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성경묵상

영어성경묵상

교황님의 삼종기도 강론(2022.11.01)

최고관리자
2022.11.15 12:01 3,076 0

본문

POPE FRANCIS ANGELUS, Saint Peter's Square, SOLEMNITY OF ALL SAINTS, 1 November 2022

Dear brothers and sisters, happy feast day, buongiorno! Today, we celebrate all the saints, and we might have a misleading impression: we might think we are celebrating those sisters and brothers who in life were perfect, always straight, precise, or rather “starched”. Instead, today's Gospel belies this stereotypical view, this “picture-perfect holiness”. In fact, the Beatitudes of Jesus (cf. Mt 5:1-12), which are the identity card of saints, show the complete opposite: they speak of a countercultural life, a revolutionary life! The saints are the true revolutionaries.

프란치스코 교황 삼종 기도, 성 베드로 광장, 모든 성인 대축일, 2022년 11월 1일

친애하는 형제자매 여러분, 즐거운 축일, 안녕하십니까? 오늘 우리는 모든 성인을 기념합니다. 모든 성인 대축일에 우리는 잘못된 인상을 가질 수 있습니다. 즉, 삶에서 완전하고 항상 직선적이고 정확하고 “빳빳하게 풀 먹인 듯” 완벽하였던 형제자매들을 기념한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오늘의 복음은 이 판에 박힌 견해 (고정관념), 즉 이 “그림같이 완벽한 거룩함”이 사실이 아님을 보여줍니다. 사실 성인들의 신분증인 예수님의 진복팔단 (마태오 5,1-12 참조)은 정반대를 보여줍니다. 즉 반문화적인 삶, 혁명적인 삶을 얘기합니다. 성인들은 진정한 혁명가들입니다.
 
Let us take, for example, a very topical beatitude: “Blessed are the peacemakers” (v. 9), and we see how the peace of Jesus is very different from that we imagine. We all long for peace, but often what we want is not really peace, it is to be at peace, to be left in peace, to have no problems but to have tranquility. Jesus, instead, does not call blessed the calm, those who are in peace, but those who make peace and strive to make peace, the constructors, the peacemakers. Indeed, peace must be built, and like any construction it requires effort, collaboration, patience.

예를 들어 매우 시사적인 진복, “행복하여라, 평화를 이루는 사람들!” (9절)을 생각해봅시다.  예수님의 평화가 우리가 상상하는 평화와 얼마나 다른지 알 수 있습니다. 우리 모두는 평화를 갈망하지만 종종 우리가 원하는 것이 진정한 평화가 아닙니다. 그것은 평화로이 있는 것이고, 평화 안에 놓여있는 것, 아무 문제없이 평온함을 갖는 것입니다. 그러나 예수님은 평화 안에 있는 사람들, 즉 고요한 사람들을 행복하다고 부르지 않으십니다. 오히려 평화를 이루는 사람들, 평화를 이루기 위해서 힘쓰는 사람들, 건설자들, 평화를 이루는 사람들을 행복하다고 말씀하십니다. 진정 평화는 만들어져야 합니다. 모든 건설이 그렇듯이 노력, 협력, 인내가 필요합니다.
 
We would like peace to rain down from above, but instead the Bible speaks of a “sowing of peace” (Zech 8:12), because it germinates from the soil of life, from the seed of our heart; it grows in silence, day after day, through works of justice and works of mercy, as the luminous witnesses we are celebrating today show us. Again, we are led to believe that peace comes by force and power: for Jesus it is the opposite. His life and that of the saints tell us that the seed of peace, in order to grow and bear fruit, must first die. Peace is not achieved by conquering or defeating someone, it is never violent, it is never armed. I was watching the television programme “A Sua Immagine” (“In His Image”) – many saints who have fought, have made peace but through work, giving their own lives, offering their lives.

우리는 평화가 위에서 비처럼 내리기를 원하지만 성경은 “평화의 씨앗” (즈카르야 8:12)에 대해 말합니다. 평화는 생명의 땅으로부터, 우리 마음의 씨앗으로부터 싹트기 때문입니다. 평화는 오늘 우리가 기념하는 빛나는 증인들이 우리에게 보여주는 정의의 행위와 자비의 행위를 통하여 매일 조용히 자랍니다. 다시, 우리는 평화가 힘과 능력에 의해서 온다는 것을 믿게 됩니다. 예수님께 그것은 정반대입니다. 그분의 삶과 성인들의 삶을 보면 평화의 씨앗은 자라고 열매를 맺기 위해서 우선 죽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평화는 누구를 정복하거나 무찔러서 얻어지는 것이 아니며 결코 폭력적이지 않고 절대 무장하지 않습니다. 저는 텔레비전 프로그램 “A Sua Immagine” (“In His Image”)을 보았는데 많은 성인들이 싸웠고 평화를 이루었지만 노동을 통하여, 그들 자신들의 생명을 줌으로써, 그들의 목숨을 바침으로써 평화를 이루었습니다.

How then does one become a peacemaker? First of all, one must disarm the heart. Yes, because we are all equipped with aggressive thoughts against each other, and cutting words, and we think to defend ourselves with the barbed wire of lamentation and the concrete walls of indifference, and between lamentation and indifference we complain, and this is not peace, it is war. The seed of peace calls for the demilitarization of the field of the heart. How is your heart? Is it already demilitarized or is it like that, with those things, with complaint and indifference, with aggression? And how does one demilitarize the heart. By opening ourselves to Jesus, who is “our peace” (Eph 2:14); by standing before his Cross, which is the cathedra of peace; by receiving from him, in Confession, “forgiveness and peace”. This is where we begin, because being peacemakers, being saints, is not our ability, they are gifts, it is one of his gifts, it is grace.

그러면 어떻게 평화를 이루는 사람이 됩니까? 우선 마음의 무장을 해제해야 합니다. 그렇습니다. 우리 모두는 서로에 대한 공격적인 생각과 신랄한 말로 무장하고 한탄의 철조망과 무관심의 콘크리트 벽으로 우리 자신을 방어할 생각을 하고 한탄과 무관심 사이에서 불평합니다. 이것은 평화가 아닙니다. 그것은 전쟁입니다. 평화의 씨앗은 마음의 밭에 비무장을 요구합니다. 당신의 마음은 어떻습니까? 이미 비무장화되어 있습니까? 아니면 그런 것들, 즉 불평과 무관심, 공격성을 가지고 있습니까? 그러면 마음의 비무장화는 어떻게 합니까? 우리 자신을 “우리의 평화” (에페소서 2,14) 이신 예수님께 개방함으로써, 평화의 대성당인 그분의 십자가 앞에 섬으로써, 고해성사에서 그분으로부터 “용서와 평화”를 받음으로써 비무장화합니다. 이것이 우리가 시작하는 곳입니다. 평화를 이루는 사람이 되는 것, 성인이 되는 것은 우리의 능력이 아니고, 그것들은 선물이고, 그것은 그분의 선물 중의 하나이고, 그것은 은총이기 때문입니다.

Brothers and sisters, let us look within and ask ourselves: are we peacemakers? In the places where we live, study and work, do we bring tension, words that hurt, chatter that poisons, controversy that divides? Or do we open up the way to peace, forgiving those who have offended us; do we care for those who are at the margins, do we redress some injustice by helping those who have less? This is called building peace.

형제자매 여러분, 내면을 들여다보고 자문해 봅시다. 우리는 평화를 이루는 사람입니까? 우리가 살고, 공부하고, 일하는 곳에 긴장, 상처 주는 말, 독이 되는 잡담, 분열시키는 논란을 가져옵니까? 아니면 평화의 길을 열고, 우리를 화나게 한 사람들을 용서하고, 어려운 사람들을 돌보고, 덜 가진 사람들을 도와줌으로써 어떤 불의를 시정합니까? 이것을 평화를 이루는 것이라고 부릅니다.

A final question may arise, however, which applies to every beatitude: is it worth living this way? Isn’t it losing out? It is Jesus who gives us the answer: the peacemakers “will be called children of God” (Mt 5:9): in the world they seem out of place, because they do not yield to the logic of power and prevailing, in Heaven they will be the closest to God, the most like him. But, in reality, even here those who prevail remain empty-handed, while those who love everyone and hurt no one win: as the Psalm says, “there is a future for a man of peace” (cf. Ps 37:37).

그러나 모든 진복에 적용되는 마지막 질문이 나올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살 가치가 있습니까? 지는 것 아닙니까? 예수님께서 그에 대한 답변을 주십니다. “그들은 하느님의 자녀라 불릴 것이다.” (마태오 5,9) 세상에서는 그들이 권력과 지배의 논리에 굴복하지 않기 때문에 부적절해 보입니다. 하늘에서는 그들이 하느님과 제일 가깝고 그분과 가장 비슷합니다. 그러나 실제로 여기에서 조차 지배하는 사람들은 빈손으로 남아있는 반면 모든 사람들을 사랑하고 아무도 상처주지 않는 사람들이 승리합니다. 시편에서 말하듯이 “흠 없는 이를 지켜보고 올곧은 이를 살펴보아라. 평화로운 이에게는 후손이 이어지리라.” (시편, 37,37 참조)

May the Virgin Mary, Queen of all saints, help us to be peacemakers in our daily lives.

모든 성인의 여왕이신 동정 마리아여, 저희를 도우셔서 저희가 우리의 일상의 삶에서 평화를 이루는 사람이 되게 하소서!

After the Angelus
The day after tomorrow I leave for an apostolic journey in the Kingdom of Bahrain, where I will stay until Sunday. As of now, I would like to greet and give heartfelt thanks to the King, the Authorities, the brothers and sisters in faith, and all the population of the country, especially those who are working in preparation for this visit. It will be a Journey dedicated to dialogue: indeed, I will participate in a Forum on the theme of the indispensable need for the East and West to move closer together for the good of human coexistence; I will have the opportunity to talk with religious representatives, particularly Islamic. I ask you all to accompany me with prayer, so that every meeting and event may be a fruitful occasion to support, in God’s name, the cause of fraternity and peace, for which our times are in extreme and urgent need.

삼종기도 후에
내일 모레 저는 바레인 왕국으로 사도적 여행을 떠나 일요일까지 머무를 것입니다. 왕과 당국, 신앙의 형제자매, 그리고 모든 국민, 특히 이번 방문을 준비하고 계신 모든 분들께 인사와 진심어린 감사를 드립니다. 이번 여행은 대화에 전념하는 여정이 될 것입니다. 실제로 저는 인류 공존의 선을 위해 동서양이 더 가까워져야 할 필수 불가결한 필요성을 주제로 한 포럼에 참여할 것입니다. 그리고 종교 대표자들, 특히 이슬람교 대표들과 대화할 기회를 가질 것입니다. 모든 모임과 행사가 우리 시대에 극도로 시급한 형제애와 평화의 사업을 하느님의 이름으로 지원하는 유익한 기회가 될 수 있도록 여러분 모두가 기도로 저를 동반해주실 것을 부탁드립니다.

I affectionately greet you all, Romans and pilgrims from Italy and various countries. In particular, I greet the faithful of Setúbal, in Portugal, and the teenagers giving their profession of faith from Cassina de’ Pecchi, diocese of Milan.

로마인과 이탈리아와 여러 나라의 순례자 여러분께 사랑의 인사를 드립니다. 특히 포르투갈의 세투발 신자들과 밀라노 교구 카시나 데 페키의 신앙 서약을 하는 십대들을 맞이합니다.

I am happy to welcome the participants in the Corsa dei Santi race, organized by the “Don Bosco Missions” Foundation to live the commemoration of All Saints in a dimension of popular celebration. Thank you for your beautiful initiative and for your presence!

대중적인 축하 차원에서 모든 성인을 기념하기 위해 “돈 보스코 선교” 재단이 조직한 코르사 데이 산티 경주의 참가자들을 환영합니다. 여러분의 아름다운 솔선과 여러분의 참여에 감사드립니다.

Dear brothers and sisters, please, let us not forget martyred Ukraine: let us pray for peace, let us pray that there may be in peace in Ukraine.

친애하는 형제자매 여러분, 순교한 우크라이나를 잊지 맙시다. 평화를 위해 기도합시다. 우크라이나에 평화가 있기를 기도합시다.

Tomorrow is dedicated to the commemoration of all the deceased faithful. Besides the traditional visit to the tombs of our loved ones, I invite you to remember them in prayer for the repose of their souls, especially during Holy Mass.

내일은 모든 고인이 된 신자들을 기리는 날입니다. 우리가 사랑하는 사람들의 무덤에 가는 전통적 방문 외에도, 특히 미사 중에 그들의 영혼의 안식을 위한 기도 안에서 그들을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I wish you all a good feast. And please, do not forget to pray for me. Enjoy your lunch, and arrivederci!

모두 즐거운 축일 보내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저를 위해 기도하는 것을 잊지 마시기 바랍니다. 점심을 즐기시고 또 뵙겠습니다!

한글 번역: 윤영학 아오스딩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