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황님의 교리(2020.05.06)
최고관리자
2020.05.10 17:52
1,505
0
- - 짧은주소 : http://yscatholic.com/bbs/?t=1k7
본문
The Holy Father’s Catechesis (General Audience on May 06, 2020)
Dear Brothers and Sisters, good morning! Today we begin a new series of catecheses on the theme of prayer. Prayer is the breath of faith, it is its most proper expression, as a cry that issues from the heart of one who believes and entrusts himself to God. We think of the story of Bartimaeus, a personage of the Gospel (Cf. Mark 10:46-52 and par.) and I confess to you, for me the most likable of all. He was blind, sitting by the roadside begging on the outskirts of his city, Jericho.
교황님의 교리 (일반접견 2020.05.06.)
친애하는 형제자매 여러분, 안녕하세요! 오늘 우리는 기도의 주제에 대한 새로운 일련의 교리를 시작합니다. 기도는 신앙의 숨결입니다. 그것은 가장 적절한 표현으로서, 하느님을 믿고 하느님께 자신을 의탁하는 사람의 가슴에서 나오는 외침입니다. 우리는 복음에 나오는 인물, 바르티매오의 이야기를 생각합니다. (cf. 마르 10,46-52 and par.) 여러분께 고백하는데, 제가 가장 좋아하는 인물입니다. 그는 그가 살고 있는 예리코의 외곽의 길가에 앉아 구걸을 하는 눈먼 이였습니다.
He isn’t an anonymous personality; he has a face <and> a name: Bartimaeus, namely, “son of Timaeus.” One day he hears it said that Jesus would be passing by there. In fact, Jericho was a crossroads of people, constantly traversed by pilgrims and merchants. Therefore, Bartimaeus lies in wait: he did everything possible to meet Jesus. So many people did the same thing: we recall Zacchaeus, who climbed up on the tree. So many wanted to see Jesus, he did too.
그는 익명의 인물이 아닙니다. 그는 얼굴이 있고, 이름이 있습니다. 바르티매오, 즉 “티매오의 아들”입니다. 어느 날 그는 예수님께서 그곳을 지나실 것이라는 소식을 듣습니다. 사실 예리코는 사람들이 많이 지나는 교차로였고, 지속적으로 순례자와 상인들이 지나갔습니다. 그래서 바르티매오는 그곳에 누워 기다립니다. 그는 예수님을 만나기 위해 가능한 모든 것을 했습니다. 수많은 사람들이 그렇게 했습니다. 우리는 나무 위로 올라간 자캐오를 기억합니다. 수많은 사람들이 예수님을 보길 원했고 그도 그랬습니다.
Thus, this man enters in the Gospels as a voice that shouts loudly. He cannot see; he doesn’t know if Jesus is close or far, but he understands from the crowd that increases at a certain point and he approaches . . . However, he is completely alone and no one is concerned about him. And what does Bartimaeus do?
그래서, 그는 복음에 큰 소리로 외치는 목소리로 등장합니다. 그는 볼 수 없습니다. 그는 예수님께서 가까이 계신지, 멀리 계신지 알 수 없습니다. 하지만, 그는 어느 순간 늘어나는 군중으로부터 그분이 접근하고 있다는 것을 알아차립니다. 그러나 그는 완전히 혼자이고 아무도 그에게 관심을 두지 않습니다. 그리고 바르티매오는 무엇을 했습니까?
He shouts, and shouts and continues to shout. He uses the only weapon in his possession: his voice. He begins to cry out: “Jesus, Son of David, have mercy on me!” (v. 47). And he continues thus, shouting. His repeated shouts annoy, don’t seem polite, and many rebuke him and tell him to be quiet. “But be polite, don’t do that!” However, Bartimameus doesn’t keep quiet, instead, he shouts even louder” “Jesus, Son of David, have mercy on me!” (v. 47).” <It is> that very good stubbornness of those that seek a grace and knock, knock on the door of God’s heart. He shouts, knocks. That expression,” Son of David,” is very important, it means “the Messiah,” — he confesses the Messiah –, it’s a profession of faith that issues from the mouth of that man, scorned by all.
그는 외치고 외치고 계속 외칩니다. 그는 그가 가진 유일한 무기를 사용합니다. 그의 목소리입니다. 그는 울부짖기 시작합니다. “다윗의 자손 예수님, 저에게 자비를 베풀어 주십시오!” (47 절). 그리고 그는 계속해서 외칩니다. 그의 반복되는 외침은 짜증나게 하고, 정중하지 않은 것 같고, 많은 사람들이 그에게 조용히 하라고 나무랍니다. “예의를 갖춰, 그렇게 하지마!” 하지만, 바르티매오는 조용히 하지 않습니다. 그 대신 그는 더욱 큰 소리로 외칩니다. “다윗의 자손 예수님, 저에게 자비를 베풀어 주십시오!”(47절). 그것은 은총을 갈구하며 하느님 가슴의 문을 두드리는 이들의 아주 좋은 완강함입니다. 그는 외치고, 두드립니다. 그 “다윗의 자손”이라는 표현은 매우 중요합니다. “구세주”를 의미합니다. 구세주이심을 고백합니다. 그것은 모든 이들에게 꾸짖음 당하는 그 사람의 입에서 나온 신앙의 고백입니다.
And Jesus listens to his cry. Bartimaeus’ prayer touches His heart, God’s heart, and the doors of salvation open for him. Jesus had him called. He springs to his feet and those that before told him to be quiet now lead him to the Master. Jesus speaks to him, He asks him to express his desire — this is important — and then the cry becomes a request: “Let me receive my sight, Lord!” (Cf. v. 51). Jesus says to him: “Go your way; your faith has made you well” (v. 52). He acknowledges in that poor, helpless, scorned man all the power of his faith, which attracts God’s mercy and power. Faith is to have two hands raised, a voice that cries to implore the gift of salvation. The Catechism affirms that “humility is the foundation of prayer”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CCC, 2559). Prayer is born of the earth, of the humus, from which “humble” derives –“humility” –; it comes from our precarious state, from our continuous thirst for God (Cf. Ibid., 2560-2561).
그리고 예수님께서는 그의 외침을 경청하십니다. 바르티매오의 기도가 그분의 가슴, 하느님의 가슴을 감동시키고, 구원의 문이 그에게 열립니다. 예수님께서 그를 부르셨습니다. 그는 자신의 발로 벌떡 일어나고, 그에게 조용히 하라고 말했던 이들은 이제 그를 주님께 데리고 갑니다. 예수님께서 그에게 말씀하십니다. 예수님께서 그에게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물으십니다. - 이것이 중요합니다. - 그래서 외침이 요청이 됩니다. “스승님, 제가 다시 볼 수 있게 해 주십시오!” (51절 참조) 예수님께서 그에게 말씀하십니다. “가거라. 네 믿음이 너를 구원하였다.” (v. 52) 예수님께서는 가난하고, 무기력하고, 꾸짖음을 받은 그 사람 안의 믿음의 전적인 힘을, 하느님의 자비와 능력을 끄는 전적인 믿음의 힘을 알아차리십니다. 신앙은 두 손을 들어 올리는 것이며, 구원의 선물을 갈구하며 외치는 목소리 입니다. 가톨릭교회 교리서는 다음과 같이 확인합니다. “겸손은 기도의 초석이다.” (가톨릭 교회 교리서 2559) 기도는 겸손의 원천인 땅에서, 토양에서 나옵니다. 이것은 우리의 위태로운 상황에서, 하느님께 대한 지속적인 목마름에서 나옵니다(가톨릭교회 교리서 2560-2561 참조).
Faith, we saw in Bartimaeus, is a cry; non-faith is to suffocate that cry, that attitude that the people had, in silencing him. They weren’t people of faith, instead, he was. To suffocate that cry is a sort of “omerta” [“code of silence”]. Faith is protest against a painful condition whose motive we don’t understand; non-faith is to limit oneself to endure a situation to which we are adapted. Faith is hope of being saved; non-faith is to get used to the evil that oppresses us, and to continue thus.
우리가 바르티매오에게서 본 신앙은 외침입니다. 신앙이 없는 이들은 그 외침을 가로막습니다. 군중이 그를 조용하게 하며 가졌던 태도입니다. 그들은 신앙의 백성이 아니었습니다. 하지만, 바르티매오는 신앙의 백성이었습니다. 그 외침을 가로막는 것은 일종의 “오메르타(omerta)”, [“침묵의 계율”]입니다. 신앙은 우리가 이해하지 못하는 동기를 가진 고통스런 조건에 대한 저항입니다. 신앙이 없는 사람은 자신을 제한하여 우리가 적응된 상황을 견디도록 합니다. 신앙은 구원에 대한 희망입니다. 신앙이 없는 사람은 우리를 억압하는 악에 익숙해지고 계속해서 그렇게 합니다.
Dear brothers and sisters, we begin this series of catecheses with Bartimaeus’ cry because perhaps, in a figure such as his, everything is already written. Bartimaeus is a persevering man. There were people around him that explained that to implore was useless, that it was unanswered shouting, that he was noisy, that he was just disturbing, that he please stop shouting. However, he did not remain silent and, in the end, he got what he wanted.
친애하는 형제자매 여러분, 우리는 이 일련의 교리를 바르티매오의 외침으로 시작합니다. 그애 관해 이미 모든 것이 기록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바르티매오는 끈기있는 사람입니다. 그 주위에는 청해봐야 아무 쓸모가 없다고 말하는 사람들, 외쳐봐야 답이 없다고 말하는 사람들, 소란스럽다고 하는 사람들, 방해가 된다고 하는 사람들, 외치지 말라고 하는 사람들이 있었습니다. 그러나 그는 조용히 있지 않고 결국에는 그가 원했던 것을 얻었습니다.
There is a voice in man’s heart that invokes, louder than any contrary argumentation. We all have this voice within, A voice that issues spontaneously, without anyone ordering it, a voice that questions the meaning of our journey down here, especially when we find ourselves in darkness. “Jesus, have mercy on me! Jesus, have mercy on me!” This is a beautiful prayer. But are these words, perhaps, not sculpted in the whole of creation? Everything invokes and implores that the mystery of mercy find its definitive fulfilment. Christian are not the only ones that pray: they share the cry of prayer with all men and women. However, the horizon can be widened still more: Paul affirms that the whole of creation “groans in travail” (Romans 8:22). Artists often make themselves interpreters of this silent cry of creation, which weighs on every creature and emerges especially in man’s heart, because man is a “beggar before God” (Cf. CCC, 2559). A Beautiful description of man: “beggar before God.” Thank you.
인간의 가슴에는 그 어떤 반대되는 주장보다 더 큰 소리로 간청하는 목소리가 있습니다. 우리 모두는 우리 안에 이 목소리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 누구의 명령 없이 자연스럽게 나오는 목소리, 특히 우리가 어둠 속에 있을 때 이 아래의 우리 여정의 의미를 묻는 목소리가 있습니다. “예수님, 저에게 자비를 베푸소서! 예수님 저에게 자비를 베푸소서!” 이것은 아름다운 기도 입니다. 그러나, 이 말은 모든 피조물에 새겨져 있지 않습니까? 모든 것들이 자비의 신비가 결정적으로 실현되기를 바라고 간청합니다. 기도하는 사람들은 크리스천만이 아닙니다. 크리스천들은 모든 사람들과 기도의 외침을 공유합니다. 그러나 지평선은 아직 더 넓어질 수 있습니다. 바오로 사도는 모든 피조물은 “탄식하고 진통”을 겪고 있다고 확인합니다. (로마 8,22) 예술가들은 종종 창조의 이 조용한 외침을 해석하는 사람이 됩니다. 이 조용한 외침은 모든 피조물을 누르고 특히 인간의 가슴에서 나옵니다. 인간은 하느님께 비는 걸인이기 때문입니다. (가톨릭교회 교리서 2559 참조) “하느님께 비는 걸인”은 인간에 대한 아름다운 묘사입니다. 감사합니다.
[Original text: Italian] [ZENIT’s translation by Virginia M. Forrester]
한글번역: 황민영 줄리아
Dear Brothers and Sisters, good morning! Today we begin a new series of catecheses on the theme of prayer. Prayer is the breath of faith, it is its most proper expression, as a cry that issues from the heart of one who believes and entrusts himself to God. We think of the story of Bartimaeus, a personage of the Gospel (Cf. Mark 10:46-52 and par.) and I confess to you, for me the most likable of all. He was blind, sitting by the roadside begging on the outskirts of his city, Jericho.
교황님의 교리 (일반접견 2020.05.06.)
친애하는 형제자매 여러분, 안녕하세요! 오늘 우리는 기도의 주제에 대한 새로운 일련의 교리를 시작합니다. 기도는 신앙의 숨결입니다. 그것은 가장 적절한 표현으로서, 하느님을 믿고 하느님께 자신을 의탁하는 사람의 가슴에서 나오는 외침입니다. 우리는 복음에 나오는 인물, 바르티매오의 이야기를 생각합니다. (cf. 마르 10,46-52 and par.) 여러분께 고백하는데, 제가 가장 좋아하는 인물입니다. 그는 그가 살고 있는 예리코의 외곽의 길가에 앉아 구걸을 하는 눈먼 이였습니다.
He isn’t an anonymous personality; he has a face <and> a name: Bartimaeus, namely, “son of Timaeus.” One day he hears it said that Jesus would be passing by there. In fact, Jericho was a crossroads of people, constantly traversed by pilgrims and merchants. Therefore, Bartimaeus lies in wait: he did everything possible to meet Jesus. So many people did the same thing: we recall Zacchaeus, who climbed up on the tree. So many wanted to see Jesus, he did too.
그는 익명의 인물이 아닙니다. 그는 얼굴이 있고, 이름이 있습니다. 바르티매오, 즉 “티매오의 아들”입니다. 어느 날 그는 예수님께서 그곳을 지나실 것이라는 소식을 듣습니다. 사실 예리코는 사람들이 많이 지나는 교차로였고, 지속적으로 순례자와 상인들이 지나갔습니다. 그래서 바르티매오는 그곳에 누워 기다립니다. 그는 예수님을 만나기 위해 가능한 모든 것을 했습니다. 수많은 사람들이 그렇게 했습니다. 우리는 나무 위로 올라간 자캐오를 기억합니다. 수많은 사람들이 예수님을 보길 원했고 그도 그랬습니다.
Thus, this man enters in the Gospels as a voice that shouts loudly. He cannot see; he doesn’t know if Jesus is close or far, but he understands from the crowd that increases at a certain point and he approaches . . . However, he is completely alone and no one is concerned about him. And what does Bartimaeus do?
그래서, 그는 복음에 큰 소리로 외치는 목소리로 등장합니다. 그는 볼 수 없습니다. 그는 예수님께서 가까이 계신지, 멀리 계신지 알 수 없습니다. 하지만, 그는 어느 순간 늘어나는 군중으로부터 그분이 접근하고 있다는 것을 알아차립니다. 그러나 그는 완전히 혼자이고 아무도 그에게 관심을 두지 않습니다. 그리고 바르티매오는 무엇을 했습니까?
He shouts, and shouts and continues to shout. He uses the only weapon in his possession: his voice. He begins to cry out: “Jesus, Son of David, have mercy on me!” (v. 47). And he continues thus, shouting. His repeated shouts annoy, don’t seem polite, and many rebuke him and tell him to be quiet. “But be polite, don’t do that!” However, Bartimameus doesn’t keep quiet, instead, he shouts even louder” “Jesus, Son of David, have mercy on me!” (v. 47).” <It is> that very good stubbornness of those that seek a grace and knock, knock on the door of God’s heart. He shouts, knocks. That expression,” Son of David,” is very important, it means “the Messiah,” — he confesses the Messiah –, it’s a profession of faith that issues from the mouth of that man, scorned by all.
그는 외치고 외치고 계속 외칩니다. 그는 그가 가진 유일한 무기를 사용합니다. 그의 목소리입니다. 그는 울부짖기 시작합니다. “다윗의 자손 예수님, 저에게 자비를 베풀어 주십시오!” (47 절). 그리고 그는 계속해서 외칩니다. 그의 반복되는 외침은 짜증나게 하고, 정중하지 않은 것 같고, 많은 사람들이 그에게 조용히 하라고 나무랍니다. “예의를 갖춰, 그렇게 하지마!” 하지만, 바르티매오는 조용히 하지 않습니다. 그 대신 그는 더욱 큰 소리로 외칩니다. “다윗의 자손 예수님, 저에게 자비를 베풀어 주십시오!”(47절). 그것은 은총을 갈구하며 하느님 가슴의 문을 두드리는 이들의 아주 좋은 완강함입니다. 그는 외치고, 두드립니다. 그 “다윗의 자손”이라는 표현은 매우 중요합니다. “구세주”를 의미합니다. 구세주이심을 고백합니다. 그것은 모든 이들에게 꾸짖음 당하는 그 사람의 입에서 나온 신앙의 고백입니다.
And Jesus listens to his cry. Bartimaeus’ prayer touches His heart, God’s heart, and the doors of salvation open for him. Jesus had him called. He springs to his feet and those that before told him to be quiet now lead him to the Master. Jesus speaks to him, He asks him to express his desire — this is important — and then the cry becomes a request: “Let me receive my sight, Lord!” (Cf. v. 51). Jesus says to him: “Go your way; your faith has made you well” (v. 52). He acknowledges in that poor, helpless, scorned man all the power of his faith, which attracts God’s mercy and power. Faith is to have two hands raised, a voice that cries to implore the gift of salvation. The Catechism affirms that “humility is the foundation of prayer”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CCC, 2559). Prayer is born of the earth, of the humus, from which “humble” derives –“humility” –; it comes from our precarious state, from our continuous thirst for God (Cf. Ibid., 2560-2561).
그리고 예수님께서는 그의 외침을 경청하십니다. 바르티매오의 기도가 그분의 가슴, 하느님의 가슴을 감동시키고, 구원의 문이 그에게 열립니다. 예수님께서 그를 부르셨습니다. 그는 자신의 발로 벌떡 일어나고, 그에게 조용히 하라고 말했던 이들은 이제 그를 주님께 데리고 갑니다. 예수님께서 그에게 말씀하십니다. 예수님께서 그에게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물으십니다. - 이것이 중요합니다. - 그래서 외침이 요청이 됩니다. “스승님, 제가 다시 볼 수 있게 해 주십시오!” (51절 참조) 예수님께서 그에게 말씀하십니다. “가거라. 네 믿음이 너를 구원하였다.” (v. 52) 예수님께서는 가난하고, 무기력하고, 꾸짖음을 받은 그 사람 안의 믿음의 전적인 힘을, 하느님의 자비와 능력을 끄는 전적인 믿음의 힘을 알아차리십니다. 신앙은 두 손을 들어 올리는 것이며, 구원의 선물을 갈구하며 외치는 목소리 입니다. 가톨릭교회 교리서는 다음과 같이 확인합니다. “겸손은 기도의 초석이다.” (가톨릭 교회 교리서 2559) 기도는 겸손의 원천인 땅에서, 토양에서 나옵니다. 이것은 우리의 위태로운 상황에서, 하느님께 대한 지속적인 목마름에서 나옵니다(가톨릭교회 교리서 2560-2561 참조).
Faith, we saw in Bartimaeus, is a cry; non-faith is to suffocate that cry, that attitude that the people had, in silencing him. They weren’t people of faith, instead, he was. To suffocate that cry is a sort of “omerta” [“code of silence”]. Faith is protest against a painful condition whose motive we don’t understand; non-faith is to limit oneself to endure a situation to which we are adapted. Faith is hope of being saved; non-faith is to get used to the evil that oppresses us, and to continue thus.
우리가 바르티매오에게서 본 신앙은 외침입니다. 신앙이 없는 이들은 그 외침을 가로막습니다. 군중이 그를 조용하게 하며 가졌던 태도입니다. 그들은 신앙의 백성이 아니었습니다. 하지만, 바르티매오는 신앙의 백성이었습니다. 그 외침을 가로막는 것은 일종의 “오메르타(omerta)”, [“침묵의 계율”]입니다. 신앙은 우리가 이해하지 못하는 동기를 가진 고통스런 조건에 대한 저항입니다. 신앙이 없는 사람은 자신을 제한하여 우리가 적응된 상황을 견디도록 합니다. 신앙은 구원에 대한 희망입니다. 신앙이 없는 사람은 우리를 억압하는 악에 익숙해지고 계속해서 그렇게 합니다.
Dear brothers and sisters, we begin this series of catecheses with Bartimaeus’ cry because perhaps, in a figure such as his, everything is already written. Bartimaeus is a persevering man. There were people around him that explained that to implore was useless, that it was unanswered shouting, that he was noisy, that he was just disturbing, that he please stop shouting. However, he did not remain silent and, in the end, he got what he wanted.
친애하는 형제자매 여러분, 우리는 이 일련의 교리를 바르티매오의 외침으로 시작합니다. 그애 관해 이미 모든 것이 기록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바르티매오는 끈기있는 사람입니다. 그 주위에는 청해봐야 아무 쓸모가 없다고 말하는 사람들, 외쳐봐야 답이 없다고 말하는 사람들, 소란스럽다고 하는 사람들, 방해가 된다고 하는 사람들, 외치지 말라고 하는 사람들이 있었습니다. 그러나 그는 조용히 있지 않고 결국에는 그가 원했던 것을 얻었습니다.
There is a voice in man’s heart that invokes, louder than any contrary argumentation. We all have this voice within, A voice that issues spontaneously, without anyone ordering it, a voice that questions the meaning of our journey down here, especially when we find ourselves in darkness. “Jesus, have mercy on me! Jesus, have mercy on me!” This is a beautiful prayer. But are these words, perhaps, not sculpted in the whole of creation? Everything invokes and implores that the mystery of mercy find its definitive fulfilment. Christian are not the only ones that pray: they share the cry of prayer with all men and women. However, the horizon can be widened still more: Paul affirms that the whole of creation “groans in travail” (Romans 8:22). Artists often make themselves interpreters of this silent cry of creation, which weighs on every creature and emerges especially in man’s heart, because man is a “beggar before God” (Cf. CCC, 2559). A Beautiful description of man: “beggar before God.” Thank you.
인간의 가슴에는 그 어떤 반대되는 주장보다 더 큰 소리로 간청하는 목소리가 있습니다. 우리 모두는 우리 안에 이 목소리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 누구의 명령 없이 자연스럽게 나오는 목소리, 특히 우리가 어둠 속에 있을 때 이 아래의 우리 여정의 의미를 묻는 목소리가 있습니다. “예수님, 저에게 자비를 베푸소서! 예수님 저에게 자비를 베푸소서!” 이것은 아름다운 기도 입니다. 그러나, 이 말은 모든 피조물에 새겨져 있지 않습니까? 모든 것들이 자비의 신비가 결정적으로 실현되기를 바라고 간청합니다. 기도하는 사람들은 크리스천만이 아닙니다. 크리스천들은 모든 사람들과 기도의 외침을 공유합니다. 그러나 지평선은 아직 더 넓어질 수 있습니다. 바오로 사도는 모든 피조물은 “탄식하고 진통”을 겪고 있다고 확인합니다. (로마 8,22) 예술가들은 종종 창조의 이 조용한 외침을 해석하는 사람이 됩니다. 이 조용한 외침은 모든 피조물을 누르고 특히 인간의 가슴에서 나옵니다. 인간은 하느님께 비는 걸인이기 때문입니다. (가톨릭교회 교리서 2559 참조) “하느님께 비는 걸인”은 인간에 대한 아름다운 묘사입니다. 감사합니다.
[Original text: Italian] [ZENIT’s translation by Virginia M. Forrester]
한글번역: 황민영 줄리아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