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황님의 삼종기도 강론(2025.08.10)
최고관리자
19시간 0분전
27
0
- - 짧은주소 : http://yscatholic.com/bbs/?t=1yJ
본문
POPE LEO XIV, ANGELUS, Saint Peter's Square, Sunday, 10 August 2025
Dear brothers and sisters, happy Sunday! In today’s Gospel Jesus invites us to consider how we will invest the treasure that is our life (cf. Lk 12:32-48). He says: “Sell your possessions and give alms” (v. 33).
교황 레오 14세, 삼종기도, 성 베드로 광장, 2025년 8월 10일 주일
사랑하는 형제자매 여러분, 복된 주일입니다! 오늘 복음에서 예수님께서는 우리 삶이라는 보화를 어떻게 투자할 것인지 생각해 보라고 권하십니다. (루카 12,32-48 참조) 예수님께서 “너희는 가진 것을 팔아 자선을 베풀어라.” (루카 12,33) 라고 말씀하십니다.
He exhorts us not to keep to ourselves the gifts that God has given us, but rather to use them generously for the good of others, especially those most in need of our help. It is not simply a matter of sharing the material goods we have, but putting our skills, time, love, presence and compassion at the service of others. In short, everything in God’s plan that makes each of us a priceless and unrepeatable good, a living and breathing asset, must be cultivated and invested in order to grow. Otherwise, these gifts dry up and diminish in value, or they end up being taken away by those, who like thieves, snatch them up as something simply to be consumed.
예수님께서 우리에게 권하시기를, 하느님께서 우리에게 주신 선물을 우리 자신만을 위해 간직하지 말고, 다른 사람들의 유익을 위해, 특히 우리의 도움을 가장 필요로 하는 사람들을 위해 너그럽게 사용하라고 하십니다. 그것은 우리가 가진 물질적인 재화에 국한하지 않고, 우리의 재능, 시간, 사랑, 현존과 연민을 다른 사람들과 나누는 것입니다. 간단히 말해서 우리 각자를 가치를 매길 수 없고 대체 불가의 선으로, 살아있고 숨 쉬는 자산으로 만드는 하느님의 계획안에 있는 모든 것을 가꾸고 투자하여 성장하도록 하여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이러한 선물들이 말라비틀어지고 가치가 없어지게 되거나, 그 선물들을 단지 소비재로 여겨 훔쳐가는 도둑 같은 사람들에게 뺏길 것입니다.
The gift of God that we are is not made to be used in such a manner. We need space, freedom and relationships in order to come to fulfillment and express ourselves. We need love, which alone transforms and ennobles every aspect of our existence, making us more and more like God. It is not by chance that Jesus pronounces these words while he is on the road to Jerusalem, where he will offer himself on the cross for our salvation.
우리는 하느님의 선물인데 그런 식으로 쓰이도록 만들어졌겠습니까! 충만함에 이르고 우리자신을 표현하기 위해서 우리는 공간, 자유, 그리고 관계가 필요합니다. 우리는 사랑이 필요합니다. 사랑은 그 자체로 우리 존재의 모든 측면을 변모시키고 고상하게 하고 우리를 점점 하느님과 같게 합니다. 예수님께서 예루살렘으로 가는 길에서 우리의 구원을 위해 십자가에서 자신을 바치실 것이라고 말씀하신 것은 결코 우연이 아닙니다.
The works of mercy are the most secure and profitable bank where we can entrust the treasure of our existence, because there, as the Gospel teaches us, with “two small copper coins” even the poor widow becomes the richest person in the world (cf. Mk 12:41-44).
자비로운 행위는 우리의 보물을 맡길 수 있는 가장 안전하고 수익성이 있는 은행과 같습니다. 복음서의 가르침과 같이 그 행위 안에서 “두 닢의 동전으로” 가난한 과부조차도 세상에서 가장 부유한 사람이 되기 때문입니다. (마르 12,41-44 참조)
In this regard, Saint Augustine says: “If you gave a pound of coppers and received a pound of silver, or a pound of silver and received one of gold, you would be delighted at your luck. What you give will certainly be transformed; it isn’t gold, it isn’t silver, but eternal life that will come your way” (Sermon 390, 2, PL 39, 1706). And he explains why: “It will be transformed, because you yourself will be transformed” (ibid).
이와 관련하여 성 아우구스티누스는 이렇게 말합니다. "구리 한 근을 주고 은 한 근을 받거나, 은 한 근을 주고 금 한 근을 받는다면, 당신은 자신의 행운에 기뻐할 것입니다. 당신이 주는 것은 분명 변화될 것입니다. 그것은 금도, 은도 아니라, 당신이 맞이하게 될 영원한 생명입니다.“ (설교 390, 2, PL 39, 1706). 그리고 그는 그 이유를 이렇게 설명합니다. "당신이 주는 그것이 변화될 것입니다. 당신 자신이 변화될 것이기 때문입니다. (상동)
To understand what he means by this, we can think of a mother who embraces her children: is she not the most beautiful and richest person in the world? Or a boyfriend and girlfriend, when they are together: do they not feel like king and queen? We could think of many other examples.
그의 이 말을 이해하기 위해서 우리는 아이들을 품에 안는 어머니를 생각할 수 있습니다. 그녀는 이 세상에서 가장 아름답고 부유한 사람이 아닐까요? 또는 함께 있는 사랑하는 젊은 남녀를 생각할 수 있습니다. 그들은 왕과 왕비처럼 느끼지 않을까요? 우리는 그 외에도 많은 예를 생각할 수 있습니다.
Therefore, wherever we are, in the family, parish, school or workplace, we should try not to miss any opportunity to act with love. This is the type of vigilance that Jesus asks of us: to grow in the habit of being attentive, ready and sensitive to one another, just as he is with us in every moment.
그러므로 우리는 가정, 본당, 학교, 직장 등 어디에 있든지 사랑의 행동을 할 기회를 놓치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이런 유형의 경각심을 예수님께서 우리에게 요구하십니다. 즉 예수님께서 우리에게 매 순간 하시듯이, 우리가 서로에게 주의 깊고, 준비되고 민감한 존재가 되는 습관을 키우는 것입니다.
Sisters and brothers, let us entrust to Mary this desire and responsibility: may she, the Morning Star, help us to be the “watchmen” of mercy and peace in a world marked by many divisions. Saint John Paul II taught us this (cf. Vigil of Prayer for the 15th World Youth Day, 19 August 2000). And in a beautiful way, so did the young people who came to Rome for the Jubilee.
자매 형제 여러분, 이 열망과 책임감을 성모 마리아께 의탁합시다. 아침의 별이신 성모 마리아여, 저희를 도우셔서 저희가 수많은 분열로 얼룩진 세상에 자비와 평화의 “파수꾼”이 되게 하소서! 성 요한 바오로 2세께서 이것을 우리에게 가르쳐 주셨습니다. (제15차 세계 청년 대회 전야기도, 2000년 8월 19일 참조) 그리고 아름다운 방식으로 희년을 맞아 로마에 온 젊은이들도 그렇게 기도했습니다.
한글 번역: 윤영학 아오스딩
Dear brothers and sisters, happy Sunday! In today’s Gospel Jesus invites us to consider how we will invest the treasure that is our life (cf. Lk 12:32-48). He says: “Sell your possessions and give alms” (v. 33).
교황 레오 14세, 삼종기도, 성 베드로 광장, 2025년 8월 10일 주일
사랑하는 형제자매 여러분, 복된 주일입니다! 오늘 복음에서 예수님께서는 우리 삶이라는 보화를 어떻게 투자할 것인지 생각해 보라고 권하십니다. (루카 12,32-48 참조) 예수님께서 “너희는 가진 것을 팔아 자선을 베풀어라.” (루카 12,33) 라고 말씀하십니다.
He exhorts us not to keep to ourselves the gifts that God has given us, but rather to use them generously for the good of others, especially those most in need of our help. It is not simply a matter of sharing the material goods we have, but putting our skills, time, love, presence and compassion at the service of others. In short, everything in God’s plan that makes each of us a priceless and unrepeatable good, a living and breathing asset, must be cultivated and invested in order to grow. Otherwise, these gifts dry up and diminish in value, or they end up being taken away by those, who like thieves, snatch them up as something simply to be consumed.
예수님께서 우리에게 권하시기를, 하느님께서 우리에게 주신 선물을 우리 자신만을 위해 간직하지 말고, 다른 사람들의 유익을 위해, 특히 우리의 도움을 가장 필요로 하는 사람들을 위해 너그럽게 사용하라고 하십니다. 그것은 우리가 가진 물질적인 재화에 국한하지 않고, 우리의 재능, 시간, 사랑, 현존과 연민을 다른 사람들과 나누는 것입니다. 간단히 말해서 우리 각자를 가치를 매길 수 없고 대체 불가의 선으로, 살아있고 숨 쉬는 자산으로 만드는 하느님의 계획안에 있는 모든 것을 가꾸고 투자하여 성장하도록 하여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이러한 선물들이 말라비틀어지고 가치가 없어지게 되거나, 그 선물들을 단지 소비재로 여겨 훔쳐가는 도둑 같은 사람들에게 뺏길 것입니다.
The gift of God that we are is not made to be used in such a manner. We need space, freedom and relationships in order to come to fulfillment and express ourselves. We need love, which alone transforms and ennobles every aspect of our existence, making us more and more like God. It is not by chance that Jesus pronounces these words while he is on the road to Jerusalem, where he will offer himself on the cross for our salvation.
우리는 하느님의 선물인데 그런 식으로 쓰이도록 만들어졌겠습니까! 충만함에 이르고 우리자신을 표현하기 위해서 우리는 공간, 자유, 그리고 관계가 필요합니다. 우리는 사랑이 필요합니다. 사랑은 그 자체로 우리 존재의 모든 측면을 변모시키고 고상하게 하고 우리를 점점 하느님과 같게 합니다. 예수님께서 예루살렘으로 가는 길에서 우리의 구원을 위해 십자가에서 자신을 바치실 것이라고 말씀하신 것은 결코 우연이 아닙니다.
The works of mercy are the most secure and profitable bank where we can entrust the treasure of our existence, because there, as the Gospel teaches us, with “two small copper coins” even the poor widow becomes the richest person in the world (cf. Mk 12:41-44).
자비로운 행위는 우리의 보물을 맡길 수 있는 가장 안전하고 수익성이 있는 은행과 같습니다. 복음서의 가르침과 같이 그 행위 안에서 “두 닢의 동전으로” 가난한 과부조차도 세상에서 가장 부유한 사람이 되기 때문입니다. (마르 12,41-44 참조)
In this regard, Saint Augustine says: “If you gave a pound of coppers and received a pound of silver, or a pound of silver and received one of gold, you would be delighted at your luck. What you give will certainly be transformed; it isn’t gold, it isn’t silver, but eternal life that will come your way” (Sermon 390, 2, PL 39, 1706). And he explains why: “It will be transformed, because you yourself will be transformed” (ibid).
이와 관련하여 성 아우구스티누스는 이렇게 말합니다. "구리 한 근을 주고 은 한 근을 받거나, 은 한 근을 주고 금 한 근을 받는다면, 당신은 자신의 행운에 기뻐할 것입니다. 당신이 주는 것은 분명 변화될 것입니다. 그것은 금도, 은도 아니라, 당신이 맞이하게 될 영원한 생명입니다.“ (설교 390, 2, PL 39, 1706). 그리고 그는 그 이유를 이렇게 설명합니다. "당신이 주는 그것이 변화될 것입니다. 당신 자신이 변화될 것이기 때문입니다. (상동)
To understand what he means by this, we can think of a mother who embraces her children: is she not the most beautiful and richest person in the world? Or a boyfriend and girlfriend, when they are together: do they not feel like king and queen? We could think of many other examples.
그의 이 말을 이해하기 위해서 우리는 아이들을 품에 안는 어머니를 생각할 수 있습니다. 그녀는 이 세상에서 가장 아름답고 부유한 사람이 아닐까요? 또는 함께 있는 사랑하는 젊은 남녀를 생각할 수 있습니다. 그들은 왕과 왕비처럼 느끼지 않을까요? 우리는 그 외에도 많은 예를 생각할 수 있습니다.
Therefore, wherever we are, in the family, parish, school or workplace, we should try not to miss any opportunity to act with love. This is the type of vigilance that Jesus asks of us: to grow in the habit of being attentive, ready and sensitive to one another, just as he is with us in every moment.
그러므로 우리는 가정, 본당, 학교, 직장 등 어디에 있든지 사랑의 행동을 할 기회를 놓치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이런 유형의 경각심을 예수님께서 우리에게 요구하십니다. 즉 예수님께서 우리에게 매 순간 하시듯이, 우리가 서로에게 주의 깊고, 준비되고 민감한 존재가 되는 습관을 키우는 것입니다.
Sisters and brothers, let us entrust to Mary this desire and responsibility: may she, the Morning Star, help us to be the “watchmen” of mercy and peace in a world marked by many divisions. Saint John Paul II taught us this (cf. Vigil of Prayer for the 15th World Youth Day, 19 August 2000). And in a beautiful way, so did the young people who came to Rome for the Jubilee.
자매 형제 여러분, 이 열망과 책임감을 성모 마리아께 의탁합시다. 아침의 별이신 성모 마리아여, 저희를 도우셔서 저희가 수많은 분열로 얼룩진 세상에 자비와 평화의 “파수꾼”이 되게 하소서! 성 요한 바오로 2세께서 이것을 우리에게 가르쳐 주셨습니다. (제15차 세계 청년 대회 전야기도, 2000년 8월 19일 참조) 그리고 아름다운 방식으로 희년을 맞아 로마에 온 젊은이들도 그렇게 기도했습니다.
한글 번역: 윤영학 아오스딩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