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성경묵상

영어성경묵상

교황님의 교리(2020.03.11)

admia
2020.04.13 12:19 1,445 0

본문

The Holy Father’s Catechesis (General Audience on Mar 11, 2020)

Dear Brothers and Sisters, good morning! In today’s audience, we continue to meditate on the luminous way of happiness, which the Lord has given us in the Beatitudes, and we come to the fourth: “Blessed are those who hunger and thirst for righteousness, for they shall be satisfied” (Matthew 5:6).

교황님의 교리 (일반접견 2020.03.11.)

친애하는 형제자매 여러분, 안녕하세요! 오늘의 접견에서, 우리는 주님께서 참행복을 통해 우리에게 주신 빛나는 행복의 길에 대한 묵상을 이어가겠습니다. “행복하여라, 의로움에 주리고 목마른 사람들! 그들은 흡족해질 것이다”(마태 5,6).

We have already met with poverty in the spirit and mourning; now we are confronted with a further type of weakness — that connected with hunger and thirst. Hunger and thirst are primary needs; they are about survival. This is underlined: here it’s not about a generic desire, but about a vital and daily need, as nourishment. However, what does it mean to have hunger and thirst for righteousness? We are certainly not speaking of those that want revenge. In fact, in the preceding Beatitude, we spoke of meekness.

우리는 이미 영과 애도의 가난을 이야기했습니다. 오늘 여기서 우리는 굶주림과 목마름과 연결된 또 다른 유형의 취약함 앞에 직면합니다. 굶주림과 목마름은 일차적인 욕구입니다. 생존에 관한 것입니다. 이것이 강조됩니다. 여기에서 일반적인 욕구가 아니라 생존을 위한 영양분으로써 필수적인 매일의 욕구입니다. 그러나 의로움에 굶주리고 목마르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합니까? 우리는 여기서 복수를 원하는 사람들에 대해 말하는 것이 결코 아닙니다. 앞서의 참행복의 교리에서, 우리는 온유함에 대해 이야기했습니다.

Injustices certainly wound humanity; human society is in urgent need of equity, of truth and of social justice; we remember that the evil suffered by the women and men of the world reaches up to the heart of God the Father. What father wouldn’t suffer by the pain of his children? The Scriptures speak of the pain of the poor and of the oppressed, which God knows and shares. Having listened to the cry of oppression raised by the children of Israel — as the Book of Exodus recounts (Cf. 3:7-10) — God went down to deliver His people.

불의는 확실히 인류에게 상처를 입힙니다. 인간 사회에는 진실과 사회정의에 대한 평등이 절실합니다. 우리는 세상 사람들이 고통 받는 악이 아버지 하느님의 마음에까지 이르는 것을 기억합니다. 자녀의 고통에 힘들어하지 않을 아버지는 없습니다. 성경은 하느님께서 아시고 함께 나누시는 가난한 이와 억압받는 이의 고통에 대해 말합니다. 탈출기(cf. 3,7-10)에 기록되어 있듯이, 이스라엘의 백성들이 억압받고 울부짖는 소리를 들으시고, 하느님께서는 백성들을 구하시기 위해 내려오셨습니다.

However, the hunger and thirst for the righteousness of which the Lord speaks to us is still more profound than the legitimate need of human justice that every man bears in his heart. In the same “Sermon on the Mont,” further along, Jesus speaks of a much greater justice than a human right or personal perfection, saying: ”Unless your righteousness exceeds that of the scribes and Pharisees, you will never enter the Kingdom of Heaven” (Matthew 5:20). And this is the righteousness that comes from God (Cf. 1 Corinthians 1:30).

그러나 주님께서 우리에게 말씀하시는 의로움에 대한 굶주림과 목마름은 모든 이들이 마음에 품고 있는 인간 정의의 적법한 요구보다 더 심오한 것입니다. 이어지는 “산상 설교”에서 예수님께서는 인간 정의 또는 개인적 완벽함보다 훨씬 큰 정의에 대해 말씀하십니다. “너희의 의로움이 율법 학자들과 바리사이들의 의로움을 능가하지 않으면, 결코 하늘나라에 들어가지 못할 것이다”(마태 5,20). 이것이 하느님께서 말씀하시는 의로움입니다(cf. 1코린 1,30).

We find expressed in the Scriptures a more profound thirst than the physical, which is a desire placed at the root of our being. A Psalm says: “O God, Thou art my God, I seek Thee, my soul thirsts for Thee, as in a dry and weary land without water” (Psalm63:1). The Fathers of the Church speak of this restlessness that dwells in man’s heart. Saint Augustine says: “You have made us for yourself, Lord, and our heart is restless until it rests in You.”[1] There is an interior thirst, an interior hunger, a restlessness . . .

우리는 성경에서 육체적인 것보다 더 심오한 목마름을 발견합니다. 그것은 우리 존재의 뿌리에 자리 잡은 욕구입니다. 시편에 이렇게 말합니다. “하느님, 당신은 저의 하느님, 저는 당신을 찾습니다. 제 영혼이 당신을 목말라합니다. 물기 없이 마르고 메마른 땅에서 이 몸이 당신을 애타게 그립니다.”(시편 63,1). 교회의 교부들은 인간의 가슴에 있는 이 초조함에 대해 말합니다. 성 어거스틴은 다음과 같이 말합니다. “주님, 당신은 당신을 위해 우리를 만드셨습니다. 우리의 가슴은 당신 안에서 쉬기 전까지 초조합니다.” 내적 목마름, 내적 굶주림, 초조함이 있습니다. 

In every heart, even in the most corrupt person and far from the good, is hidden a yearning for light, even if it is under the rubble of deceits and errors, but there is always the thirst for truth and goodness, which is the thirst for God. It’s the Holy Spirit that rouses this thirst: He is the living water that has molded our dust, He is the creator breath that has given it life.

모든 이들의 가슴에는, 선과 거리가 먼 가장 타락한 이의 가슴에 조차, 빛에 대한 갈망이 숨겨져 있습니다. 기만과 실수의 잔해 아래 있더라도, 늘 진실과 선에 대한 목마름이 있습니다. 이것은 하느님께 대한 목마름입니다. 이 목마름을 일으키는 것은 성령이십니다. 성령님은 우리의 진흙을 빚으신 생명의 물이십니다. 그분은 생명을 주신 창조주 숨결입니다.

Therefore, the Church is sent to proclaim to all the Word of God, permeated by the Holy Spirit. Because the Gospel of Jesus Christ is the greatest righteousness that can be offered to humanity’s heart, which has a vital need of it, even if it doesn’t realize it.[2]

따라서 교회는 성령님을 통해 스며드는 하느님의 말씀을 모두에게 선포하도록 파견됩니다. 왜냐하면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은 인류의 가슴에 줄 수 있는 가장 큰 의로움이기 때문입니다. 인류의 가슴은, 그것을 깨닫지 못할지라도, 이 큰 의로움을 반드시 필요로 합니다.

For instance, when a man and a woman marry they have the intention of doing something great and beautiful, and if they keep alive this thirst, they will always find the way to go on, in the midst of problems, with the help of Grace. Young people also have this thirst, and they must not lose it! It’s necessary to protect and nourish in children’s hearts that desire for love, tenderness, acceptance, which they express in their sincere and luminous impulses.

예를 들어, 남성과 여성이 결혼을 할 때, 이들은 크고 아름다운 어떤 것을 하고 싶어 하고, 이 목마름이 계속된다면, 이들은 많은 문제들 속에서도 은총의 도움으로 계속 나아갈 길을 늘 찾게 됩니다. 젊은이들 또한 이 목마름이 있고, 이것을 잃어서는 안됩니다! 아이들의 가슴에서 사랑, 부드러움, 수용의 욕구를 보호하고 자양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아이들은 진실 되고 빛나는 충동으로 이것을 표현합니다.

Every person is called to rediscover what really counts, what he is truly in need of, what makes one live well and, at the same time, what is secondary, and of what one can calmly do without.

모든 이들은 정말로 중요한 것이 무엇인지 진정으로 필요로 하는 것이 무엇인지, 무엇이 우리를 잘 살게 해주는지, 동시에 이차적인 것이 무엇인지, 그리고 어떤 것 없이도 차분히 살 수 있는지를 재발견하도록 부르심을 받습니다.

In this Beatitude — hunger and thirst for righteousness — Jesus announces that there is a thirst that won’t be disappointed; a thirst that, if seconded, will be satiated and will always have a good end, because it corresponds to the heart itself of God,  to His Spirit, which is love, and also to the seed that Holy Spirit has sowed in our hearts. May the Lord give us this grace: to have this thirst for righteousness that is in fact the wish to find it, to see God and to do good to others.

참행복에서, - 의로움에 대한 굶주림과 목마름에 대해서 - 예수님께서는 실망하지 않을 목마름이 있다고 말씀하십니다. 그 목마름은, 동의를 받으면, 흡족하여질 것이고 늘 선한 결말을 가져올 것입니다. 왜냐하면 그것은 사랑이신 하느님 그분의 가슴과, 그분의 영과 소통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성령께서 우리의 가슴에 심으신 씨앗과 소통하기 때문입니다. 주여 저희에게 이 은총을 주소서. 의로움에 대한 이 목마름을 주소서. 그것은 사실 의로움을 찾고자 하는 욕구이며 하느님을 뵙고, 다른 사람들에게 선을 베풀고자 하는 욕구입니다.

[Original text: Italian] [ZENIT’s translation by Virginia M. Forrester]

한글번역: 황민영 줄리아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