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성경묵상

영어성경묵상

교황님의 삼종기도 강론(2025.08.31)

최고관리자
2025.09.04 18:50 589 0

본문

POPE LEO XIV, ANGELUS, Twenty Second Sunday in Ordinary Time, Saint Peter's Square, Sunday, 31 August 2025

Dear brothers and sisters, happy Sunday! In every culture, sitting at table together, especially on days of rest and celebration, is a sign of peace and communion. In this Sunday’s Gospel (Lk 14:1.7-14), Jesus is invited to a meal by one of the leaders of the Pharisees. Inviting others to one’s table is a sign of openness of heart, while accepting such an invitation entails having the humility to be open to others and their world. These gestures that bring people together help foster a culture of encounter.

교황 레오 14세, 삼종기도, 연중 제22주일, 성 베드로 광장, 2025년 8월 31일

사랑하는 형제자매 여러분, 복된 주일입니다. 모든 문화권에서, 특히 휴일과 축일에, 함께 식탁에 앉는 것은 평화와 친교의 표시입니다. 이번 주일 복음(루카 14,1.7-14)에서 예수님께서는 바리사이 지도자 중 한 사람의 식사 자리에 초대 받으십니다. 다른 사람들을 자신의 식탁에 초대하는 것은 마음을 여는 표시이며, 그러한 초대를 받아들이는 데에는 다른 사람들과 그들의 세상에 마음을 여는 겸손을 필요로 합니다. 사람들을 한데 모으는 이러한 행동들은 만남의 문화를 조성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Encounter is not always easy. The Evangelist notes that the other guests “observed” Jesus closely; indeed, he was watched with some suspicion by the stricter interpreters of tradition. Yet the encounter takes place because Jesus makes himself genuinely present; as a good guest, he acts with respect and sincerity, avoiding merely polite formalities that preclude authentic encounter. Consequently, as was his wont, he employs a parable to describe what he sees happening and invites those watching him to reflect on it. For he saw people rushing to sit in the places of honour, something that also happens today, not in families but on occasions when people consider it important to “be noticed”, whereby a moment for being together ends up as a competition.

만남이 항상 쉽지는 않습니다. 복음사가는 다른 손님들이 예수님을 면밀히 “지켜보고 있었다.”고 기록합니다. 사실, 전통의 더 엄격한 해석자들은 예수님을 의심의 눈으로 지켜보았습니다. 그러나 이 만남은 예수님께서 진정으로 그 자리에 현존하시기 때문에 이루어집니다. 예수님께서 좋은 손님으로서, 진정한 만남을 가로막는 단지 예의만 차리는 형식주의를 피하시고, 존경심과 진심을 담아 행동하십니다. 따라서 그분은 늘 그러셨듯이, 목격하신 일을 비유를 들어 말씀하시고, 지켜보는 사람들에게 그것에 대해 생각해보도록 권하십니다. 사람들이 좋은 자리에 앉으려고 달려드는 것을 보셨기 때문입니다. 이는 오늘날에도 가족모임에서는 아니지만 “눈에 띄는” 것이 중요하다고 여겨지는 모임에서 일어나며, 결국 함께하는 순간이 경쟁이 되어버립니다.

Sisters and brothers, when we sit together at the table of the Eucharist on the Lord’s Day, we too should be willing to let Jesus speak. He becomes our guest and he can tell us how he sees us. It is very important that we see ourselves through his eyes: to see how frequently we reduce life to a competition, how anxious we become to obtain some sort of recognition, and how pointlessly we compare ourselves to others. Stopping to reflect, letting ourselves be taken aback by a word that challenges our hearts’ priorities, is to experience freedom, the freedom to which Jesus calls us.

자매 형제 여러분, 주일 성찬례 식탁에 함께 앉을 때, 우리도 예수님께서 말씀하시도록 조용히 귀를 기울여야합니다. 예수님께서는 우리의 손님이 되시어 우리를 어떻게 보시는지 우리에게 말씀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가 우리 자신을 그분의 눈으로 보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그분의 눈을 통해서 우리가 얼마나 자주 삶을 경쟁으로 축소시키고, 어떤 종류의 인정을 받기 위해 얼마나 초조해지는지, 얼마나 무의미하게 다른 사람과 비교하는지 깨닫습니다. 잠시 멈춰 성찰하고, 우리 마음의 우선순위를 뒤흔드는 말씀에 당황하도록 맡기는 것은 자유를 체험하는 것입니다. 그 자유는 예수님께서 우리가 누리도록 부르시는 자유입니다.

In the Gospel, Jesus speaks of “humility” in describing perfect freedom (cf. Lk 14:11). Humility is really freedom from ourselves. It is born when the Kingdom of God and its righteousness become our real concern and we allow ourselves to lift up our eyes and look ahead: not down at our feet, but at what lies ahead! Those who exalt themselves generally think that nothing is more interesting than themselves; yet deep down, they are quite insecure. Whereas those who know that they are precious in God’s eyes, who know they are God’s children, have greater things to be worried about; they possess a sublime dignity all their own. Once we learn to take the last places, rather than striving for the first, that dignity will appear, and we will come to the fore simply and effortlessly.

복음에서 예수님께서는 완전한 자유를 묘사하시면서 “겸손”에 대해 말씀하십니다. (루카 14,11 참조) 겸손은 참으로 우리 자신으로부터의 자유입니다. 하느님 나라와 그 의로움이 우리의 진정한 관심사가 되고, 우리가 눈을 들어 앞을 바라볼 때, 발밑이 아니라 앞에 놓인 것을 바라볼 때, 겸손은 탄생합니다! 자신을 높이는 사람들은 대개 자신보다 더 흥미로운 것은 없다고 생각하지만, 사실 그들은 매우 불안합니다. 반면에 하느님 보시기에 자신이 소중하고 하느님의 자녀임을 아는 사람들은 더 큰 일을 걱정합니다. 그들은 자신만의 숭고한 존엄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우리가 첫째 자리를 차지하기 위해 애쓰는 대신 마지막 자리를 택하는 법을 배우면 그 존엄성이 드러나고, 우리는 쉽게 그리고 저절로 앞으로 갈 것입니다.

Dear friends, today let us pray that the Church will always be a school of humility for everyone, a home where all are welcome, a place where rivalries are set aside and where Jesus still speaks to us and teaches us to imitate his own humility and freedom. Mary is truly the Mother of that home; it is to her that we now pray.

사랑하는 친구 여러분, 오늘 교회가 항상 모든 사람을 위한 겸손의 학교가 되고, 모두가 환영받는 가정이 되며, 경쟁의식이 없는 곳, 예수님께서 여전히 우리에게 말씀하시고, 당신의 겸손과 자유를 본받으라고 우리를 가르치시는 곳이 되도록 기도합시다. 성모마리아께서 참으로 그 가정의 어머니이십니다. 이제 우리 그 성모 마리아께 기도합시다.

After the Angelus
Dear brothers and sisters, Sadly, the war in Ukraine continues to sow death and destruction. Even in recent days, bombings have struck several cities, including the capital Kyiv, causing numerous casualties. I renew my closeness to the Ukrainian people and to all the injured families. I ask everyone not to give in to indifference, but to draw close to them through prayer and concrete gestures of charity. I strongly reiterate my urgent appeal for an immediate ceasefire and a serious commitment to dialogue. Now is the time for those responsible to renounce the logic of weapons and take the path of negotiation and peace, with the support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he voice of weapons must be silenced, while the voice of fraternity and justice must be raised.

삼종기도 후
사랑하는 형제자매 여러분, 안타깝게도 우크라이나 전쟁은 계속해서 죽음과 파괴를 뿌리고 있습니다. 최근 며칠 동안에도 폭격이 키이우를 포함한 여러 도시를 때려 수많은 사상자를 발생시켰습니다. 저는 우크라이나 국민과 부상당한 모든 가족들에게 다시 한 번 깊은 애도를 표합니다. 모든 분들께 무관심에 굴복하지 말고 기도와 구체적인 자선 활동을 통해 그들에게 다가가 주시기를 간곡히 부탁드립니다. 즉각적인 휴전과 대화에 대한 진지한 헌신을 강력히 호소합니다. 지금이야말로 책임 있는 사람들이 무기의 논리를 버리고 국제 사회의 지원을 받아 협상과 평화의 길로 나아갈 때입니다. 무기의 목소리는 침묵해야 하며, 형제애와 정의의 목소리는 높여야 합니다.

Our prayers for the victims of the tragic shooting during a school Mass in the American State of Minnesota include the countless children killed and injured every day around the world. Let us plead God to stop the pandemic of arms, large and small, which infects our world. May our Mother Mary, the Queen of Peace, help us to fulfil the prophecy of Isaiah: “They shall beat their swords into ploughshares and their spears into pruning hooks” (Is 2:4).

미국 미네소타주에서 학교 미사 중 발생한 비극적인 총격 사건의 희생자들과 매일 전 세계에서 죽고 다치는 수많은 아이들을 위해 우리는 기도합니다. 세상을 감염시키는 크고 작은 무기의 팬데믹을 멈추어 달라고 하느님께 간구합시다. 평화의 모후이신 성모 마리아여, 저희를 도우셔서 이사야의 예언이 성취되게 하소서! “그들은 칼을 쳐서 보습을 만들고 창을 쳐서 낫을 만들리라.” (이사야 2:4)

Our hearts are also wounded by the more than fifty people who died and the one hundred or so still missing following the shipwreck of a boat carrying migrants attempting the 1100 km journey towards the Canary Islands, that capsized off the Atlantic coast of Mauritania. This deadly tragedy is repeated every day all over the world. Let us pray that the Lord will teach us, as individuals and societies, fully to put into practice his words: “I was a stranger and you welcomed me” (Mt 25:35).

카나리아 제도로 향하여 1,100km의 여정을 시도하던 이주민 선박이 모리타니 대서양 연안에서 전복되어 50여 명이 사망하고 100여 명이 실종된 사건으로 우리의 마음이 아픕니다. 이 치명적인 비극은 전 세계에서 매일 반복되고 있습니다. 주님께서 우리 개인과 사회 모두에게 “너희는 내가 나그네였을 때에 따뜻이 맞아들였다.” (마태오 25,35) 라는 주님의 말씀을 온전히 실천하는 것을 가르쳐주시기를 기도합시다.

We entrust all our injured, missing and dead, everywhere, to our Savior’s loving embrace.

우리는 전 세계의 우리의 모든 부상자, 실종자, 사망자를 우리 구원자의 사랑의 품에 의탁합니다.

Tomorrow, 1 September, is the World Day of Prayer for the Care of Creation. Ten years ago, in harmony with Ecumenical Patriarch Bartholomew I, Pope Francis established this Day for the Catholic Church. This is more important and urgent than ever, and this year’s theme is “Seeds of Peace and Hope.” Together with all Christians, we celebrate it throughout this “Season of Creation”, which lasts until 4 October, the Feast of Saint Francis of Assisi. In the spirit of the Canticle of Brother Sun, which he composed 800 years ago, we praise God and renew our commitment not to ruin his gift but to care for our common home.

내일, 9월 1일은 피조물 보호를 위한 세계 기도의 날입니다. 10년 전, 프란치스코 교황께서 세계 총대주교 바르톨로메오 1세와 뜻을 같이하여 가톨릭 교회를 위해 이 날을 제정하셨습니다. 이는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하고 시급하며, 올해 주제는 "평화와 희망의 씨앗"입니다. 우리는 모든 그리스도인과 함께 10월 4일 아시시의 성 프란치스코 대축일까지 이어지는 이 "피조물 보호의 시기" 내내 이 날을 기념합니다. 800년 전 성프란치스코가 지은 태양의 찬가의 정신에 따라, 우리는 하느님을 찬양하며, 그분의 선물을 망치지 않고 우리 공동의 집을 돌보겠다는 우리의 헌신을 새롭게 다짐합니다.

I extend my affectionate greeting to all of you, the faithful of Rome and pilgrims from Italy and various countries. In particular, I greet the parish groups from Quartu Sant’Elena, Morigerati, Venegono, Rezzato, Brescello, Boretto and Gualtieri, Val di Gresta, Valmadrera, Stiatico, Sortino and Casadio; together with the group of families from Lucca who traveled along the Via Francigena.

로마 신자 여러분과 이탈리아 및 여러 나라에서 오신 순례자 여러분께 따뜻한 인사를 전합니다. 특히 콰르투 산텔레나, 모리게라티, 베네고노, 레차토, 브레셀로, 보레토, 괄티에리, 발 디 그레스타, 발마드레라, 스티아티코, 소르티노, 카사디오의 본당 공동체 여러분께, 그리고 비아 프란치제나를 따라 여행하신 루카의 가족 여러분께 인사드립니다.

I also greet the Lay Fraternity of the Dimesse Sisters of Padua, the young people of Catholic Action and AGESCI of Reggio Calabria, the young people of Gorla Maggiore and the confirmandi of Castel San Pietro Terme; as well as the Shalom Movement of San Miniato with the Angiolo del Bravo Philharmonic, the “Note libere” Association of Taviano, and the “Genitori Orsenigo” group. I wish all of you a happy Sunday!

파도바 디메세 수녀회 평신도 형제회, 가톨릭 액션과 레조 칼라브리아 AGESCI의 젊은이들, 고를라 마조레의 젊은이들, 카스텔 산 피에트로 테르메의 컨퍼판디, 그리고 안졸로 델 브라보 필하모닉과 함께하는 산 미니아토 샬롬 운동, 타비아노 "노트 리베레" 협회, 그리고 "제니토리 오르세니고" 그룹에도 인사드립니다. 모두 행복한 일요일 보내시길 바랍니다!

한글 번역: 윤영학 아오스딩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