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황님의 삼종기도 강론(2025.08.17)
최고관리자
2025.08.26 15:26
1,219
0
- - 짧은주소 : http://yscatholic.com/bbs/?t=1z4
본문
POPE LEO XIV, ANGELUS, 20th Sunday in Ordinary Time, Piazza della Libertà (Castel Gandolfo), Sunday, 17 August 2025
Dear brothers and sisters, happy Sunday! Today’s Gospel presents us with a demanding text (cf. Lk 12:49-53), in which Jesus uses strong images and great frankness to teach his disciples that his mission, and even that of his followers, is not a “bed of roses”, but a “sign of contradiction” (cf. Lk 2:34).
교황 레오 14세, 삼종기도, 연중 제20주일, 피아차 델라 리베르타 (카스텔 간돌포), 2025년 8월 17일 주일
사랑하는 형제자매 여러분, 복된 주일입니다! 오늘 복음은 우리에게 부담되는 본문을 전하는데, 예수님께서 강렬한 이미지와 아주 솔직한 표현을 쓰시면서 제자들에게 당신과 당신을 따르는 사람들의 사명은 “장미꽃밭”이 아니고 “반대의 표적”이라고 가르치십니다. (루카 12,49-53, 루카 2,34 참조)
In this way, the Lord anticipates what he will have to face in Jerusalem when he will be opposed, arrested, insulted, beaten, crucified; when his message of love and justice will be rejected; when the leaders of the people will react with viciousness at his preaching. Moreover, many of the communities to which the evangelist Luke was writing were also experiencing the same thing. As the Acts of the Apostles tells us, they were peaceful communities that, despite their own limitations, sought to live the best they could the Master’s message of love (cf. Acts 4:32-33). Yet they were suffering persecutions.
이렇게 주님께서는 당신이 예루살렘에서 직면하실 일들을 내다보십니다. 반대에 부딪히고, 체포되고, 모욕당하고, 매를 맞고, 십자가에 못 박히시고, 당신의 사랑과 정의의 메시지가 거부당하고, 백성의 지도자들이 당신의 가르침에 악의적으로 반응하는 일들입니다. 더 나아가, 루카 복음사가가 복음을 전했던 많은 공동체들 역시 같은 상황을 겪게 됩니다. 사도행전에서 알 수 있듯이, 그들은 그들 자신의 한계에도 불구하고 주님의 사랑의 메시지를 최선을 다해 실천하고자 노력했던 평화로운 공동체들이었습니다. (사도행전 4:32-33 참조) 하지만 그들은 박해로 고통을 받았습니다.
All of this reminds us that being or doing good does not always receive a positive response. On the contrary, because its beauty at times annoys those who do not welcome it, one can end up encountering harsh opposition, even insolence and oppression. Acting in truth has its cost, because there are those in the world who choose lies, and the devil, who takes advantage of the situation, often seeks to block the actions of good people.
이 모든 것은 선하거나 선을 행한다고 해서 항상 긍정적인 응답을 받지는 못한다는 것을 깨우쳐 줍니다. 오히려 그 아름다움이 때로는 그것을 환영하지 않는 사람들을 불쾌하게 하기 때문에, 결국 가혹한 반대, 심지어 무례함과 억압에 직면할 수 있습니다. 진실을 행하는 것이 대가를 치릅니다. 세상에는 거짓을 선택하는 사람들, 그리고 상황을 악용하고 종종 선한 사람들의 행동을 막는 악마들이 있기 때문입니다.
Jesus, however, invites us with his help not to give in and conform ourselves to this mentality, but to continue to act for our good and the good of all, even those who make us suffer. He invites us not to respond to insolence with vengeance, but to remain faithful to the truth in love. The martyrs witnessed to this by shedding their blood for their faith. We, too, can imitate their example even in different circumstances and ways.
그러나 예수님께서는 우리에게 당신의 도움을 받아 이러한 사고방식에 굴복하거나 순응하지 말고, 계속해서 우리 자신의 선과 모든 사람들의 선, 심지어 우리를 괴롭히는 사람들의 선을 위해 행동하라고 초대하십니다. 예수님께서는 우리에게 오만함을 복수심으로 대응하지 말고, 사랑의 진리에 충실함을 견지하라고 초대하십니다. 순교자들은 믿음을 위해 피를 흘림으로써 이것을 증거했습니다. 우리도 비록 다른 상황 다른 방식일지라도 그들을 본받을 수 있습니다.
Let us think, for example, of the price that good parents must pay if they want to educate their children according to sound principles. Eventually they will have to say “no” and correct their children; this will cause them pain. The same is true for a teacher who desires to form students properly, or for a professional, religious, or politician, who desires to carry out their mission honestly. It is true for anyone who strives to exercise his or her responsibilities consistently according to the teachings of the Gospel.
예를 들어, 자녀를 건전한 원칙에 따라 교육하고자 하는 좋은 부모가 치러야 할 대가를 생각해 봅시다. 결국 부모는 "안 돼"라고 말하며 자녀를 바로잡아야 할 것입니다. 이렇게 부모는 고통을 감수해야 합니다. 학생들을 올바르게 양육하고자 하는 교사나, 자신의 사명을 정직하게 수행하고자 하는 전문직 종사자, 종교인, 정치인들도 마찬가지입니다. 복음의 가르침에 따라 자신의 책임을 일관되게 실천하고자 노력하는 모든 사람들도 마찬가지입니다.
In this regard, Saint Ignatius of Antioch, while travelling toward Rome to undergo martyrdom, wrote to the Christians of that city: “I do not want you to please men, but to please God” (Letter to the Romans 2:1). He added, “It is better for me to die in Jesus Christ than reign over the ends of the earth” (ibid., 6:1).
이와 관련하여, 안티오키아의 성 이냐시오는 순교를 당하기 위해 로마로 향하던 중 그 도시의 그리스도인들에게 이렇게 썼습니다. "저는 여러분이 사람들을 기쁘게 하는 것이 아니라 하느님을 기쁘게 하기를 바랍니다." (로마 2,1). 그는 또한 "땅 끝까지 다스리는 것보다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죽는 것이 나에게 더 낫습니다.“ (로마 6,1) 라고 덧붙였습니다.
Brothers and sisters, let us together ask Mary, Queen of Martyrs, to help us be faithful and courageous witnesses of her Son in every circumstance, and to sustain our brothers and sisters who suffer for the faith today.
형제자매 여러분, 다함께 순교자의 여왕이신 성모 마리아께 기도합시다. 성모님 저희를 도우셔서, 저희가 어떤 상황에서든 당신 아드님의 충실하고 용감한 증인이 되게 하시고, 오늘날 신앙 때문에 고통 받는 우리 형제자매들을 지지하게 하소서!
After the Angelus
Dear brothers and sisters, I am close to the peoples of Pakistan, India, and Nepal who have been struck by violent floods. I pray for the victims, for their families, and for all those who suffer because of this calamity.
삼종기도 후
사랑하는 형제자매 여러분, 저는 극심한 홍수로 피해를 입은 파키스탄, 인도, 네팔 국민들과 마음으로 가까이 있습니다. 이 재난으로 고통 받는 모든 분들과 그 가족들을 위해 기도합니다.
Let us pray that efforts to bring wars to an end and to promote peace may bear fruit, and that in negotiations the common good of peoples may always be placed first.
전쟁을 종식시키고 평화를 증진하려는 노력이 결실을 맺고, 협상에서는 사람들의 공동선이 항상 첫째로 고려되도록 기도합시다.
In this summer season, I have received news of many different initiatives of cultural outreach and evangelization, often organized in holiday destinations. It is beautiful to see how zeal for the Gospel inspires the creativity and commitment of groups and associations of all ages. For example, I think of the youth mission that took place recently in Riccione. I thank the organizers and everyone who in various ways participated in such events.
이번 여름, 저는 다양한 문화 홍보 및 복음화 사업 소식을 접했습니다. 특히 휴양지에서 진행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복음에 대한 열정이 모든 연령대의 단체와 협회의 창의성과 헌신을 어떻게 고취시키는지 보는 것은 참으로 아름다운 일입니다. 예를 들어, 최근 리치오네에서 있었던 청소년 선교 사업이 생각납니다. 행사 주최 측과 다양한 방식으로 참여해 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I greet with affection all of you present here today in Castel Gandolfo. In particular, I am pleased to welcome the AIDO group of Coccaglio, celebrating fifty years of commitment to life; the AVIS blood donors who came by bicycle from Gavardo (Brescia); the young people of Casarano; and the Franciscan Sisters of Saint Anthony. I also bless the great pilgrimage to the Marian Shrine of Piekary in Poland. I wish you all a blessed Sunday!
오늘 카스텔 간돌포에 오신 모든 분들께 따뜻한 인사를 전합니다. 특히, 생명에 대한 헌신 50주년을 기념하는 코카글리오의 AIDO 그룹, 브레시아 가바르도에서 자전거로 오신 AVIS 헌혈자 여러분, 카사라노의 젊은이들, 그리고 성 안토니오 프란치스코 수녀님들을 진심으로 환영합니다. 또한 폴란드 피에카리 성모 성지로 향하는 위대한 순례를 축복합니다. 여러분 모두 축복된 주일 보내시길 바랍니다!
한글 번역: 윤영학 아오스딩
Dear brothers and sisters, happy Sunday! Today’s Gospel presents us with a demanding text (cf. Lk 12:49-53), in which Jesus uses strong images and great frankness to teach his disciples that his mission, and even that of his followers, is not a “bed of roses”, but a “sign of contradiction” (cf. Lk 2:34).
교황 레오 14세, 삼종기도, 연중 제20주일, 피아차 델라 리베르타 (카스텔 간돌포), 2025년 8월 17일 주일
사랑하는 형제자매 여러분, 복된 주일입니다! 오늘 복음은 우리에게 부담되는 본문을 전하는데, 예수님께서 강렬한 이미지와 아주 솔직한 표현을 쓰시면서 제자들에게 당신과 당신을 따르는 사람들의 사명은 “장미꽃밭”이 아니고 “반대의 표적”이라고 가르치십니다. (루카 12,49-53, 루카 2,34 참조)
In this way, the Lord anticipates what he will have to face in Jerusalem when he will be opposed, arrested, insulted, beaten, crucified; when his message of love and justice will be rejected; when the leaders of the people will react with viciousness at his preaching. Moreover, many of the communities to which the evangelist Luke was writing were also experiencing the same thing. As the Acts of the Apostles tells us, they were peaceful communities that, despite their own limitations, sought to live the best they could the Master’s message of love (cf. Acts 4:32-33). Yet they were suffering persecutions.
이렇게 주님께서는 당신이 예루살렘에서 직면하실 일들을 내다보십니다. 반대에 부딪히고, 체포되고, 모욕당하고, 매를 맞고, 십자가에 못 박히시고, 당신의 사랑과 정의의 메시지가 거부당하고, 백성의 지도자들이 당신의 가르침에 악의적으로 반응하는 일들입니다. 더 나아가, 루카 복음사가가 복음을 전했던 많은 공동체들 역시 같은 상황을 겪게 됩니다. 사도행전에서 알 수 있듯이, 그들은 그들 자신의 한계에도 불구하고 주님의 사랑의 메시지를 최선을 다해 실천하고자 노력했던 평화로운 공동체들이었습니다. (사도행전 4:32-33 참조) 하지만 그들은 박해로 고통을 받았습니다.
All of this reminds us that being or doing good does not always receive a positive response. On the contrary, because its beauty at times annoys those who do not welcome it, one can end up encountering harsh opposition, even insolence and oppression. Acting in truth has its cost, because there are those in the world who choose lies, and the devil, who takes advantage of the situation, often seeks to block the actions of good people.
이 모든 것은 선하거나 선을 행한다고 해서 항상 긍정적인 응답을 받지는 못한다는 것을 깨우쳐 줍니다. 오히려 그 아름다움이 때로는 그것을 환영하지 않는 사람들을 불쾌하게 하기 때문에, 결국 가혹한 반대, 심지어 무례함과 억압에 직면할 수 있습니다. 진실을 행하는 것이 대가를 치릅니다. 세상에는 거짓을 선택하는 사람들, 그리고 상황을 악용하고 종종 선한 사람들의 행동을 막는 악마들이 있기 때문입니다.
Jesus, however, invites us with his help not to give in and conform ourselves to this mentality, but to continue to act for our good and the good of all, even those who make us suffer. He invites us not to respond to insolence with vengeance, but to remain faithful to the truth in love. The martyrs witnessed to this by shedding their blood for their faith. We, too, can imitate their example even in different circumstances and ways.
그러나 예수님께서는 우리에게 당신의 도움을 받아 이러한 사고방식에 굴복하거나 순응하지 말고, 계속해서 우리 자신의 선과 모든 사람들의 선, 심지어 우리를 괴롭히는 사람들의 선을 위해 행동하라고 초대하십니다. 예수님께서는 우리에게 오만함을 복수심으로 대응하지 말고, 사랑의 진리에 충실함을 견지하라고 초대하십니다. 순교자들은 믿음을 위해 피를 흘림으로써 이것을 증거했습니다. 우리도 비록 다른 상황 다른 방식일지라도 그들을 본받을 수 있습니다.
Let us think, for example, of the price that good parents must pay if they want to educate their children according to sound principles. Eventually they will have to say “no” and correct their children; this will cause them pain. The same is true for a teacher who desires to form students properly, or for a professional, religious, or politician, who desires to carry out their mission honestly. It is true for anyone who strives to exercise his or her responsibilities consistently according to the teachings of the Gospel.
예를 들어, 자녀를 건전한 원칙에 따라 교육하고자 하는 좋은 부모가 치러야 할 대가를 생각해 봅시다. 결국 부모는 "안 돼"라고 말하며 자녀를 바로잡아야 할 것입니다. 이렇게 부모는 고통을 감수해야 합니다. 학생들을 올바르게 양육하고자 하는 교사나, 자신의 사명을 정직하게 수행하고자 하는 전문직 종사자, 종교인, 정치인들도 마찬가지입니다. 복음의 가르침에 따라 자신의 책임을 일관되게 실천하고자 노력하는 모든 사람들도 마찬가지입니다.
In this regard, Saint Ignatius of Antioch, while travelling toward Rome to undergo martyrdom, wrote to the Christians of that city: “I do not want you to please men, but to please God” (Letter to the Romans 2:1). He added, “It is better for me to die in Jesus Christ than reign over the ends of the earth” (ibid., 6:1).
이와 관련하여, 안티오키아의 성 이냐시오는 순교를 당하기 위해 로마로 향하던 중 그 도시의 그리스도인들에게 이렇게 썼습니다. "저는 여러분이 사람들을 기쁘게 하는 것이 아니라 하느님을 기쁘게 하기를 바랍니다." (로마 2,1). 그는 또한 "땅 끝까지 다스리는 것보다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죽는 것이 나에게 더 낫습니다.“ (로마 6,1) 라고 덧붙였습니다.
Brothers and sisters, let us together ask Mary, Queen of Martyrs, to help us be faithful and courageous witnesses of her Son in every circumstance, and to sustain our brothers and sisters who suffer for the faith today.
형제자매 여러분, 다함께 순교자의 여왕이신 성모 마리아께 기도합시다. 성모님 저희를 도우셔서, 저희가 어떤 상황에서든 당신 아드님의 충실하고 용감한 증인이 되게 하시고, 오늘날 신앙 때문에 고통 받는 우리 형제자매들을 지지하게 하소서!
After the Angelus
Dear brothers and sisters, I am close to the peoples of Pakistan, India, and Nepal who have been struck by violent floods. I pray for the victims, for their families, and for all those who suffer because of this calamity.
삼종기도 후
사랑하는 형제자매 여러분, 저는 극심한 홍수로 피해를 입은 파키스탄, 인도, 네팔 국민들과 마음으로 가까이 있습니다. 이 재난으로 고통 받는 모든 분들과 그 가족들을 위해 기도합니다.
Let us pray that efforts to bring wars to an end and to promote peace may bear fruit, and that in negotiations the common good of peoples may always be placed first.
전쟁을 종식시키고 평화를 증진하려는 노력이 결실을 맺고, 협상에서는 사람들의 공동선이 항상 첫째로 고려되도록 기도합시다.
In this summer season, I have received news of many different initiatives of cultural outreach and evangelization, often organized in holiday destinations. It is beautiful to see how zeal for the Gospel inspires the creativity and commitment of groups and associations of all ages. For example, I think of the youth mission that took place recently in Riccione. I thank the organizers and everyone who in various ways participated in such events.
이번 여름, 저는 다양한 문화 홍보 및 복음화 사업 소식을 접했습니다. 특히 휴양지에서 진행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복음에 대한 열정이 모든 연령대의 단체와 협회의 창의성과 헌신을 어떻게 고취시키는지 보는 것은 참으로 아름다운 일입니다. 예를 들어, 최근 리치오네에서 있었던 청소년 선교 사업이 생각납니다. 행사 주최 측과 다양한 방식으로 참여해 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I greet with affection all of you present here today in Castel Gandolfo. In particular, I am pleased to welcome the AIDO group of Coccaglio, celebrating fifty years of commitment to life; the AVIS blood donors who came by bicycle from Gavardo (Brescia); the young people of Casarano; and the Franciscan Sisters of Saint Anthony. I also bless the great pilgrimage to the Marian Shrine of Piekary in Poland. I wish you all a blessed Sunday!
오늘 카스텔 간돌포에 오신 모든 분들께 따뜻한 인사를 전합니다. 특히, 생명에 대한 헌신 50주년을 기념하는 코카글리오의 AIDO 그룹, 브레시아 가바르도에서 자전거로 오신 AVIS 헌혈자 여러분, 카사라노의 젊은이들, 그리고 성 안토니오 프란치스코 수녀님들을 진심으로 환영합니다. 또한 폴란드 피에카리 성모 성지로 향하는 위대한 순례를 축복합니다. 여러분 모두 축복된 주일 보내시길 바랍니다!
한글 번역: 윤영학 아오스딩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