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성경묵상

영어성경묵상

교황님의 삼종기도 강론(2021.11.28)

최고관리자
2021.12.08 17:30 1,803 0

본문

Holy Father's Address Before the Angelus [Saint Peter's Square] 1st Sunday of Advent (28 November 2021)

Dear brothers and sisters, buongiorno! The Gospel of today’s liturgy, the First Sunday of Advent, speaks to us about the Lord’s coming at the end of time. Jesus announces bleak and distressing events, but precisely at this point He invites us not to be afraid. Why? Because everything will be okay? No, but because He will come. Jesus will return as He promised. This is what he says: “Stand erect and raise your heads because your redemption is at hand” (Lk 21:28). It is nice to hear this encouraging Word: stand up straight and raise our heads because right during those moments when everything seems to be coming to an end, the Lord comes to save us. We await Him with joy, even in the midst of tribulations, during life’s crises and the dramatic events of history. We await Him.
교황님의 삼종기도 전 말씀 [성 베드로 광장] 대림 1주일 (2021년 11월 28일)

친애하는 형제자매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대림절 첫째 주일인 오늘 전례의 복음은 세상 끝 날에 주님께서 오시는 것에 대해 얘기합니다. 예수님은 황량하고 괴로운 사건들을 선포하시지만 바로 이 시점에 예수님께서 우리에게 두려워하지 말라고 권하십니다.  왜 그렇습니까? 모든 것이 괜찮을 것이기 때문입니까? 아닙니다. 그분께서 오실 것이기 때문입니다. 예수님께서 약속하신대로 돌아오실 것입니다. 그래서 예수님께서 다음과 같이 말씀하십니다. “허리를 펴고 머리를 들어라. 너희의 속량이 가까웠기 때문이다.”(루카 21, 28) 이 격려의 말씀을 들으니 좋습니다. 똑바로 서서 우리의 머리를 들으십시오. 모든 것이 끝나는 것처럼 보이는 바로 이 순간에 주님께서 우리를 구원하러 오시기 때문입니다. 우리는 환난 가운데서도 인생의 위기와 역사의 극적인 사건들 가운데에서 기쁜 마음으로 그분을 기다립니다. 우리는 그분을 기다립니다.

But how do we raise our heads and not become absorbed with difficulties, suffering and defeat? Jesus points the way with a strong reminder: “Beware that your hearts do not become drowsy… Be vigilant at all times and pray” (Lk 21:34, 36). “Be vigilant”: vigilance. Let us focus on this important aspect of the Christian life. From the words of Christ, we see that vigilance is tied to alertness: be alert, do not get distracted, that is, stay awake! Vigilance means this: not to allow our hearts to become lazy or our spiritual life to soften into mediocrity. Be careful because we can become “sleepy Christians” – and we know there are many Christians who are asleep, who are anesthetized by spiritual worldliness - Christians without spiritual fervor, without intensity in prayer, without enthusiasm for mission, without passion for the Gospel; Christians who always look inwards, incapable of looking to the horizon.

그러나 어떻게 우리가 머리를 들고 어려움과 고통과 패배에 빠져들지 않을 수 있습니까? 예수님께서 강력하게 상기시키면서 방법을 가리키십니다. “너희는 스스로 조심하여, 방탕과 만취와 일상의 근심으로 너희 마음이 물러지는 일이 없게 하여라. 그리고 그날이 너희를 덫처럼 갑자기 덮치지 않게 하여라.” (루카 21,34) “너희는 앞으로 일어날 이 모든 일에서 벗어나 사람의 아들 앞에 설 수 있는 힘을 지니도록 늘 깨어 기도하여라.” (루카 21,36) “깨어 있어라” 깨어 있음. 그리스도인의 이 중요한 관점에 초점을 맞춥시다. 그리스도의 이 말씀으로부터 우리는 깨어있음이 경계와 연결되어 있음을 압니다. 그것은 깨어 있는 것입니다. 깨어있음은 다음을 의미합니다. 우리의 마음이 게을러지거나 우리의 영적 삶이 느슨해져서 보통이 되는 것입니다. 우리가 “조는 크리스천”이 될 수 있으니 조심하십시오. - 많은 크리스천들이 잠들어 있거나 영적 세속화에 마비되어 있는 것을 압니다. - 영적인 열심히 없고, 기도에 간절함이 없고, 선교에 열의가 없고, 복음에 열정이 없는 크리스천입니다. 항상 내면을 바라보고 지평선을 내다볼 수 없는 크리스천입니다.

And this leads to “dozing off”: to move things along by inertia, to fall into apathy, indifferent to everything except what is comfortable for us. This is a sad life going forward this way since there is no happiness. We need to be vigilant so that our daily life does not become routine, and, as Jesus says, so we are not burdened by life’s anxieties (cf. v. 34). So today is a good moment to ask ourselves: what weighs on my heart? What weighs on my spirit? What makes me go to sit in the lazy chair? It is sad to see Christians “in the armchair”! What are the mediocrities that paralyze me, the vices that crush me to the ground and prevent me from raising my head?

그리고 이것은 "잠들어버림"으로 이어집니다. 관성에 따라 물건을 움직이고 무감각에 빠지고, 우리에게 편안한 것 이외의 모든 것에 무관심합니다. 이런 식의 삶은 슬픕니다. 행복이 없기 때문입니다. 우리의 매일의 삶이 판에 박힌 일상이 되지 않도록 그리고 예수님께서 말씀하신대로 삶의 근심에 짓눌리지 않도록 우리는 깨어 있어야 합니다. (34절 참조) 그러므로 오늘은 우리 자신에게 물어볼 좋은 시간입니다. 무엇이 내 마음을 짓누릅니까? 무엇이 내 영혼을 누릅니까? 무엇이 나를 안락의자에 앉게 합니까? “안락의자”에 앉아 있는 크리스천을 보는 것을 슬픕니다.  나를 마비시키는 평범함, 나를 땅바닥에 짓밟고 고개를 들지 못하게 하는 악은 무엇입니까?

And regarding the burdens that weigh on the shoulders of our brothers and sisters, am I aware of them or indifferent to them? These are good questions to ask ourselves, because they help guard our hearts against apathy. What then is apathy? It is a great enemy of the spiritual life and also of Christian life. Apathy is a type of laziness that makes us slide into sadness, it takes away zest for life and the will to do things. It is a negative spirit that traps the soul in apathy, robbing it of its joy. It starts with sadness sliding downwards so that there is no joy. The Book of Proverbs says: “With all vigilance guard your heart, for in it are the sources of life” (Prov 4:23). Guard your heart: that means to be vigilant! Stay awake and guard your heart.

그리고 우리 형제자매들의 어깨를 짓누르는 무거운 짐에 대해 알고 있습니까 아니면 그것들에 무관심합니까? 이것들이 자신들에게 묻는 좋은 질문입니다. 그런 질문들이 우리의 마음이 무감각하게 되는 것을 막아주는데 도움이 되기 때문입니다. 그러면 무감각은 무엇입니까? 그것은 영적인 삶과 크리스천 삶의 큰 적입니다. 무감각은 우리를 슬픔에 빠지게 하는 일종의 게으름이며, 삶에 대한 열정과 일을 하려는 의지를 빼앗아갑니다. 그것은 영혼을 무감각의 덫에 가두고 영혼의 기쁨을 빼앗는 부정적인 영입니다. 그것은 아래로 미끄러져 내려가서 결국 기쁨이 없는 슬픔으로 시작됩니다. 잠언은 이렇게 얘기합니다. “무엇보다도 네 마음을 지켜라. 거기에서 생명의 샘이 흘러나온다.” (잠언 4,23) 당신의 마음을 지키십시오. 그것은 깨어있음을 뜻합니다. 깨어있어 마음을 지키십시오.

And let us add an essential ingredient: the secret to being vigilant is prayer. In fact, Jesus says: “Be vigilant at all times and pray” (Lk 21:36). Prayer is what keeps the lamp of the heart lit. This is especially true when we feel that our enthusiasm has cooled down. Prayer re-lights it, because it brings us back to God, to the center of things. Prayer reawakens the soul from sleep and focuses it on what matters, on the purpose of existence. Even during our busiest days, we must not neglect prayer. The prayer of the heart can be helpful for us, repeating often brief invocations.

그리고 필수 요소를 추가합시다. 깨어 있는 비결은 기도입니다. 사실, 예수님께서 이렇게 말씀하십니다. “늘 깨어 기도하여라.” (루카 21,36) 기도는 마음의 등불을 켜 있게 하는 것입니다. 우리가 우리의 열정이 식었다고 느낄 때 특히 그렇습니다. 기도가 마음의 등불을 다시 켭니다. 기도가 우리를 모든 것의 중심이신 하느님께 다시 데려가기 때문입니다. 기도는 영혼을 잠에서 깨우고 중요한 것, 존재의 목적에 집중시킵니다. 가장 바쁜 날에도 기도를 소홀히 해서는 안 됩니다. 간단한 기원을 자주 반복하는 마음의 기도는 우리에게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For example, during Advent, we could make a habit of saying, “Come, Lord Jesus.” Only these words, but repeating them: “Come, Lord Jesus”. This time of preparation leading to Christmas is beautiful: we think of the nativity scene and Christmas, so let us say from the heart: “Come, Lord Jesus”. Let us repeat this prayer all throughout the day: the soul will remain vigilant! “Come, Lord Jesus”, is a prayer we can all say together three times. “Come, Lord Jesus”, “Come, Lord Jesus”, “Come, Lord Jesus”. And now we pray to the Madonna: may she who awaited the Lord with a vigilant heart accompany us during our Advent journey.

예를 들어, 대림시기에 “오소서, 주 예수님!”이라고 기도하는 습관을 들일 수 있습니다. 이 말만  반복합니다. “오소서, 주 예수님!” 성탄절로 이어지는 이 준비의 시간은 아름답습니다. 탄생의 장면과 크리스마스를 생각하며 마음으로부터 기도합시다. “오소서, 주 예수님!” 하루 종일 이 기도를 반복합시다. 영혼은 깨어 있을 것입니다. “오소서, 주 예수님!”을 우리 모두 3 번 함께 기도합시다. “오소서, 주 예수님!” “오소서, 주 예수님!” “오소서, 주 예수님!” 이제 성모님께 기도합니다. 깨어있는 마음으로 주님을 기다리신 성모님, 우리의 대림여정 동안 우리와 함께 하소서!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After the Angelus, the Holy Father continued:

Dear Brothers and Sisters, Yesterday I met members of associations, groups of migrants, and people who share their journey with a spirit of fraternity. They are here in the Square with that large banner! Welcome! But how very many migrants are exposed, even during these days, to great dangers, and how many lose their lives at our borders! I feel sorrow hearing the news about the situation in which so many of them find themselves. I think of those who died crossing the English Channel, those on the borders of Belarus, many of whom are children, and those who drown in the Mediterranean.

삼종기도 후의 말씀

친애하는 형제자매 여러분, 어제 저는 협회 회원, 이주민 그룹, 그리고 형제애 정신으로 그들의 여정을 함께하는 사람들을 만났습니다. 그들은 큰 배너와 함께 여기 광장에 있습니다! 어서 오십시오! 그러나 지금도 얼마나 많은 이주민들이 큰 위험에 노출되어 있으며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우리들의 국경에서 목숨을 잃습니까! 그들 중 많은 사람들이 처한 상황에 대한 소식을 안타까운 마음으로 듣습니다. 저는 영국 해협을 건너다 사망한 사람들, 벨로루시 국경에서 사망한 많은 어린이를 포함한 사람들, 그리고 지중해에서 익사한 사람들을 생각합니다.

There is so much sorrow when thinking about them. Of those who are repatriated to North Africa, they are captured by traffickers who turn them into slaves: they sell the women and torture the men... I think of those who, also this week, have tried to cross the Mediterranean seeking a better land and find instead their grave there; and so many others. I assure my prayers to the migrants who find themselves in these crisis situations. Know also that from my heart I am always close to you, in prayer and action.

그들을 생각하면 너무 슬픕니다. 북아프리카로 송환된 사람들 중 인신매매 범들에게 붙잡혀 노예가 됩니다. 그들은 여성을 팔고 남성을 고문합니다... 저는 이번 주에도 더 나은 삶을 찾아 지중해를 건너다가 그곳이 그들이 무덤이 된 사람들을 생각합니다. 아주 많은 사람들이 그렇습니다. 저는 이러한 위기상황에 처한 이민자들을 위해 기도할 것을 약속합니다. 또한 마음으로부터 기도와 행동으로 당신들에게 가까이 있다는 것을 아십시오.

I thank all the institutions both of the Catholic Church and elsewhere, especially the national Caritas agencies and all those who are committed to alleviating their suffering. I renew my heartfelt appeal to those who can contribute to the resolution of these problems, especially civil and military authorities, so that understanding and dialogue may finally prevail over any kind of instrumentalization and guide the will and efforts towards solutions that respect the humanity of these people. Let us remember migrants, their suffering, and let us pray together in silence... (moment of silence).

저는 가톨릭교회와 다른 곳의 모든 기관, 특히 국가 카리타스 기관과 그들의 고통을 경감시키기 위해 노력하는 모든 사람들에게 감사드립니다. 저는 이러한 문제의 해결에 기여할 수 있는 사람들, 특히 민간 및 군사 당국에 진심으로 호소합니다. 그리하여 이해와 대화가 마침내 모든 종류의 수단화보다 우세하고, 그 이해와 대화가 의지와 노력을 이끌어 이 사람들의 인간성을 존중하는 해결방법에 도달할 수 있게 되기를 호소합니다. 이민자들과 그들의 고통을 기억합시다. 그리고 침묵 중에 함께 기도합시다. ... (침묵의 시간).

I greet all of you pilgrims who have come from Italy and various countries; I see the many flags of various nations. I greet the families, parish groups, and associations. In particular, I greet the faithful from East Timor - I see the flag there - from Poland and from Lisbon; as well as those from Tivoli. I wish everyone a good Sunday, a good Advent journey, and a good journey towards Christmas, towards the Lord. Please do not forget to pray for me. Have a nice lunch and arrivederci!

이탈리아와 여러 나라에서 오신 순례자 여러분께 인사드립니다. 여러 나라의 많은 깃발이 보입니다. 가족들, 본당 단체들, 그리고 단체들에게 인사드립니다. 특히 동티모르 - 저기 깃발이 보입니다. - 폴란드와 리스본에서 온 신자들에게 인사드립니다. 뿐만 아니라 티볼리의 신자들에게도 인사드립니다. 여러분 모두 좋은 주일, 좋은 대림여정, 그리고 크리스마스를 향한 좋은 여정을 기원합니다. 저를 위해 기도하는 것을 잊지 마십시오. 맛있는 점심 드시고 또 뵙겠습니다.

한글 번역 : 윤영학 아오스딩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