting in this, we are called to renew in ourselves the fire of our missionary vocation. As Saint Paul VI affirmed, “it is our responsibility to proclaim the Gospel in this extraordinary period of human history, a time truly without precedent, in which, at the heights of progress never before reached, there are also accompanying depths of perplexity and desperation equally without precedent” (Message for World Mission Day, 25 June 1971).
이를 신뢰하며, 우리는 우리 안에 선교 성소의 불을 새롭게 하도록 부르심을 받습니다. 바오로 6세 성인께서 확언하셨듯이, “인류 역사의 이 특별한 시기에 복음을 선포하는 것은 우리의 책임입니다. 참으로 전례가 없는 시기로서, 그 안에는 또한 전에 결코 도달하지 못했던 발전의 정점에 전례 없는 깊은 혼란과 절망이 함께 존재합니다.” (1971년 6월 25일 세계 전교의 날 담화)
Brothers and sisters, today a new missionary age opens up in the history of the Church. If for a long time we have associated with mission the word “depart”, the going out to distant lands that did not know the Gospel or were experiencing poverty, today the frontiers of the missions are no longer geographical, because poverty, suffering and the desire for a greater hope have made their way to us. The story of so many of our migrant brothers and sisters bears witnesses to this: the tragedy of their flight from violence, the suffering which accompanies it, the fear of not succeeding, the perilous risk of traveling along the coastline, their cry of sorrow and desperation. Brothers and sisters, those boats which hope to catch sight of a safe port, and those eyes filled with anguish and hope seeking to reach the shore, cannot and must not find the coldness of indifference or the stigma of discrimination!
형제자매 여러분, 오늘 교회 역사에 새로운 선교 시대가 열리고 있습니다. 오랫동안 우리는 선교를 “떠나다”라는 단어, 곧 복음을 알지 못하거나 가난을 겪고 있는 먼 땅으로 떠나는 것을 의미하는 단어와 연관시켜 왔다면, 오늘날 선교의 전방은 더 이상 지리적 위치가 아닙니다. 가난과 고통, 그리고 더 큰 희망에 대한 갈망이 우리를 찾아오기 때문입니다. 수많은 우리 이주 형제자매들의 이야기가 이를 증언합니다. 즉 폭력으로부터의 비극적인 도피, 그에 따른 고통, 성공하지 못할지도 모른다는 두려움, 해안선을 따르는 여행의 극심한 위험성, 그들의 슬픔과 절망의 외침의 이야기들이 이를 말해주고 있습니다. 형제자매 여러분, 안전한 항구를 찾기를 바라는 보트들과 해안에 도착하기를 갈망하는 희망과 걱정으로 가득 찬 눈길에 무관심의 차가움 또는 차별의 낙인은 절대로 있을 수 없으며 있어서는 안 됩니다.
Mission is not so much about “departing”, but instead “remaining” in order to proclaim Christ through hospitality and welcome, compassion and solidarity. We are to remain without fleeing to the comforts of our individualism; to remain so as to look upon those who arrive from lands that are distant and violent; to remain and open our arms and hearts to them, welcoming them as brothers and sisters, and being for them a presence of consolation and hope.
선교는 이제 "떠나는 것"이 아니라, 환대와 환영, 연민과 연대를 통해 그리스도를 선포하기 위해 "남아있는 것"입니다. 우리는 개인주의의 안락함으로 도피하지 않고, 멀고 폭력적인 땅을 떠나 도착하는 사람들을 지켜보기 위해 남아 있어야 합니다. 남아서 그들에게 우리의 팔과 마음을 열고, 그들을 형제자매로 맞이하며, 그들에게 위로와 희망의 현존이 되어야 합니다.
There are many missionary men and women, but also believers and people of good will, who work in the service of migrants, and promote a new culture of fraternity on the theme of migration, beyond stereotypes and prejudices. But this precious service involves each one of us, within the limits of our own means. As Pope Francis affirmed, this is the time for all of us to let ourselves be “permanently in a state of mission” (Evangelii Guadium, 25).
이주민들을 위해 봉사하고, 고정관념과 편견을 넘어 이주라는 주제에 대한 새로운 형제애 문화를 장려하는 남녀 선교사들뿐 아니라 신자들과 선의의 사람들이 많이 있습니다. 그러나 이 소중한 봉사는 우리 각자가 각자의 능력에 따라 수행해야 합니다. 프란치스코 교황님께서 확언하셨듯이, 지금은 우리 모두가 “지속적인 선교 자세”를 유지해야 할 때입니다. (교황 권고, 복음의 기쁨, 25항)
This entails at least two important missionary tasks: missionary cooperation and missionary vocation. First of all, I ask you to promote a renewed missionary cooperation among the Churches. In the communities of ancient Christian tradition, such as those of the West, the presence of many brothers and sisters from the world’s South should be welcomed as an opportunity, through an exchange that renews the face of the Church and sustains a Christianity that is more open, more alive and more dynamic. At the same time, all missionaries that depart for other lands are called to live with respect within the culture they encounter, directing to the good all that is found true and worthy, and bringing there the prophetic message of the Gospel.
여기에는 적어도 두 가지 중요한 선교 과제, 즉 선교 협력과 선교 성소가 수반됩니다. 우선, 저는 교회들 간의 선교 협력을 새롭게 증진해 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서구 교회처럼 고대 기독교 전통을 지닌 공동체에서는 남반구에서 온 많은 형제자매들의 존재를, 교류를 통하여, 교회의 모습을 새롭게 하고, 더욱 개방적이고 생동감 넘치며 역동적인 그리스도교를 지탱하는 기회로, 환영해야 합니다. 동시에, 다른 지역으로 떠나는 모든 선교사는 자신이 만나는 문화 안에서 존경심을 가지고 살며, 참되고 가치 있는 것으로 밝혀진 모든 선으로 인도하며, 그곳에 복음의 예언적 메시지를 전하도록 부르심을 받습니다.
I would like to recall the beauty and importance of missionary vocations. I refer in particular to the Church in Europe: today there is a need for a new missionary effort by laity, religious and priests who will offer their service in missionary lands. We need new ideas and vocational experiences capable of sustaining this desire, especially in young people.
저는 선교 성소의 아름다움과 중요성을 상기하고 싶습니다. 저는 특별히 유럽의 교회에 대해 말씀드리는데, 유럽의 교회에는 오늘날 선교지에서 봉사할 평신도, 수도자, 그리고 사제들의 새로운 선교 활동이 필요합니다. 특별히 젊은이들의 이 열망을 뒷받침할 수 있는 새로운 아이디어와 성소 경험이 필요합니다.
Beloved friends, I willingly give my blessing to the local clergy of the particular Churches, to missionaries and those discerning a vocation. Whereas, to migrants I say: know that you are always welcome! The seas and deserts that you have crossed, Scripture calls “places of salvation”, in which God makes himself present to save his people. I hope that you find this face of God in the missionaries that you encounter.
사랑하는 친구 여러분, 저는 기쁜 마음으로 저희 축복을 특정 교회의 지역 성직자들, 선교사들, 그리고 성소를 분별하는 분들에게 보냅니다. 또한 이주민들에게 말씀드립니다. 여러분은 언제나 환영받습니다! 여러분이 건너온 바다와 사막을 성경은 "구원의 장소"라고 부르며, 그곳에서 하느님께서 당신 백성을 구원하기 위해 직접 현존하셨습니다. 여러분이 만나는 선교사들에게서 이러한 하느님의 얼굴을 발견하시기를 바랍니다.
I entrust all of you to the intercession of Mary, the first of her Son’s missionaries, who went in haste to the hill country of Judea, carrying Jesus in her womb and putting herself at the service of Elizabeth. May Mary sustain us, so that each of us can become co-workers for the Kingdom of Christ, the Kingdom of love, justice and peace.
저는 여러분 모두를 당신 아드님의 첫 번째 선교사였던 마리아의 전구에 의탁합니다. 성모 마리아께서는 예수님을 뱃속에 품고 유다 산골로 서둘러 가셔서, 엘리사벳의 시중을 드셨습니다. 성모 마리아여, 저희를 지켜주시어 저희 각자가 그리스도의 왕국, 곧 사랑, 정의, 그리고 평화의 왕국의 협력자가 될 수 있게 하소서!
한글 번역: 윤영학 아오스딩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