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황님의 삼종기도 강론(2022.09.04)
최고관리자
2022.09.24 11:56
2,833
0
- - 짧은주소 : http://yscatholic.com/bbs/?t=1r9
본문
HOMILY OF HIS HOLINESS POPE FRANCIS, Saint Peter's Square, XXIII Sunday in Ordinary Time - Sunday, 4 September 2022
Jesus is making his way to Jerusalem, and today’s Gospel tells us that “large crowds were travelling with him” (Lk 14:25). To travel with Jesus means to follow him, to become his disciples. Yet, the Lord’s message to those people was not exactly appealing; in fact, it was quite demanding: whoever does not love him more than his or her own family, whoever does not carry the cross, whoever remains attached to earthly goods, cannot be his disciple (cf. vv. 26-27.33). Why does Jesus say these things to the crowds? What do these admonitions mean? Let us try to answer these questions.
교황님의 강론, 성 베드로 광장, 연중 23주일, 2022년 9월 4일
예수님이 예루살렘으로 가고 계시는데, 오늘 복음은 “많은 군중이 예수님과 함께 길을 가고 있다.” (루카 14,25) 고 얘기합니다. 예수님과 함께 여행한다는 것은 그분을 따르고 그분의 제자가 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러나 그 사람들에게 주신 주님의 메시지는 그다지 매력적이지 않았습니다. 실제론 매우 힘든 내용이었습니다. 누구든지 자기 가족을 그분보다 더 사랑하는 사람, 십자가를 지지 않는 사람, 세상의 재물에 집착하는 사람은 그분의 제자가 될 수 없다고 말씀하십니다. (루카 14, 26-27, 33 참조) 예수님은 왜 군중에게 이런 말씀을 하십니까? 이러한 권고는 무엇을 의미합니까? 이러한 질문에 답해보도록 합시다.
First, we see a great crowd of people following Jesus. We can imagine that many were attracted by his words, astonished at the things he did, and saw him as a source of hope for the future. What would any teacher of that time or, for that matter, what would any astute leader do, seeing that his or her words and charisma attract crowds and increase his or her popularity? The same thing happens today, at times of personal or societal crisis, when we are especially prey to feelings of anger or we fear things that threaten our future. We become more susceptible and thus, on the tide of emotion, we look to those who can shrewdly take advantage of the situation, profiting from society’s fears and promising to be the “saviour” who can solve all its problems, whereas in reality they are looking for wider approval and for greater power, based on the impression they make, their ability to have things in hand.
첫째, 우리는 예수님을 따르는 많은 군중을 봅니다. 우리는 많은 사람들이 그분의 말씀에 매료되었고 그분이 하신 일에 놀랐고 그분을 미래에 대한 희망의 원천으로 보았을 것이라고 상상할 수 있습니다. 그 시대의 어떤 스승 또는 어떤 영리한 지도자는 자신의 말과 카리스마가 군중을 끌어들이고 자신의 인기를 높이는 것을 보고 무엇을 했을까요? 오늘날 개인적 또는 사회적 위기 때 우리가 특별히 분노의 감정에 사로잡혀 있거나 우리의 미래를 위협하는 것들을 두려워 할 때 같은 일이 벌어집니다. 우리는 더 민감해져서 감정의 흐름에 따라, 사회적 두려움에서 이익을 취하고 모든 문제를 풀 수 있는 “구원자”가 되겠다고 약속하며 상황을 약삭빠르게 이용할 수 있는 사람들을 찾습니다. 그러나 실제로 그런 사람들은 더 넓은 인정과 더 큰 권력을 찾고, 그들이 쌓아올린 인상을 바탕으로 무엇이든 손 안에 쥘 능력을 키웁니다.
The Gospel tells us that this is not Jesus’ way. God’s style is different.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God’s style, how he acts. God acts according to a style, and God’s style is different from that of certain people, since he does not exploit our needs or use our vulnerability for his own aggrandizement. He does not want to seduce us with deceptive promises or to distribute cheap favours; he is not interested in huge crowds. He is not obsessed with numbers; he does not seek approval; he does not idolize personal success. On the contrary, he seems to be worried when people follow him with giddy excitement and enthusiasm. As a result, instead of yielding to the allure of popularity – for popularity is alluring – he asks each person to discern carefully their reason for following him and the consequences that it will entail.
복음은 우리에게 말하기를 이것은 예수님의 길이 아니라고 합니다. 하느님의 스타일은 다릅니다. 하느님의 스타일, 그분은 어떻게 하시는지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하느님은 스타일에 따라 행동하시며 하느님의 스타일은 어떤 특정의 사람의 스타일과 다릅니다. 그분은 우리의 필요를 착취하지 않으시고 우리의 취약함을 그분 자신의 지위확장을 위해 이용하지 않으십니다. 그분은 거짓 약속으로 우리를 유혹하거나 값싼 호의를 베풀기를 원하지 않으십니다. 그분은 거대한 군중에 관심이 없고 숫자에 집착하지 않으십니다. 그분은 인정받기를 추구하지 않으시며 개인적 성공을 우상화하지 않으십니다. 오히려 그분은 사람들이 설렘과 영광으로 그분을 따라올 때 걱정하시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그분은 인기의 유혹에 굴복하는 대신 - 인기가 유혹하기 때문에 - 각자에게 그분을 따르는 이유와 그것이 가져올 결과를 신중하게 분별하도록 청하십니다.
For many in those crowds might have been following Jesus because they hoped he would be a leader who could set them free from their enemies, someone who, once in power, could share that power with them, or someone who by performing miracles could make hunger and disease disappear. We can follow the Lord for any number of reasons. Some of these, it must be acknowledged, are worldly. A perfect religious exterior can serve to hide the mere satisfaction of one’s own needs, the quest of personal prestige, the desire for a certain social status or to keep things under control, the thirst for power and privilege, the desire for recognition and so on. This happens even nowadays among Christians. Yet that is not the style of Jesus. That cannot be the style of his disciples and of his Church. If anyone follows Jesus with this kind of self-interest, he or she has taken the wrong path.
그 군중 가운데 많은 사람들은 예수님이 그들을 그들의 적으로부터 해방시켜줄 수 있는 리더로, 권력을 쥐면 그 권력을 자신들과 나눌 수 있는, 기적을 행함으로써 가난과 질병이 사라지게 할 수 있는 사람일 것으로 희망하기 때문에 예수님을 따랐을 것입니다. 우리는 여러 가지 이유로 주님을 따를 수 있습니다. 이들 중 일부는 세속적이라는 사실을 인정해야 합니다. 완전한 종교적 겉모습은 자신의 단순한 욕구 충족, 개인적 명망의 추구, 특정 사회적 지위에 대한 욕망, 사물을 통제하려는 욕망, 권력과 특권에 대한 갈망, 인정에 대한 욕망 등을 숨기는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이것은 오늘날 그리스도인들 사이에서도 일어납니다. 그러나 그것은 예수님의 스타일이 아닙니다. 그것은 그분의 제자들과 그분의 교회의 스타일일 수 없습니다. 누구든지 이런 종류의 자신의 이익을 위해 예수님을 따른다면 그는 잘못된 길을 택한 것입니다.
The Lord demands a different attitude. To follow him does not mean to become part of a court or a triumphal procession, or even to receive a lifetime insurance policy. On the contrary, it means “carrying one’s cross” (Lk 14:27): shouldering, like him, one’s own burdens and those of others, making one’s life a gift, not a possession, spending it in imitation of his own generous and merciful love for us. These are decisions that engage the totality of our lives. For this reason, Jesus desires that his disciples prefer nothing to this love, even their deepest affections and greatest treasures.
주님은 다른 태도를 요구하십니다. 그분을 따르는 것은 왕가나 개선행렬의 일부가 되거나 심지어 종신보험증서를 받는 것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반대로 그것은 “자신의 십자가”를 지는 것을 의미합니다. (루카 14,27) 그분처럼 자신의 짐과 다른 사람들의 짐을 지고 자신의 생명을 소유가 아닌 선물이 되도록 그분의 우리에 대한 관대하고 자비로운 사랑을 본받아 사용하는 것입니다. 이런 것들은 우리의 생명 전체와 관련된 결정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예수님은 그분의 제자들이 이 사랑 이외에는 아무것도, 심지어 그들의 가장 깊은 사랑과 가장 큰 보물까지도 선호하지 않기를 바라십니다.
To do this, we need to look to him more than to ourselves, to learn how to love, and to learn this from the Crucified One. In him, we see the love that bestows itself to the very end, without measure and without limits. The measure of love is to love without measure. In the words of Pope John Paul, “we are the objects of undying love on the part of God” (Angelus, 10 September 1978). An undying love: it never sinks beneath the horizon of our lives; it shines upon us and illumines even our darkest nights. When we gaze upon the Crucified Lord, we are called to the heights of that love, to be purified of our distorted ideas of God and of our self-absorption, and to love God and others, in Church and society, including those who do not see things as we do, to love even our enemies.
이것을 하기 위해서 우리는 우리 자신보다 그분을 더 바라보고, 어떻게 사랑하는지 배우고, 십자가에 못 박히신 분으로부터 이것을 배워야 합니다. 그분 안에 우리는 계산하지 않고 무제한 자신을 내어주는 사랑을 봅니다. 사랑의 척도는 측량없이 사랑하는 것입니다. 교황 요한 바오로의 말씀처럼 “우리는 하느님 편에서 영원한 사랑의 대상들입니다.” (Angelus, 1978년 9월 10일) 불멸의 사랑, 그 사랑은 결코 우리 삶의 지평 아래로 가라앉지 않습니다. 그것은 우리를 비추고 우리의 가장 어두운 밤까지도 밝힙니다. 우리가 십자가에 못 박히신 주님을 바라볼 때, 우리는 그 사랑의 높이까지 부르심을 받으며, 하느님에 대한 우리의 왜곡된 생각과 자기 몰두가 정화되고, 교회와 사회에서 하느님과 다른 사람들을 사랑하도록, 사물을 우리가 보는 것처럼 보지 않는 사람들을 포함하여 우리의 원수까지도 사랑하도록 부르심을 받습니다.
To love even at the cost of sacrifice, silence, misunderstanding, solitude, resistance and persecution. To love in this way, even at this price, because, as Blessed John Paul I also said, if you want to kiss Jesus crucified, “you cannot help bending over the cross and letting yourself be pricked by a few thorns of the crown on the Lord’s head” (General Audience, 27 September 1978). A love that perseveres to the end, thorns and all: no leaving things half done, no cutting corners, no fleeing difficulties. If we fail to aim high, if we refuse to take risks, if we content ourselves with a watered-down faith, we are, as Jesus says, like those who want to build a tower but do not estimate the cost; they “lay the foundations”, but then are “not able to finish the work” (v. 29).
희생, 침묵, 오해, 고독, 저항, 박해라는 비용을 지불하고라도 사랑하는 것. 이렇게 사랑하는 것, 이 값을 지불하고라도, 이렇게 사랑하는 것입니다. 복자 요한 바오로 1세가 또한 다음과 같이 말씀하셨듯이 십자가에 못 박히신 예수님과 키스하기를 원하면, “십자가 위로 몸을 굽혀야 하고 주님의 머리에 씌워진 왕관의 가시에 찔릴 것” (General Audience, 27 September 1978)이기 때문입니다. 끝까지 견디는 사랑, 가시와 모든 것은 반만 하고 남겨 두지 않기, 비용을 절감하지 않기, 어려움으로부터 도망가지 않는 것입니다. 우리가 높은 목표를 못 세우면 우리가 위험을 감수하기를 거부하면 우리가 희석된 믿음으로 만족하면 우리는 예수님이 말씀하신대로 탑을 세우기를 원하지만 비용을 계산하지 않은 사람들과 같습니다. 그들은 “기초만 놓은” 채 “마치지 못합니다.” (29절)
If the fear of losing ourselves makes us stop giving ourselves, we leave things undone: our relationships and work, our responsibilities and commitments, our dreams and even our faith. And then we end up living life halfway – and how many people live life halfway, and we also frequently are tempted to live life halfway – without ever taking the decisive step – this is what it means to live life halfway – without ever taking flight, without ever taking risks for the good, and without ever truly committing ourselves to helping others. Jesus asks us precisely this: live the Gospel and you will live your life, not halfway but to the full. Live the Gospel, live life, with no compromises.
자신을 잃는 것에 대한 두려움이 우리 자신을 주는 것을 포기하게 만든다면, 우리는 관계와 일, 우리의 책임과 약속, 우리의 꿈, 심지어 우리의 믿음까지 미완성으로 끝내게 됩니다. 그러면 우리는 인생의 절반을 사는 것으로 끝납니다.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인생의 절반만 삽니까? 우리도 자주 절반만 사는 유혹을 받습니다. - 결정적인 단계를 밟지 않고 - 이것이 절반만 사는 것을 뜻합니다. - 결코 도피하지 않고, 선을 위해 위험을 감수하지 않고, 다른 사람들을 돕는 데 진정으로 헌신하지 않는 것입니다. 예수님은 우리에게 정확히 이것을 청하십니다. 복음을 사십시오. 그러면 당신의 삶을 절반이 아니고 충만히 살 것입니다. 복음을 사십시오. 타협 없이 삶을 사십시오.
Dear brothers and sisters, our new Blessed lived that way: in the joy of the Gospel, without compromises, loving to the very end. He embodied the poverty of the disciple, which is not only detachment from material goods, but also victory over the temptation to put oneself at the centre, to seek one’s own glory. On the contrary, following the example of Jesus, he was a meek and humble pastor. He thought of himself as dust on which God designed to write (cf. A. LUCIANI/JOHN PAUL I, Opera Omnia, Padua, 1988, vol. II, 11). That is why he could say: “The Lord recommended it so much: be humble. Even if you have done great things, say: ‘We are useless servants’” (General Audience, 6 September 1978).
사랑하는 형제자매 여러분, 우리의 새 복자는 복음의 기쁨 안에서 타협 없이 끝까지 사랑하면서 그렇게 살았습니다. 그는 물질적 재화에 대한 초연함뿐 아니라 자신을 중심에 두고 자신의 영광을 구하려는 유혹을 이겨내는 제자의 가난을 구현하였습니다. 예수님을 본받아 그는 온유하고 겸손한 목자였습니다. 그는 자신을 하느님이 그 위에 글을 쓰시려고 만드신 먼지라고 생각했습니다. (cf. A. LUCIANI/JOHN PAUL I, Opera Omnia, Padua, 1988, vol. II, 11). 그래서 그는 이렇게 말할 수 있었습니다. “주님이 아주 많이 그것을 권하셨습니다. 즉, 겸손하여라. 위대한 일을 했을 경우에도, 이렇게 말하여라. ‘우리는 쓸모없는 종들입니다.’” (일반 접견, 1978년 9월 6일)
With a smile, Pope John Paul managed to communicate the goodness of the Lord. How beautiful is a Church with a happy, serene and smiling face, a Church that never closes doors, never hardens hearts, never complains or harbours resentment, does not grow angry or impatient, does not look dour or suffer nostalgia for the past, falling into an attitude of going backwards. Let us pray to him, our father and our brother, and ask him to obtain for us “the smile of the soul”, a transparent smile that does not deceive, the smile of the soul. Let us pray, in his own words: “Lord take me as I am, with my defects, with my shortcomings, but make me become what you want me to be” (General Audience, 13 September 1978). Amen
미소를 지으며 교황 요한 바오로는 주님의 선하심을 전하였습니다. 행복하고 고요하고 웃는 얼굴의 교회, 결코 문을 닫지 않고, 마음을 완고하게 하지 않고, 불평하거나 원한을 품지 않고, 화내거나 조르지 않고, 우울해 보이거나 과거를 그리워하지 않고 뒤로 물러나는 자세로 넘어지지 않는 교회가 얼마나 아름답습니까? 우리의 아버지이자 우리의 형제이신 그분께 저희를 위해 “영혼의 미소,” 속이지 않는 투명한 미소, 영혼의 미소를 구해 주십사고 기도합시다. 그 자신의 말로 모두 기도합시다. “주님, 저를 있는 그대로, 저의 결점과, 저의 약점들을 받아주소서! 그러나 주님께서 원하시는 저로 만들어 주소서!” (일반 접견, 1978년 9월 13일) 아멘.
한글번역: 윤영학 아오스딩
Jesus is making his way to Jerusalem, and today’s Gospel tells us that “large crowds were travelling with him” (Lk 14:25). To travel with Jesus means to follow him, to become his disciples. Yet, the Lord’s message to those people was not exactly appealing; in fact, it was quite demanding: whoever does not love him more than his or her own family, whoever does not carry the cross, whoever remains attached to earthly goods, cannot be his disciple (cf. vv. 26-27.33). Why does Jesus say these things to the crowds? What do these admonitions mean? Let us try to answer these questions.
교황님의 강론, 성 베드로 광장, 연중 23주일, 2022년 9월 4일
예수님이 예루살렘으로 가고 계시는데, 오늘 복음은 “많은 군중이 예수님과 함께 길을 가고 있다.” (루카 14,25) 고 얘기합니다. 예수님과 함께 여행한다는 것은 그분을 따르고 그분의 제자가 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러나 그 사람들에게 주신 주님의 메시지는 그다지 매력적이지 않았습니다. 실제론 매우 힘든 내용이었습니다. 누구든지 자기 가족을 그분보다 더 사랑하는 사람, 십자가를 지지 않는 사람, 세상의 재물에 집착하는 사람은 그분의 제자가 될 수 없다고 말씀하십니다. (루카 14, 26-27, 33 참조) 예수님은 왜 군중에게 이런 말씀을 하십니까? 이러한 권고는 무엇을 의미합니까? 이러한 질문에 답해보도록 합시다.
First, we see a great crowd of people following Jesus. We can imagine that many were attracted by his words, astonished at the things he did, and saw him as a source of hope for the future. What would any teacher of that time or, for that matter, what would any astute leader do, seeing that his or her words and charisma attract crowds and increase his or her popularity? The same thing happens today, at times of personal or societal crisis, when we are especially prey to feelings of anger or we fear things that threaten our future. We become more susceptible and thus, on the tide of emotion, we look to those who can shrewdly take advantage of the situation, profiting from society’s fears and promising to be the “saviour” who can solve all its problems, whereas in reality they are looking for wider approval and for greater power, based on the impression they make, their ability to have things in hand.
첫째, 우리는 예수님을 따르는 많은 군중을 봅니다. 우리는 많은 사람들이 그분의 말씀에 매료되었고 그분이 하신 일에 놀랐고 그분을 미래에 대한 희망의 원천으로 보았을 것이라고 상상할 수 있습니다. 그 시대의 어떤 스승 또는 어떤 영리한 지도자는 자신의 말과 카리스마가 군중을 끌어들이고 자신의 인기를 높이는 것을 보고 무엇을 했을까요? 오늘날 개인적 또는 사회적 위기 때 우리가 특별히 분노의 감정에 사로잡혀 있거나 우리의 미래를 위협하는 것들을 두려워 할 때 같은 일이 벌어집니다. 우리는 더 민감해져서 감정의 흐름에 따라, 사회적 두려움에서 이익을 취하고 모든 문제를 풀 수 있는 “구원자”가 되겠다고 약속하며 상황을 약삭빠르게 이용할 수 있는 사람들을 찾습니다. 그러나 실제로 그런 사람들은 더 넓은 인정과 더 큰 권력을 찾고, 그들이 쌓아올린 인상을 바탕으로 무엇이든 손 안에 쥘 능력을 키웁니다.
The Gospel tells us that this is not Jesus’ way. God’s style is different.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God’s style, how he acts. God acts according to a style, and God’s style is different from that of certain people, since he does not exploit our needs or use our vulnerability for his own aggrandizement. He does not want to seduce us with deceptive promises or to distribute cheap favours; he is not interested in huge crowds. He is not obsessed with numbers; he does not seek approval; he does not idolize personal success. On the contrary, he seems to be worried when people follow him with giddy excitement and enthusiasm. As a result, instead of yielding to the allure of popularity – for popularity is alluring – he asks each person to discern carefully their reason for following him and the consequences that it will entail.
복음은 우리에게 말하기를 이것은 예수님의 길이 아니라고 합니다. 하느님의 스타일은 다릅니다. 하느님의 스타일, 그분은 어떻게 하시는지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하느님은 스타일에 따라 행동하시며 하느님의 스타일은 어떤 특정의 사람의 스타일과 다릅니다. 그분은 우리의 필요를 착취하지 않으시고 우리의 취약함을 그분 자신의 지위확장을 위해 이용하지 않으십니다. 그분은 거짓 약속으로 우리를 유혹하거나 값싼 호의를 베풀기를 원하지 않으십니다. 그분은 거대한 군중에 관심이 없고 숫자에 집착하지 않으십니다. 그분은 인정받기를 추구하지 않으시며 개인적 성공을 우상화하지 않으십니다. 오히려 그분은 사람들이 설렘과 영광으로 그분을 따라올 때 걱정하시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그분은 인기의 유혹에 굴복하는 대신 - 인기가 유혹하기 때문에 - 각자에게 그분을 따르는 이유와 그것이 가져올 결과를 신중하게 분별하도록 청하십니다.
For many in those crowds might have been following Jesus because they hoped he would be a leader who could set them free from their enemies, someone who, once in power, could share that power with them, or someone who by performing miracles could make hunger and disease disappear. We can follow the Lord for any number of reasons. Some of these, it must be acknowledged, are worldly. A perfect religious exterior can serve to hide the mere satisfaction of one’s own needs, the quest of personal prestige, the desire for a certain social status or to keep things under control, the thirst for power and privilege, the desire for recognition and so on. This happens even nowadays among Christians. Yet that is not the style of Jesus. That cannot be the style of his disciples and of his Church. If anyone follows Jesus with this kind of self-interest, he or she has taken the wrong path.
그 군중 가운데 많은 사람들은 예수님이 그들을 그들의 적으로부터 해방시켜줄 수 있는 리더로, 권력을 쥐면 그 권력을 자신들과 나눌 수 있는, 기적을 행함으로써 가난과 질병이 사라지게 할 수 있는 사람일 것으로 희망하기 때문에 예수님을 따랐을 것입니다. 우리는 여러 가지 이유로 주님을 따를 수 있습니다. 이들 중 일부는 세속적이라는 사실을 인정해야 합니다. 완전한 종교적 겉모습은 자신의 단순한 욕구 충족, 개인적 명망의 추구, 특정 사회적 지위에 대한 욕망, 사물을 통제하려는 욕망, 권력과 특권에 대한 갈망, 인정에 대한 욕망 등을 숨기는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이것은 오늘날 그리스도인들 사이에서도 일어납니다. 그러나 그것은 예수님의 스타일이 아닙니다. 그것은 그분의 제자들과 그분의 교회의 스타일일 수 없습니다. 누구든지 이런 종류의 자신의 이익을 위해 예수님을 따른다면 그는 잘못된 길을 택한 것입니다.
The Lord demands a different attitude. To follow him does not mean to become part of a court or a triumphal procession, or even to receive a lifetime insurance policy. On the contrary, it means “carrying one’s cross” (Lk 14:27): shouldering, like him, one’s own burdens and those of others, making one’s life a gift, not a possession, spending it in imitation of his own generous and merciful love for us. These are decisions that engage the totality of our lives. For this reason, Jesus desires that his disciples prefer nothing to this love, even their deepest affections and greatest treasures.
주님은 다른 태도를 요구하십니다. 그분을 따르는 것은 왕가나 개선행렬의 일부가 되거나 심지어 종신보험증서를 받는 것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반대로 그것은 “자신의 십자가”를 지는 것을 의미합니다. (루카 14,27) 그분처럼 자신의 짐과 다른 사람들의 짐을 지고 자신의 생명을 소유가 아닌 선물이 되도록 그분의 우리에 대한 관대하고 자비로운 사랑을 본받아 사용하는 것입니다. 이런 것들은 우리의 생명 전체와 관련된 결정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예수님은 그분의 제자들이 이 사랑 이외에는 아무것도, 심지어 그들의 가장 깊은 사랑과 가장 큰 보물까지도 선호하지 않기를 바라십니다.
To do this, we need to look to him more than to ourselves, to learn how to love, and to learn this from the Crucified One. In him, we see the love that bestows itself to the very end, without measure and without limits. The measure of love is to love without measure. In the words of Pope John Paul, “we are the objects of undying love on the part of God” (Angelus, 10 September 1978). An undying love: it never sinks beneath the horizon of our lives; it shines upon us and illumines even our darkest nights. When we gaze upon the Crucified Lord, we are called to the heights of that love, to be purified of our distorted ideas of God and of our self-absorption, and to love God and others, in Church and society, including those who do not see things as we do, to love even our enemies.
이것을 하기 위해서 우리는 우리 자신보다 그분을 더 바라보고, 어떻게 사랑하는지 배우고, 십자가에 못 박히신 분으로부터 이것을 배워야 합니다. 그분 안에 우리는 계산하지 않고 무제한 자신을 내어주는 사랑을 봅니다. 사랑의 척도는 측량없이 사랑하는 것입니다. 교황 요한 바오로의 말씀처럼 “우리는 하느님 편에서 영원한 사랑의 대상들입니다.” (Angelus, 1978년 9월 10일) 불멸의 사랑, 그 사랑은 결코 우리 삶의 지평 아래로 가라앉지 않습니다. 그것은 우리를 비추고 우리의 가장 어두운 밤까지도 밝힙니다. 우리가 십자가에 못 박히신 주님을 바라볼 때, 우리는 그 사랑의 높이까지 부르심을 받으며, 하느님에 대한 우리의 왜곡된 생각과 자기 몰두가 정화되고, 교회와 사회에서 하느님과 다른 사람들을 사랑하도록, 사물을 우리가 보는 것처럼 보지 않는 사람들을 포함하여 우리의 원수까지도 사랑하도록 부르심을 받습니다.
To love even at the cost of sacrifice, silence, misunderstanding, solitude, resistance and persecution. To love in this way, even at this price, because, as Blessed John Paul I also said, if you want to kiss Jesus crucified, “you cannot help bending over the cross and letting yourself be pricked by a few thorns of the crown on the Lord’s head” (General Audience, 27 September 1978). A love that perseveres to the end, thorns and all: no leaving things half done, no cutting corners, no fleeing difficulties. If we fail to aim high, if we refuse to take risks, if we content ourselves with a watered-down faith, we are, as Jesus says, like those who want to build a tower but do not estimate the cost; they “lay the foundations”, but then are “not able to finish the work” (v. 29).
희생, 침묵, 오해, 고독, 저항, 박해라는 비용을 지불하고라도 사랑하는 것. 이렇게 사랑하는 것, 이 값을 지불하고라도, 이렇게 사랑하는 것입니다. 복자 요한 바오로 1세가 또한 다음과 같이 말씀하셨듯이 십자가에 못 박히신 예수님과 키스하기를 원하면, “십자가 위로 몸을 굽혀야 하고 주님의 머리에 씌워진 왕관의 가시에 찔릴 것” (General Audience, 27 September 1978)이기 때문입니다. 끝까지 견디는 사랑, 가시와 모든 것은 반만 하고 남겨 두지 않기, 비용을 절감하지 않기, 어려움으로부터 도망가지 않는 것입니다. 우리가 높은 목표를 못 세우면 우리가 위험을 감수하기를 거부하면 우리가 희석된 믿음으로 만족하면 우리는 예수님이 말씀하신대로 탑을 세우기를 원하지만 비용을 계산하지 않은 사람들과 같습니다. 그들은 “기초만 놓은” 채 “마치지 못합니다.” (29절)
If the fear of losing ourselves makes us stop giving ourselves, we leave things undone: our relationships and work, our responsibilities and commitments, our dreams and even our faith. And then we end up living life halfway – and how many people live life halfway, and we also frequently are tempted to live life halfway – without ever taking the decisive step – this is what it means to live life halfway – without ever taking flight, without ever taking risks for the good, and without ever truly committing ourselves to helping others. Jesus asks us precisely this: live the Gospel and you will live your life, not halfway but to the full. Live the Gospel, live life, with no compromises.
자신을 잃는 것에 대한 두려움이 우리 자신을 주는 것을 포기하게 만든다면, 우리는 관계와 일, 우리의 책임과 약속, 우리의 꿈, 심지어 우리의 믿음까지 미완성으로 끝내게 됩니다. 그러면 우리는 인생의 절반을 사는 것으로 끝납니다.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인생의 절반만 삽니까? 우리도 자주 절반만 사는 유혹을 받습니다. - 결정적인 단계를 밟지 않고 - 이것이 절반만 사는 것을 뜻합니다. - 결코 도피하지 않고, 선을 위해 위험을 감수하지 않고, 다른 사람들을 돕는 데 진정으로 헌신하지 않는 것입니다. 예수님은 우리에게 정확히 이것을 청하십니다. 복음을 사십시오. 그러면 당신의 삶을 절반이 아니고 충만히 살 것입니다. 복음을 사십시오. 타협 없이 삶을 사십시오.
Dear brothers and sisters, our new Blessed lived that way: in the joy of the Gospel, without compromises, loving to the very end. He embodied the poverty of the disciple, which is not only detachment from material goods, but also victory over the temptation to put oneself at the centre, to seek one’s own glory. On the contrary, following the example of Jesus, he was a meek and humble pastor. He thought of himself as dust on which God designed to write (cf. A. LUCIANI/JOHN PAUL I, Opera Omnia, Padua, 1988, vol. II, 11). That is why he could say: “The Lord recommended it so much: be humble. Even if you have done great things, say: ‘We are useless servants’” (General Audience, 6 September 1978).
사랑하는 형제자매 여러분, 우리의 새 복자는 복음의 기쁨 안에서 타협 없이 끝까지 사랑하면서 그렇게 살았습니다. 그는 물질적 재화에 대한 초연함뿐 아니라 자신을 중심에 두고 자신의 영광을 구하려는 유혹을 이겨내는 제자의 가난을 구현하였습니다. 예수님을 본받아 그는 온유하고 겸손한 목자였습니다. 그는 자신을 하느님이 그 위에 글을 쓰시려고 만드신 먼지라고 생각했습니다. (cf. A. LUCIANI/JOHN PAUL I, Opera Omnia, Padua, 1988, vol. II, 11). 그래서 그는 이렇게 말할 수 있었습니다. “주님이 아주 많이 그것을 권하셨습니다. 즉, 겸손하여라. 위대한 일을 했을 경우에도, 이렇게 말하여라. ‘우리는 쓸모없는 종들입니다.’” (일반 접견, 1978년 9월 6일)
With a smile, Pope John Paul managed to communicate the goodness of the Lord. How beautiful is a Church with a happy, serene and smiling face, a Church that never closes doors, never hardens hearts, never complains or harbours resentment, does not grow angry or impatient, does not look dour or suffer nostalgia for the past, falling into an attitude of going backwards. Let us pray to him, our father and our brother, and ask him to obtain for us “the smile of the soul”, a transparent smile that does not deceive, the smile of the soul. Let us pray, in his own words: “Lord take me as I am, with my defects, with my shortcomings, but make me become what you want me to be” (General Audience, 13 September 1978). Amen
미소를 지으며 교황 요한 바오로는 주님의 선하심을 전하였습니다. 행복하고 고요하고 웃는 얼굴의 교회, 결코 문을 닫지 않고, 마음을 완고하게 하지 않고, 불평하거나 원한을 품지 않고, 화내거나 조르지 않고, 우울해 보이거나 과거를 그리워하지 않고 뒤로 물러나는 자세로 넘어지지 않는 교회가 얼마나 아름답습니까? 우리의 아버지이자 우리의 형제이신 그분께 저희를 위해 “영혼의 미소,” 속이지 않는 투명한 미소, 영혼의 미소를 구해 주십사고 기도합시다. 그 자신의 말로 모두 기도합시다. “주님, 저를 있는 그대로, 저의 결점과, 저의 약점들을 받아주소서! 그러나 주님께서 원하시는 저로 만들어 주소서!” (일반 접견, 1978년 9월 13일) 아멘.
한글번역: 윤영학 아오스딩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