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성경묵상

영어성경묵상

교황님의 교리(2021.01.20)

최고관리자
2021.01.30 09:37 1,171 0

본문

The Holy Father’s Catechesis on Prayer for Christian Unity (General Audience at Library of the Apostolic Palace on Wednesday, 20 January 2021) 

Dear Brothers and Sisters, Good morning! In this catechesis, we will reflect on the prayer for Christian unity. In fact, the week of the 18th to the 25th of January is dedicated specifically to this — to ask God for the gift of unity to overcome the scandal of division among believers in Jesus. After the Last Supper, he prayed for his own, “that they may all be one” (Jn 17:21). This was his prayer before the Passion; we could call it his spiritual testament. Let us note, however, that the Lord did not command that his disciples be united. No, he prayed  to the Father for us, so that we might be one. This means that we are unable to achieve unity by our own strength. Unity is above all a gift, it is a grace to be requested through prayer.

기도에 대한 교황님의 교리 – 그리스도인의 일치를 위한 기도 (일반 접견 2021.01.20.)

친애하는 형제자매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오늘 교리에 우리는 그리스도인의 일치를 위한 기도를 살펴보겠습니다. 사실 1월 18일부터 1월 25일까지의 한 주간은 그리스도인의 일치를 위한 기도주간으로 지내고 있습니다. 예수님을 믿는 사람들 가운데의 분열의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일치의 선물을 하느님께 청하는 주간입니다. 마지막 만찬 후에 예수님께서 기도하셨습니다. “그들이 모두 하나가 되게 해 주십시오.” (요한 17,21) 이것이 수난 전의 그분의 기도입니다. 우리는 이 기도를 그분의 영적 유언으로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주님께서 제자들에게 일치하라고 명하지 않으셨다는 것을 주목하십시오. 우리를 위하여 아버지께 우리가 하나 되게 해 주십사고 기도하셨습니다. 이것은 우리가 우리 힘으로 일치를 이룰 수 없다는 것을 뜻합니다. 일치는 무엇보다도 선물입니다. 그것은 기도를 통해서 청하는 은총입니다.

Each one of us needs it. In fact, we know that we are incapable of preserving unity even within ourselves. The Apostle Paul, too, felt a painful conflict within himself: wanting the good but being inclined toward evil (cf. Rm 7:19). He had thus grasped the root of so many divisions that surround us — between people, in families, in society, between nations and even between believers — it is inside us. The Second Vatican Council stated, “the imbalances under which the world labors are linked with that more basic imbalance which is rooted in the heart of man. For in man himself many elements wrestle with one another.[…] Hence he suffers from internal divisions, and from these flow so many and such great discords in society” (Gaudium et spes, 10). Therefore, the solution to these divisions is not to oppose someone, because discord generates more discord. The true remedy begins by asking God for peace, reconciliation, unity.

우리 각자가 그것을 필요로 합니다. 사실 우리는 우리 자신들 내에서조차 일치를 유지할 수 없다는 것을 압니다. 사도 바오로도 자신 안에서의 고통스러운 갈등을 느꼈습니다. “선을 바라면서도 하지 못하고, 악을 바라지 않으면서도 그것을 하고 맙니다.” (로마 7,19) 그래서 그는 우리를 둘러싸고 있는 수많은 분열의 뿌리를 알아냈습니다. - 사람들 간의, 가족 안의, 사회 안의, 국가 간의, 신자들 가운데 조차의 분열 - 그것은 우리 안에 있습니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는 다음과 같이 기술하였습니다. “현대 세계를 괴롭히는 불균형은 인간의 마음속에 뿌리박힌 더욱 근본적인 불균형에 직결되어 있다. 바로 인간 자체 안에서 여러 요인들이 서로 싸우고 있기 때문에 그래서 인간은 자기 자신 안에서 분열을 겪고 있으며 바로 거기에서 이토록 심각한 사회문제가 일어나고 있다.” (현대세계의 교회에 관한 사목헌장, 기쁨과 희망 10항) 그래서 이러한 분열의 해답은 어떤 사람에게 반대하는 것이 아닙니다. 다툼은 더 많은 다툼을 야기 시키기 때문입니다. 진정한 해결방안은 하느님께 평화, 화해, 그리고 일치를 청함으로써 시작됩니다.

This is true, first of all, for Christians. Unity can be achieved only as a fruit of prayer. Diplomatic efforts and academic dialogue are not enough. Jesus knew this and opened the way for us by praying. Our prayer for unity is thus a humble but trusting  participation in the prayer of the Lord , who promised that any prayer said in his name would be heard by the Father (cf. Jn 15:7). At this point, we can ask ourselves: “Do I pray for unity?”. It is Jesus’ will but, if we inspect the intentions for which we pray, we will probably realize that we have prayed little, perhaps never, for Christian unity. And yet, the world’s faith depends on it; in fact, the Lord asked for unity among us “so that the world might believe” (Jn 17:21). The world will not believe because we will convince it with good arguments, but rather if we will have borne witness to the love that unites us and draws  all of us near.

이것은 무엇보다도 먼저 그리스도인들을 위해서 필요합니다. 일치는 기도의 결실로만 얻을 수 있습니다. 외교적인 노력과 학술적인 대화로는 부족합니다. 예수님께서 이것을 아시고 기도하심으로써 우리에게 길을 열어주셨습니다. 그래서 일치를 위한 우리의 기도는 주님의 기도에 우리가 겸손하지만 믿음을 갖고 참여하는 것입니다. 주님께서는 그분의 이름으로 드리는 모든 기도는 아버지께서 들으실 것이라고 약속하셨습니다. (요한 15,7 참조) 이 시점에서 우리는 우리 자신에게 다음과 같이 물을 수 있습니다. “내가 일치를 위해 기도하는가?” 그것은 예수님께서 원하시는 일이지만, 우리의 기도의 지향을 점검한다면 우리는 그리스도인의 일치를 위한 기도를 거의 안했거나 아주 안했다는 것을 알게 될지 모릅니다. 그런데 세상의 신앙은 그것에 달려 있습니다. 사실 주님께서 세상도 믿을 수 있도록 우리 가운데의 일치를 청하셨습니다. (요한 17,21) 우리가 훌륭한 토론으로 확신시킨다고 세상이 믿지 않습니다. 오히려 우리가 우리를 일치시키고 우리 모두를 가까이 모이게 하는 사랑을 증거할 때 가능합니다.

During this time of serious hardship, the prayer that unity may prevail over conflict is even more necessary. It is urgent that we set aside particularism in order to promote the common good, and our good example is fundamental to this: it is essential that Christians pursue the path toward full visible unity. In the last decades, thanks be to God, there have been many steps forward, but we need to persevere in love and in prayer, without lacking trust nor tiring. It is a path that the Holy Spirit gave rise to in the Church, in Christians and in us all, from which there is no turning back. Ever onward!

심각한 어려움의 이 시간 동안에 갈등을 넘어서는 일치를 위한 기도가 더욱 절실히 필요합니다. 긴급히 필요한 것은 우리가 공동선을 증진시키기 위해서 개별주의를 옆으로 제켜두는 것이고 그것을 위해서 우리의 훌륭한 솔선이 필수적입니다. 그리스도인들이 온전히 가시적인 일치를 향한 길을 추구하는 것은 필수적입니다. 하느님께 감사드릴 일은 지난 수십 년 동안 그것을 향한 많은 단계들이 있었습니다. 그렇지만 우리는 신뢰심을 잃거나 지치지 않고 사랑과 기도를 끊임없이 지속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것은 교회 안에, 그리스도인들 안에, 그리고 우리 모두의 안에 성령께서 주신 길이며 그 길에는 유턴이 없고 영원한 전진만이 있습니다.

To pray means to fight for unity. Yes, fight, because our enemy, the devil, is the one who divides, as the word itself says. Jesus asks for unity in the Holy Spirit, to create unity. The devil always divides. He always divides because it is convenient for him to divide. He fosters division everywhere, and in any way, while the Holy Spirit always joins in unity. In general, the devil does not tempt us with high theology, but with the weaknesses of our brothers and sisters. He is astute: he magnifies others’ mistakes and defects, sows discord, provokes criticism and creates factions. God has another way: He takes us as we are, he loves us so much, but he loves us as we are and takes us as we are; he takes those of us who are different, he takes sinners, and he always spurs us towards unity.

기도하는 것은 일치를 위해 싸우는 것을 뜻합니다. 그렇습니다. 싸움입니다. 왜냐하면 우리의 적, 악마는 그 단어자체가 뜻하는 대로 분열을 일으키는 존재이기 때문입니다. 예수님께서 일치를 이루시기 위해 성령 안에 일치를 청하십니다. 악마는 항상 분열시킵니다. 분열시키는 것이 자신에게 유리하기 때문에 항상 분열시킵니다. 악마는 모든 곳에 모든 방법을 동원하여 분열을 조장합니다. 반면에 성령께서는 항상 일치에 참여하십니다. 일반적으로 악마는 고도의 이론으로 우리를 유혹하지 않고 우리의 형제자매들의 약점을 가지고 유혹합니다. 악마는 영악합니다. 다른 사람들의 실수와 약점을 과장하고, 불화를 심고, 비판을 도발하고, 파벌을 만들어냅니다. 하느님께서는 다르십니다. 하느님께서는 우리를 있는 그대로 대하시고 우리를 아주 사랑하십니다. 하느님께서 우리를 있는 그대로 사랑하시고 우리를 있는 그대로 대하십니다. 하느님께서 우리 중에 다양한 사람들을 대하시고 죄인들을 대하시고 항상 일치를 향해 촉구하십니다.

We can evaluate ourselves and ask ourselves if, in the places in which we live, we nurture conflict or fight for an increase of unity with the tools that God has given us: prayer and love. What fuels conflict, instead, is gossip, always talking behind peoples’ backs. Gossip is the most handy weapon the devil has to divide the Christian community, to divide families, to divide friends, to always divide. The Holy Spirit always inspires us to unity.

우리는 우리자신들을 평가할 수 있고, 우리가 사는 곳에서 우리가 갈등을 키우는지 아니면 하느님께서 우리에게 주신 도구 즉 기도와 사랑을 써서 일치를 증가시키는지 우리 자신들에게 물어볼 수 있습니다. 갈등을 키우는 것이 비방입니다. 항상 사람들의 등 뒤에서 얘기하는 것입니다. 비방은 악마가 그리스도인 공동체를, 가정을, 친구들을 분열시키는, 항상 분열시키는 가장 손쉬운 무기입니다. 성령께서는 항상 우리에게 일치하도록 영감을 주십니다.

The theme of this Week of Prayer specifically regards love: “Abide in my love and you shall bear much fruit” (cf. Jn 15:5-9). The root of communion is love of Christ who makes us overcome our prejudices to see in others a brother or sister to be loved always. Then we will discover that the Christians of other confessions — with their traditions, with their history — are gifts from God, they are gifts present within the territories of our diocesan and parish communities. Let us begin to pray for them and, when possible, with them. We will thus learn to love and appreciate them. Prayer, the Council reminds us, is the soul of the whole ecumenical movement (cf. Unitatis redintegratio, 8). Therefore, may prayer be the starting point to help Jesus achieve his dream: that they all may be one.

이번 기도 주간의 주제는 특별히 사랑을 중요시 합니다. “ 내 사랑 안에 머무르면 너희는 많은 열매를 맺을 것이다.” (요한 15,5-9 참조) 친교의 뿌리는 그리스도의 사랑입니다. 그리스도께서는 우리가 우리의 편견을 극복하고 다른 사람들 안에서 우리가 항상 사랑해야 할 형제자매를 보도록 하십니다. 그러면 우리는 다른 종파의 그리스도인들이 - 그들의 전통과, 역사를 가진 - 하느님께서 주신 선물이라는 것을 발견할 것입니다. 그들은 우리 교구 또는 우리 본당 구역에 존재하는 선물입니다. 그들을 위해, 그리고 가능하면 그들과 함께 기도하기 시작합시다. 그렇게 우리는 그들을 사랑하고 인정하는 것을 배울 것입니다. 바티칸 공의회가 우리에게 환기시킵니다. 기도는 모든 일치운동의 영혼입니다. (일치 운동에 관한 교령, 일치의 재건, 8항 참조) 그러므로 기도가 예수님께서 그분의 꿈 즉 그들 모두가 하나 됨을 이루시는 것을 돕는 출발점이게 하소서.

한글 번역: 윤영학 아오스딩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