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성경묵상

영어성경묵상

교황님의 삼종기도 강론(2022.10.09)

최고관리자
2022.10.15 09:57 592 0

본문

HOMILY OF HIS HOLINESS POPE FRANCIS, St Peter's Square
XXVIII Sunday of Ordinary Time, 9 October 2022

As Jesus was walking along, ten lepers met him and cried out: “Have mercy on us!” (Lk 17:13).  All ten were healed, yet only one of them returned to thank Jesus.  He was a Samaritan, a kind of heretic for the Jewish people. At the beginning, they were walking together, but then the Samaritan left the others and turned back, “praising God with a loud voice” (v. 15).  Let us stop and reflect on these two aspects of today’s Gospel: walking together and giving thanks.

교황님의 강론, 성 베드로 광장, 연중 제28주일 (2022. 10, 9.)
 
예수님이 길을 가실 때 열 명의 나병환자가 그분을 만나 “저희에게 자비를 베풀어 주십시오!”라고 외쳤습니다. (루카 17, 13) 열 명이 모두 치유되었지만 그 중 한 사람만 돌아와서 예수님에게 감사했습니다. 그는 유대 민족에게 일종의 이단인 사마리아 사람이었습니다. 처음에는 함께 걸었지만 사마리아 사람은 다른 사람들을 떠나서 “큰 소리로 하느님을 찬양하며” (15절) 돌아왔습니다. 여기에서 멈춰서 오늘 복음의 두 관점, 즉 함께 걷는 것과 감사하는 것에 대해 묵상합시다.

First, walking together.  At the beginning of the account,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the Samaritan and the other nine.  We only hear that they are lepers, who together, as a group, approach Jesus.  Leprosy, as we know, was not only a physical affliction, one which even today we must make every effort to eliminate, but also a “social disease”, since in those days, for fear of contagion, lepers had to remain apart from the community (cf. Lev 13:46).
 
첫째, 함께 걷는다. 복음의 시작부분에는 사마리아인과 다른 아홉 사이에 아무 차이가 없었습니다. 그저 그들이 나병환자들이고 함께 모여 하나의 그룹으로 예수님에게 다가온다는 것만 듣습니다. 우리가 아는바와 같이 나병은 오늘날에도 우리가 근절하기 위해 모든 노력을 기울여야 하는 육체적 고통일 뿐만 아니라 "사회적 질병"이기도 합니다. 왜냐하면 그 당시에는 전염이 두려워 나환자들은 공동체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어야 했기 때문입니다. (레위기 13,46 참조)

Hence, they could not enter villages; they were kept at a distance, isolated and relegated to the margins of social and even religious life.  By walking together, these lepers indicted a society that excluded them.  We should also note that the Samaritan, although considered a heretic, “a foreigner”, is part of their group.  Brothers and sisters, whenever disease and fragility are shared, barriers fall and exclusion is overcome.

따라서 그들은 마을에 들어갈 수 없었습니다. 그들은 멀리에 고립되었고 사회적, 심지어 종교적 삶의 주변부로 강등되었습니다. 이 나환자들은 함께 걸어감으로써 그들을 배제한 사회를 고발하였습니다. 우리는 또한 사마리아인이 이단으로, “이방인”으로 간주되지만, 그들의 집단의 일부라는 점을 주목해야 합니다. 형제자매 여러분, 질병과 연약함을 공유할 때마다 장벽이 무너지고 배제가 극복됩니다.

This image is also meaningful for us: when we are honest with ourselves, we realize that we are all sick at heart, all sinners in need of the Father’s mercy.  Then we stop creating divisions on the basis of merit, social position or some other superficial criterion; our interior barriers and prejudices likewise fall.  In the end, we realize once more that we are brothers and sisters.  Even Naaman the Syrian, as the first reading reminded us, for all his wealth and power, could only be healed by doing something simple: wash in the river in which everyone else was bathing.
 
이 이미지는 우리에게도 의미가 있습니다. 우리가 자신에게 정직할 때 우리는 모두 마음이 아프고, 우리 모두 아버지의 자비가 필요한 죄인임을 깨닫게 됩니다. 그러면 우리는 장점, 사회적 지위 또는 기타 피상적인 기준에 근거하여 분열을 만드는 것을 중단합니다. 우리 내부의 장벽과 편견도 마찬가지로 무너집니다. 결국 우리는 형제자매임을 다시 한 번 깨닫습니다.  제1독서에서 우리에게 상기시켰듯이 시리아인 나아만조차도 그의 모든 부와 권력에도 불구하고 단순한 일을 수행함으로써 치유될 수 있었습니다. 그 일은 다른 모든 사람들이 목욕하고 있던 강에서 몸을 씻는 것이었습니다.

First of all, he had to remove his armour and his robes (cf. 2 Kings 5).  We would do well to set aside our own outer armour, our defensive barriers, and take a good bath of humility, mindful that all of us are vulnerable within and in need of healing.  All of us are brothers and sisters.  Let us remember this: the Christian faith always asks us to walk alongside others, never to be solitary wayfarers.  Faith always urges us to move beyond ourselves and towards God and our brothers and sisters, never to remain enclosed within ourselves.  Faith invites us to acknowledge constantly that we are in need of healing and forgiveness, and to share in the frailty of those who are near to us, without feeling ourselves superior.

우선 그는 갑옷과 겉옷을 벗어야 했습니다. (열왕기하 5장 참조) 우리도 우리 모두가 내적으로 취약하고 치유가 필요하다는 것을 기억하며 우리 자신의 외부 갑옷과 방어벽을 제쳐두고 겸손의 목욕을 하는 것이 좋을 것입니다. 우리 모두는 형제자매입니다. 우리 모두 이것을 기억합시다. 기독교 신앙은 항상 우리에게 다른 사람들과 함께 걸을 것을 요구하며 결코 고독한 나그네가 되지 말라고 요구합니다. 믿음은 항상 우리에게 우리 자신 안에 갇혀있지 말고 우리 자신을 넘어서 하느님과 이웃에게 나아가도록 촉구합니다. 믿음은 우리에게 치유와 용서가 필요하다는 것을 끊임없이 인정하고 자신이 우월하다는 느낌 없이 우리 가까이에 있는 사람들과  나약함을 공유하도록 초대합니다.

Brothers and sisters, let us reflect and see if in our lives, in our families, in the places where we daily work and spend our time, we are capable of walking together with others, listening to them, resisting the temptation to lock ourselves up in self-absorption and to think only of our own needs.  To walk together – to be “synodal” – is also the vocation of the Church.  Let us ask ourselves if we are really communities truly open and inclusive of all; if we cooperate, as priests and laity, in the service of the Gospel; and if we show ourselves welcoming, not only in words but with concrete gestures, to those both near and far, and all those buffeted by the ups and downs of life. 

형제자매 여러분, 우리의 삶에서, 가정에서, 매일 일하고 시간을 보내는 장소에서, 우리가 다른 사람들과 함께 걷고, 그들의 말에 귀를 기울일 수 있는지, 자기 몰두와 자신의 필요만 생각하며 자신을 가두려는 유혹에 저항할 수 있는지 생각해봅시다. 함께 걷는 것 - “시노드의 정신 - 은 또한 교회의 소명입니다. 우리 자신에게 물어봅시다. 우리가 진정으로 열려있고 모두를 포용하는 공동체인지, 우리가 사제와 평신도로서 복음에 대한 봉사에 협조하는지, 우리가 가까이 그리고 멀리 있는 사람들을, 그리고 삶의 기복에 시달리는 모든 사람들을 말뿐이 아니라 행동으로 환영하는지 자문해봅시다.

Do we make them feel a part of the community?  Or do we exclude them?  I am troubled when I see Christian communities that divide the world into the good and the bad, saints and sinners: this makes them feel superior to others and exclude so many people that God wants to embrace.  Please, always be inclusive: in the Church and in society, which is still marred by many forms of inequality and marginalization.  Always be inclusive.  Today, the day in which Bishop Scalabrini becomes a saint, I think of emigrants. 

우리는 그들이 공동체의 일원으로 느끼게 합니까? 아니면 그들을 제외시킵니까? 저는 교회공동체들이 세상을 선한 사람들과 악한 사람들로 나누는 것, 성인과 죄인으로 나누는 것을 볼 때 마음이 아픕니다. 이것은 그들을 다른 사람들보다 우월하다고 느끼게 하고 하느님께서 포옹하기 원하시는 많을 사람들을 배제합니다. 많은 형태의 불평등과 소외로 인해 여전히 손상을 입은 교회와 사회에서 항상 포용적이어야 합니다. 항상 포용하십시오. 스칼라브리니 주교가 성인이 되는 오늘, 저는 이민자들을 생각합니다.

The exclusion of emigrants is scandalous.  Actually, the exclusion of emigrants is criminal.  They are dying right in front of us, as the Mediterranean is the largest cemetery in the world.  The exclusion of emigrants is revolting, sinful and criminal.  Not opening doors to those in need – “No, we do not exclude them, we send them away” to camps, where they are exploited and sold like slaves.  Brothers and sisters, today let us call to mind these emigrants, especially those who are dying.  And those who are able to enter, do we welcome them as brothers and sisters or do we exploit them?  I simply pose the question. 
 
이민자를 배제하는 것은 수치스러운 일입니다. 사실, 이민자의 배제는 범죄입니다. 그들이 바로 우리 앞에서 죽어가고 있습니다. 지중해가 세계에서 가장 큰 공동묘지입니다. 이민자를 배제하는 것은 혐오스럽고 죄스럽고 범죄적입니다. 도움이 필요한 사람들에게 문을 열어주지 않는 것 – “아닙니다. 우리는 그들을 배제하지 않습니다. 우리는 그들을 보냅니다.” 수용소로...그들이 착취당하고 노예처럼 팔리는 수용소로 보냅니다. 형제자매 여러분, 오늘 이 이민자들, 특히 죽어가는 사람들을 기억합시다. 그리고 들어올 수 있는 이민자들, 우리는 그들을 형제자매로 환영합니까 아니면 그들을 착취합니까? 저는 단순히 질문을 던집니다.

The second thing is giving thanks.  In the group of the ten lepers, there was only one who, realizing that he was cured, turned back to praise God and to show gratitude to Jesus.  The other nine were healed, but then went their own way, forgetting the one who had healed them. They forgot the graces given to them by God.  The Samaritan, on the other hand, makes the gift he received the first step of a new journey: he returns to the one who healed him; he goes back to Jesus in order to know him better; he enters into a relationship with the Lord.  His grateful attitude, then, is no mere act of courtesy, but the start of a journey of thanksgiving: he falls at Jesus’ feet (cf. Lk 17:16) and worships him.  He recognizes that Jesus is the Lord, that Jesus is more important than the healing he received.

두 번째는 감사하는 것입니다. 열 명의 나병환자들 중에 단 한 사람만이 나병이 나았다는 것을 알고 돌아와 하느님을 찬미하고 예수님께 감사합니다. 다른 아홉 명은 치유되었지만 치유해준 분을 잊고 제 갈 길을 갔습니다. 그들은 하느님께서 그들에게 주신 은총을 잊어버렸습니다. 반면에 사마리아인은 자신이 받은 선물을 새로운 여정의 첫 발 걸음이 되게 합니다. 그는 그를 치유해주신 분께 돌아갑니다. 그는 예수님을 더 잘 알기 위해 예수님께 돌아갑니다. 그는 주님과의 관계에 들어갑니다. 그래서 그의 감사의 태도는 단순한 예의가 아니라 감사의 여정의 시작입니다. 그는 예수님의 발 앞에 엎드려 그분께 경배 드립니다. (루카 17,16 참조) 그는 예수님이 주님이시고, 예수님이 자신이 받은 치유보다 더 중요하다는 것을 깨닫습니다.

This is a great lesson also for us, brothers and sisters, who daily benefit from the gifts of God, yet so often go our own way, failing to cultivate a living and real relationship with him.  This is a nasty spiritual disease: we take everything for granted, including faith, including our relationship with God, to the point where we become Christians no longer able to be amazed or to give thanks, lacking in gratitude and incapable of seeing the wonders of the Lord.  A woman I know used to say, “They are rose-water Christians”.  We end up thinking that all the gifts we receive each day are natural and due to us. 

형제자매 여러분, 이것은 또한 우리에게 큰 가르침입니다. 우리는 매일 하느님의 선물로부터 유익을 얻으면서도 너무 자주 하느님과의 살아있는 진정한 관계를 발전시키지 못하고 우리 자신의 길을 갑니다. 이것은 저속한 영적 질병입니다. 우리는 믿음을 포함하여, 하느님과의 관계를 포함하여 모든 것을 당연하게 여깁니다. 더 이상 놀래지 않고 더 이상 감사하지 않는 크리스천이 됩니다. 감사하는 마음이 부족하고, 주님이 하시는 놀라운 일을 볼 수 없게 됩니다. 제가 아는 자매님은 “그들은 장미향 신자들예요.”라고 말하곤 합니다. 우리는 우리가 매일 받는 선물이 당연하고 우리 덕분이라고 생각하게 됩니다.
 
Gratitude, the ability to give thanks, makes us appreciate instead the presence in our lives of the God who is love.  And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others, overcoming the dissatisfaction and indifference that disfigure our hearts.  It is essential to know how to say “thank you”.  To thank the Lord each day and to thank one another.  In our families, for the little gifts we receive daily and so often do not even think about.  In the places we spend our days, for the many services which we enjoy and for all those people who support us.  In our Christian communities, for the love of God that we experience in the closeness of our brothers and sisters who, often silently, pray, sacrifice, suffer and journey with us.  So please, let us not forget to say these key words: thank you!

감사하는 능력, 감사는 오히려 우리에게 우리의 삶에 계시는 사랑이신 하느님의 현존을 알아보고 감사드리게 합니다. 그리고 우리의 마음을 더럽히는 불만과 무관심을 극복하고 다른 사람들의 소중함을 알아차리게 합니다. “고맙습니다!” 라고 말할 줄 아는 것이 아주 중요합니다. 날마다 주님께 감사하고 서로에게 감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우리 가정에서 우리가 매일 받는 작은 선물들에 대해 감사는커녕 생각조차 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우리가 하루를 보내는 장소에서, 우리가 즐기는 많은 서비스에 대해, 우리를 지원하는 모든 사람들에게, 우리 크리스천 공동체에서 종종 조용히 기도하고 희생하고 고통을 겪고 우리와 함께 여행하는 형제자매들과의 친밀함 안에서 우리가 체험하는 하느님의 사랑에 대해, 제발 “고맙습니다!” 라는 이 키워드를 말하는 것을 잊지 맙시다.

The two saints canonized today remind us of the importance of walking together and being able to give thanks.  Bishop Scalabrini, who founded two Congregations – one male and one female – for the care of emigrants, used to say that in the shared journeying of emigrants we should see not only problems, but also a providential plan.  In his words: “Precisely because of the migrations imposed by persecutions, the Church pressed beyond the confines of Jerusalem and of Israel, and became ‘catholic’; thanks to the migrations of our own days, the Church will be an instrument of peace and of communion among peoples” (L’emigrazione degli operai italiani, Ferrara, 1899).  The emigration currently taking place in Europe is causing great suffering and forcing us to open our hearts – that is the emigration of Ukrainians who are fleeing from war. 

오늘 시성된 두 성인은 우리에게 함께 걷는 것과 감사할 수 있는 것의 중요성을 환기시켜
줍니다. 이민자들을 돌보는 두 수도회 - 여성 수도회와 남성 수도회 - 를 설립한 스칼라브리니 주교님은 이민자들과의 공동여정에서 우리는 문제들뿐만 아니라 하느님의 섭리적 계획도 보아야 한다고 말하곤 했습니다. 그는 이렇게 말했습니다. “바로 박해로 인한 이주 때문에 교회는 예루살렘과 이스라엘의 경계를 넘어 '가톨릭'이 되었습니다. 우리 시대의 이주 덕분에 교회는 사람들 사이의 평화와 친교의 도구가 될 것입니다.” (L'emigrazione degli Operai italani, Ferrara, 1899) 현재 유럽에서 일어나고 있는 이민은 우리에게 큰 고통을 안겨주고 마음을 열게 하고 있습니다. 바로 전쟁을 피해 도망치는 우크라이나인들의 이민입니다.

Let us not forget the beleaguered Ukrainian emigrants.  With great vision, Scalabrini looked forward to a world and a Church without barriers, where no one was a foreigner.  For his part, the Salesian Brother Artemide Zatti – with his bicycle - was a living example of gratitude.  Cured of tuberculosis, he devoted his entire life to serving others, caring for the infirm with tender love.  He was said to have carried on his shoulders the dead body of one of his patients.  Filled with gratitude for all that he had received, he wanted to say his own “thank you” by taking upon himself the wounds of others.

궁지에 몰린 우크라이나 이민자들을 잊지 맙시다. 스칼라브리니는 큰 비전을 품고 아무도 이방인 아닌, 장벽이 없는 세상과 교회를 고대했습니다. 살레시오 형제 아르테미데 자티(Artemide Zatti) - 자전거와 함께 - 는 감사의 살아있는 본보기였습니다. 결핵이 완치된 그는 포근한 사랑으로 병자를 보살피며 다른 사람들을 섬기는데 평생을 바쳤습니다. 그는 환자 중 한 명의 시신을 어깨에 지고 옮겼다고 합니다. 그가 받은 모든 것에 대한 감사한 마음으로 가득 차, 그는 다른 사람들의 상처를 스스로 짊어짐으로써 자신의 “고맙습니다!”를 말하고 싶었습니다.

Let us pray that these Saints, our brothers, may help us to walk together, without walls of division; and to cultivate that nobility of soul, so pleasing to God, which is gratitude.

우리 형제인 이 성인들이 우리를 도와서 우리가 분열의 장벽 없이 함께 걷고, 하느님을 기쁘시게 하는 그 고귀한 정신 즉 감사하는 마음을 키우게 하소서!

한글 번역: 윤영학 아오스딩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