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성경묵상

영어성경묵상

교황님의 삼종기도 강론(2022.06.19)

최고관리자
2022.07.10 19:16 2,380 0

본문

POPE FRANCIS ANGELUS, Saint Peter's Square, SOLEMNITY OF THE MOST HOLY BODY AND BLOOD OF CHRIST, 19 June 2022

Dear brothers and sisters, buongiorno and blessed Sunday! Today in Italy and in other countries, the Solemnity of the Most Holy Body and Blood of Christ is celebrated. Instituted during the Last Supper, the Eucharist was like the destination of a journey along which Jesus had prefigured it through several signs, above all the multiplication of the loaves narrated in the Gospel of today’s Liturgy (cf. Lk. 9:11b-17). Jesus takes care of the huge crowd that had followed him to listen to his word and to be freed from various evils. He blesses five loaves and two fish, breaks them, the disciples distribute them, and “they all ate and were satisfied” (Lk. 9:17), the Gospel says. In the Eucharist, everyone can experience this loving and concrete attention of the Lord. Those who receive the Body and Blood of Christ with faith not only eat, but are satisfied. To eat and to be satisfied: these are two basic necessities that are satisfied in the Eucharist.

프란치스코 교황 삼종 기도, 성 베드로 광장, 지극히 거룩하신 그리스도의 성체 성혈 대축일, 2022년 6월 19일

친애하는 형제자매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오늘 이탈리아와 다른 나라에서 지극히 거룩하신 그리스도의 성체 성혈 대축일을 기념합니다. 최후의 만찬에서 제정된 성찬례는 예수님이 여러 표징을 통해서 예시하셨던 여정의 목적지와 같습니다. 여러 표징 중에 오늘 전례의 복음에 나오는 오병이어의 기적이 (루카 9,11나-17) 대표적입니다. 예수님은 예수님의 말씀을 듣고 여러 가지 악에서 해방되기 위해서 자신을 따라온 많은 무리를 돌보십니다. 그분은 빵 다섯 개와 물고기 두 마리를 축복하시고 쪼개시고 제자들이 그것을 나누어 주고 복음이 “사람들은 모두 배불리 먹었다.” (루카 9,17)고 전합니다. 성찬례에서 모든 사람들이 주님의 이 사랑과 구체적인 관심을 체험할 수 있습니다. 믿음으로 그리스도의 몸과 피를 받는 사람들은 먹을 뿐만 아니라 만족을 느낍니다. 먹고 만족스러워 합니다. 이것은 성찬례에서 충족되는 두 가지의 기본적인 필수입니다.

To eat. “They all ate”, writes Saint Luke. As evening fell, the disciples council Jesus to dismiss the crowd so they can go in search of food. But the Teacher wants to provide for that too – he also wants to feed those who had listened to him. The miracle of the loaves and fish does not happen in a spectacular way, but almost secretly, like the wedding at Cana – the bread increases as it passes from hand to hand. And as the crowd eats, they realize that Jesus is taking care of everything. This is the Lord present in the Eucharist. He calls us to be citizens of Heaven, but at the same time he takes into account the journey we have to face here on earth. If I have hardly any bread in my sack, He knows and takes care of it himself.

먹는다. “사람들은 모두 먹었다.” 라고 루카 성인은 씁니다. 날이 저물기 시작하자 제자들은 예수님께 군중을 해산시켜서 그들이 먹을 것을 구할 수 있도록 하자고 상의합니다. 그러나 스승은 먹을 것도 제공하기를 원하십니다. - 그분은 또한 그분의 말씀을 경청한 그들을 먹이고 싶어 하십니다. 오병이어의 기적은 거창한 방법으로 일어나지 않고 카나의 결혼식에서와 같이 거의 은밀하게 일어납니다. 빵이 손에서 손으로 옮겨가면서 불어납니다. 그리고 군중은 먹으면서 예수님이 모든 것을 돌보고 계신다는 것을 깨닫습니다. 이것인 성찬례에 현존하시는 주님이십니다. 그분은 우리가 하늘나라의 백성이 되라고 부르시지만 동시에 이 지구상에서 우리가 겪어야 하는 여정을 고려하십니다. 만약에 제가 저의 자루에 빵이 거의 없다면 그분은 그것을 아시고 친히 돌보십니다.

Sometimes there is the risk of confining the Eucharist to a vague, distant dimension, perhaps bright and perfumed with incense, but rather distant from the straits of everyday life. In reality, the Lord takes all our needs to heart, beginning with the most basic. And he wants to give an example to his disciples, saying, “You give them something to eat” (v. 13), to those people who had listened to him during the day. We can evaluate our Eucharistic adoration when we take care of our neighbour like Jesus does. There is hunger for food around us, but also of companionship; there is hunger for consolation, friendship, good humour; there is hunger for attention, there is hunger to be evangelized. We find this in the Eucharistic Bread – the attention of Christ to our needs and the invitation to do the same toward those who are beside us. We need to eat and feed others.

때로는 성찬례를 모호하고 먼 차원으로 제한할 위험이 있습니다. 아마도 향수를 뿌리고 밝지만 일상생활의 어려움과는 거리가 먼 것과 같습니다. 실제로 주님은 가장 기본적인 것부터 시작하여 우리의 모든 필요를 가슴에 새기고 계십니다. 그분은 제자들에게 하나의 본보기를 주시길 원하시며 이렇게 말씀하십니다. “너희가 그들에게 먹을 것을 주어라.” (13절) 낮 동안 그분의 말씀을 경청했던 군중들에게 먹을 것을 주라고 말씀하십니다. 우리가 우리의 이웃을 예수님이 하신 것처럼 돌볼 때 우리는 우리의 성체조배를 평가할 수 있습니다. 우리 주위에 음식에 대한 굶주림이 있지만 동료애에 대한 굶주림도 있고, 위로에 대한 굶주림, 우정에 대한 굶주림, 좋은 유머에 대한 굶주림, 관심에 대한 굶주림이 있습니다. 복음화 되고 싶은 굶주림이 있습니다. 우리는 이것을 성찬례의 빵 - 우리의 필요에 대한 그리스도의 관심과 우리 곁에 있는 사람들에게 똑같이 하라는 초대 - 에서 발견합니다. 우리는 먹고 이웃을 먹일 필요가 있습니다.

In addition to eating, however, we cannot forget being satisfied. The crowd is satisfied because of the abundance of food and also because of the joy and amazement of having received it from Jesus! We certainly need to nourish ourselves, but we also need to be satisfied, to know that the nourishment is given to us out of love. In the Body and Blood of Christ, we find his presence, his life given for each of us. He not only gives us help to go forward, but he gives us himself – he makes himself our traveling companion, he enters into our affairs, he visits us when we are lonely, giving us back a sense of enthusiasm. This satisfies us, when the Lord gives meaning to our life, our obscurities, our doubts; he sees the meaning, and this meaning that the Lord gives satisfies us. This gives us that “more” that everyone is looking for – namely, the presence of the Lord! For in the warmth of his presence, our lives change. Without him, everything would truly be grey. Adoring the Body and Blood of Christ, let us ask him with our heart: “Lord, give me that daily bread to go forward, Lord, satisfy me with your presence!”

그러나 먹는 것에 더해 우리는 배불리 즉 만족스러운 것을 잊을 수 없습니다. 군중은 풍성한 음식과 또한 예수님으로부터 그것을 받았다는 기쁨과 놀라움 때문에 만족스럽습니다. 우리는 확실히 우리 자신에게 영양을 공급할 필요가 있지만, 또한 만족할 필요가 있고 사랑에서 영양이 우리에게 주어진다는 것을 알 필요가 있습니다. 그리스도의 몸과 피 안에서 우리는 그분의 현존과 우리 각자에게 주어지는 그분의 생명을 발견합니다. 그분은 우리가 앞으로 나아가도록 도움을 주실 뿐만 아니라 우리에게 그분 자신을 주십니다. - 그분은 자신을 우리의 여행 동반자로 만드시고, 우리의 일에 들어오시고, 우리가 외로울 때 우리를 방문하시고, 우리에게 열정을 되돌려주십니다. 이것이 우리를 만족시킵니다. 주님이 우리의 삶, 우리의 모호함, 우리의 의심에 의미를 주실 때, 그분은 의미를 보시고 주님이 주시는 이 의미가 우리를 만족시킵니다. 이것이 우리에게 모든 사람들이 찾는 그 “more (더 많은 것)” - 이름 하여 주님의 현존을 줍니다. 그분 현존의 따뜻함 안에서 우리의 삶이 변하기 때문입니다. 그분 없이는 모든 것이 진정으로 회색일 것입니다. 그리스도의 성체 성혈을 흠숭하며 우리의 마음으로 그분께 청합시다. “주님, 제가 앞으로 나아가도록 일용할 양식을 주시고, 당신의 현존으로 제가 만족하게 하소서!”

May the Virgin Mary teach us how to adore Jesus, living in the Eucharist and to share him with our brothers and sisters.

동정 마리아여, 저희가 성체 안에 계시는 예수님을 경배하고 저희 형제자매들과 그분을 나누는 방법을 가르쳐주소서!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After praying the Angelus, the Holy Father continued:
Dear brothers and sisters! Yesterday, in Seville, some religious of the Dominican family were beatified: Ángel Marina Álvarez and nineteen companions; Juan Aguilar Donis and four companions, of the Order of Preachers; Isabel Sánchez Romero, an elderly nun of the Order of Saint Dominic; and Fructuoso Pérez Marquez, Dominican tertiary layperson. They were all killed in hatred of the faith in the religious persecution that took palce in Spain in the context of the civil war of the last century. Their witness of adhesion to Christ and forgiveness for their killers show us the way to holiness and encourage us to make their lives an offering of love to God and their brothers and sisters. Let us applaud the new Blesseds!

삼종기도 후에
사랑하는 형제자매 여러분! 어제 세비야에서 도미니카회 가족의 수도자들이 시복되었습니다. 앙헬 마리나 알바레즈와 19명의 동료; 설교단의 후안 아길라르 도니스(Juan Aguilar Donis)와 네 명의 동료; Isabel Sánchez Romero, 성 도미니코 수도회의 원로 수녀; 및 Fructuoso Pérez Marquez, 도미니카 3회 평신도. 그들은 모두 지난 세기의 내전의 상황에서 스페인에서 일어난 종교적 박해와 믿음에 대한 증오심에서 죽임을 당했습니다. 그리스도께 대한 그들의 증거와 살인자들의 용서는 우리에게 성화의 길을 보여주고 그들의 삶을 하느님과 그들의 형제자매들에게 사랑의 제물로 봉헌하도록 격려합니다. 새로운 복자들에게 박수를 보냅시다!

Again from Myanmar comes the cry of pain of so many people who lack basic humanitarian assistance and who are forced to leave their homes that have been burnt down and to flee violence. I join the appeal of the bishops of that beloved land, that the international community does not forget the Burmese people, that human dignity and the right to life be respected, as well as places of worship, hospitals and schools. And I bless the Burmese community in Italy, represented here today.

미얀마에서는 기본적인 인도적 지원이 부족하고 불타버린 집을 떠나 폭력을 피해 피난해야 하는 수많은 사람들의 고통의 외침이 다시 들립니다. 저는 그 사랑하는 나라의 주교들의 호소에 동참합니다. 주교들은 국제 사회가 버마인들을 잊지 말고, 인간의 존엄성과 생명권은 물론 예배 장소, 병원, 학교도 존중되어야 한다고 호소합니다. 저는 오늘 여기에 참석하고 있는 이탈리아의 버마공동체를 축복합니다.

Next Wednesday, 22 June, the Tenth World Meeting of Families will begin; it will take place in Rome and at the same time throughout the world. I thank the bishops, parish priests and family pastoral workers who have called families to moments of reflection, celebration and festivity. Above all, I thank the married couples and families who will bear witness to family love as a vocation and way to holiness. Have a good meeting!

다음 주 수요일인 6월 22일에 제10차 세계 가족 모임이 시작됩니다. 그것은 로마와 동시에 전 세계에서 일어날 것입니다. 가족들을 묵상, 축하, 축제의 시간으로 불러주신 주교, 본당 사제, 가정 사목 활동가들에게 감사드립니다. 무엇보다 성소와 성화의 길로서 가족사랑을 증거할 부부들과 가족들에게 감사드립니다. 좋은 모임 갖기를 빕니다!

And now I greet all of you, Romans and pilgrims from various countries, especially the students of the London Oratory School. I greet the participants in the first course on pastoral care for the welcoming and care of new life; the faithful of Gragnano and the “Pedale Sestese” cyclists’ association of Sesto San Giovanni. And let us not forget the suffering of the Ukrainian people in this moment, a people who are suffering. I would like you all to keep in mind a question: what am I doing today for the Ukrainian people? Do I pray? Am I doing something? Am I trying to understand? What am I doing today for the Ukrainian people? Each one of you, answer in your own heart.

이제 로마인과 여러 나라에서 온 순례자 여러분, 특히 London Oratory School 학생들에게 인사를 드립니다. 저는 새로운 삶을 환영하고 돌보기 위한 사목적 돌봄에 관한 첫 번째 과정의 참가자들을 환영합니다. Gragnano의 신자들과 Sesto San Giovanni의 "Pedale Sestese" 사이클리스트 협회. 그리고 지금 이 순간, 고통 받고 있는 우크라이나 국민들의 고통을 잊지 맙시다. 저는 여러분 모두가 다음 질문을 염두에 두시길 청합니다. 나는 오늘 우크라이나 사람들을 위해 무엇을 하고 있는가? 나는 기도하는가? 내가 뭔가를 하고 있는가? 내가 이해하려고 노력하는가? 나는 우크라이나 사람들을 위해 오늘 무엇을 하고 있는가? 여러분 각자는  마음으로 이 질문들에 답변하시길 바랍니다.

I wish you all a blessed Sunday. Please, do not forget to pray for me. Enjoy your meal, and arrivederci.

모두 행복한 일요일 보내시고 저를 위해 기도하는 것을 잊지 마시기 바랍니다. 점심 잘 드시고 또 뵙겠습니다.

한글 번역: 윤영학 아오스딩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