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성경묵상

영어성경묵상

교황님의 삼종기도 강론(2022.06.12)

최고관리자
2022.07.10 19:15 2,417 0

본문

POPE FRANCIS ANGELUS, Saint Peter's Square, Solemnity of the Holy Trinity, 12 June 2022

Dear brothers and sisters, buongiorno and blessed Sunday! Today is the Solemnity of the Holy Trinity, and in the Gospel of the celebration Jesus presents the other two divine Persons, the Father and the Holy Spirit. He says of the Spirit: “He will not speak on his own authority, but whatever he hears he will speak, and he will declare to you the things that are to come”. And then, regarding the Father, he says: “All that the Father has is mine” (Jn 16:14-15). We notice that the Holy Spirit speaks, but not of himself: he announces Jesus and reveals the Father. And we also notice that the Father, who possesses everything because he is the origin of all things, gives to the Son everything he possesses: he keeps nothing for himself and he gives himself fully to the Son. Or rather, the Holy Spirit speaks not of himself; he speaks about Jesus, he speaks about others. And the Father does not give himself, he gives the Son. It is open generosity, one open to the other.


프란치스코 교황 삼종 기도, 성 베드로 광장, 삼위일체대축일 2022년 6월 12일

친애하는 형제자매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복된 주일입니다. 오늘은 삼위일체 대축일이며, 이 축일의 복음에서 예수님은 다른 두 신성한 위격인 성부와 성령을 소개하십니다. 그분은 성령에 대해 이렇게 말씀하십니다. “그분께서는 스스로 이야기하지 않으시고 들으시는 것만 이야기하시며, 또 앞으로 올 일들을 너희에게 알려 주실 것이다.” 그런 다음 아버지에 대해, 이렇게 말씀하십니다. “아버지께서 가지고 계신 것은 모두 나의 것이다.” (요한 16, 14-15) 우리는 성령님이 말씀하시지만 자신의 것을 말씀하지 않으신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분은 예수님을 알리고 아버지를 드러내십니다. 그리고 우리는 또한 모든 것의 원천이시기 때문에 모든 것을 소유하고 계신 아버지께서 자신이 소유한 모든 것을 예수님께 주신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아버지는 자신을 위해 아무것도 지니지 않으시고 아들에게 자신을 온전히 주십니다. 또한 성령님은 자신에 대해 말씀하지 않으시고, 예수님에 대해 말씀하시고, 다른 사람들에 대해 말씀하십니다. 그리고 아버지는 자신을 주지 않으시고 아들을 주십니다. 그것은 열린 관대함으로 한분이 다른 분에게 열려있습니다.

And now let us look at ourselves, at what we talk about and what we possess. When we speak, we always want to say something good about ourselves, and often, we only speak about ourselves and what we do. How often! “I have done this and that…”, “I had this problem…”. We always speak like this. How different this is from the Holy Spirit, who speaks by announcing others, and the Father the Son! And, how jealous we are of what we possess. How hard it is for us to share what we possess with others, even those who lack the basic necessities! It is easy to talk about it, but difficult to practice it.

이제 우리 자신, 우리가 무엇에 대해 이야기하고 무엇을 소유하고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우리는 말할 때 항상 우리 자신에 대해 좋은 말을 하고 싶어 하고 종종 우리 자신과 우리가 하는 일에 대해서만 이야기합니다. 얼마나 자주 그럴까요? “나는 이것도 하고 저것도 했어요....”, “나는 이 문제가 있었어요....”, 우리는 항상 이렇게 얘기합니다. 이것은 성령님과 매우 다릅니다. 성령님은 다른 사람들, 그리고 성부와 성자를 알리심으로써 말씀하십니다. 우리는 소유에 대해 질투를 합니다. 우리의 소유를 다른 사람들, 기본적인 필수품도 갖지 않은 사람들과 나누는 것조차 매우 어렵습니다. 그것에 대해 말하는 것은 쉽지만 그것을 실천하는 것은 어렵습니다.

This is why celebrating the Most Holy Trinity is not so much a theological exercise, but a revolution in our way of life. God, in whom each Person lives for the other in a continual relationship, in continual rapport, not for himself, provokes us to live with others and for others. Open. Today we can ask ourselves if our life reflects the God we believe in: do I, who profess faith in God the Father and the Son and the Holy Spirit, truly believe that I need others in order to live, I need to give myself to others, I need to serve others? Do I affirm this in words or do I affirm it with my life?

이것이 지극히 거룩하신 삼위일체를 기념하는 것이 신학적인 실천이기보다는 우리 삶의 방식의 혁명인 이유입니다. 지속적인 관계 안에 그리고 지속적인 조화 속에서 각 위격이 자신을 위해 살지 않고 다른 위격을 위해 사는 삼위일체 하느님은 우리에게 다른 사람들과 함께 그리고 다른 사람들을 위해서 살라고 자극하십니다. 마음을 여십시오. 오늘 우리는 자문할 수 있습니다. 우리의 삶이 우리가 믿는 하느님을 반영합니까? 성부성자성령 하느님께 대한 신앙을 고백하는 나는 살기위해서 다른 사람들을 필요로 하고, 내 자신을 다른 사람들에게 주어야 하고, 다른 사람들에게 봉사해야 한다는 것을 진정으로 믿습니까? 나는 이것을 말로 확인합니까? 또는 나의 삶으로 확인합니까?

The One and Triune God, dear brothers and sisters, must be manifested in this way – with deeds rather than words. God, who is the author of life, is transmitted not so much through books as through witness of life. He who, as the evangelist John writes, “is love” (1 Jn 4:16), reveals himself through love. Think about the good, generous, gentle people we have met; recalling their way of thinking and acting, we can have a small reflection of God-Love. And what does it mean to love? Not only to wish them well and to be good to them, but first and foremost, at the root, to welcome others, to be open to others, to make room for others, to make space to others. This is what it means to love, at the root.

친애하는 형제자매 여러분, 한 분이시며 삼위이신 하느님은 이렇게 즉 말보다 행동으로 드러나셔야 합니다. 생명의 저자이신 하느님은 책을 통해서가 아니라 삶의 증거를 통해서 전해지십니다. 성경저자 요한이 “사랑이시”라고 쓴 (요한 1서 4,16) 그분은 사랑을 통해서 자신을 드러내십니다. 우리가 만났던 선하고, 관대하고, 온화한 사람들을 생각해보십시오. 그들의 생각하는 방식과 행동하는 방식을 회상하며, 우리는 하느님-사랑의 작은 반영을 볼 수 있습니다. 그러면 사랑하는 것은 무엇을 의미합니까? 그들이 잘되기를 바라고 그들에게 잘해주길 바랄 뿐만 아니라 무엇보다 우선 그리고 근본적으로 다른 사람들을 환영하고, 다른 사람들에게 마음을 열고, 다른 사람들을 위한 공간을 만들고, 다른 사람들에게 공간을 만드는 것입니다. 근본적으로 이것이 바로 사랑하는 의미입니다. 

To understand this better, let us think of the names of the divine Persons, which we pronounce every time we make the Sign of the Cross: each name contains the presence of the other. The Father, for example, would not be such without the Son; likewise, the Son cannot be considered alone, but always as the Son of the Father. And the Holy Spirit, in turn, is the Spirit of the Father and the Son. In short, the Trinity teaches us that one can never be without the other. We are not islands, we are in the world to live in God’s image: open, in need of others and in need of helping others. And so, let us ask ourselves this last question: in everyday life, am I too a reflection of the Trinity? Is the sign of the cross I make every day – the Father and the Son and the Holy Spirit – that Sign of the Cross we make every day, a gesture for its own sake, or does it inspire my way of speaking, of encountering, of responding, of judging, of forgiving?

이것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해 우리가 십자가 성호를 그을 때마다 부르는 신성한 위격의 이름을 생각해봅시다. 각 이름은 다른 위격의 존재를 포함합니다. 예를 들어 성부는 성자 없이 성부일 수 없습니다. 마찬가지로 성자는 홀로는 생각할 수 없고 항상 아버지의 아들 (Son of Father)입니다. 그리고 성령은 성부와 성자의 영입니다. 한 마디로 삼위일체는 우리에게 사람은 절대로 다른 사람 없이 존재할 수 없다는 것을 가르칩니다. 우리는 섬이 아니며 우리는, 열려있고, 다른 사람들을 필요로 하고, 다른 사람들을 도와야 하는, 하느님의 모상으로 살기 위해 세상에 있습니다. 그래서 우리 자신에게 이 마지막 질문을 합시다. 매일의 삶에서, 나도 삼위일체의 반영입니까? 매일 긋는 십자 성호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 우리가 매일 긋는 그 성호가 그 자체를 위한 표시인가요 아니면 그 성호가 나의 말하는 방식, 만남의 방식, 응답하는 방식, 판단하는 방식, 용서하는 방식에 영감을 줍니까?

May Our Lady, daughter of the Father, mother of the Son and spouse of the Spirit, help us to welcome and bear witness in life to the mystery of God-Love.

성부의 딸이시며 성자의 어머니이시며 성령의 배필이신 성모님, 저희를 도우셔서 하느님-사랑의 신비를 환영하고 삶으로 증거하게 하소서!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After the Angelus
Dear brothers and sisters! Sister Paschalis Jahn and nine sister martyrs of the Congregation of the Sisters of Saint Elizabeth, killed at the end of the Second World War in a context hostile to the Christian faith, were beatified yesterday in Breslavia, Poland. Although they were aware of the risks they were running, these three women religious remained alongside the elderly and sick people they were looking after. May their example of faith to Christ help us all, especially Christians who are persecuted in various parts of the world, to bear witness to the Gospel courageously. A round of applause for the new Blesseds!

삼종기도 후에
사랑하는 형제자매 여러분! 파스칼리스 얀 수녀와 제2차 세계대전 말 기독교 신앙에 적대적인 상황에서 사망한 성 엘리자베스 수녀회의 순교자 9명이 어제 폴란드 브레슬라비아에서 시복되었습니다. 위험에 처해 있음을 인식하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이 세 명의 여성 수도자들은 그들이 돌보는 노인들과 병자들과 함께 남아 있었습니다. 그들의 그리스도에 대한 믿음의 모범이 우리 모두, 특히 세계 각지에서 박해를 받는 그리스도인들이 용기 있게 복음을 증거하는 데 도움이 되게 하소서. 새로운 복자들에게 박수를 보냅시다!

And now I would like to address the people and authorities of the Democratic Republic of Congo and South Sudan. Dear friends, with great regret, due to problems with my leg, I have had to postpone my visit to your countries, planned for the first days of July. I truly feel great sorrow for having had to postpone this trip, which means so much to me. I apologize for this. Let us pray together that, with the help of God and medical attention, I will be able to be with you as soon as possible. Let us be hopeful!

이제 저는 콩고민주공화국과 남수단의 국민과 당국에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친애하는 친구 여러분, 제 다리 문제로 인해 7월 1일에 예정된 귀 국가 방문을 연기하게 되어 대단히 유감스럽게 생각합니다. 제게 큰 의미가 있는 이번 여행을 미루게 되어 정말 아쉽습니다. 이것에 대해 사과드립니다. 하느님의 도우심과 의학적 돌봄으로 가능한 한 빨리 제가 여러분과 함께 할 수 있도록 함께 기도합시다. 희망을 가집시다.

Today is the World Day against Child Labour. Let us all work to eliminate this scourge, so that no child is deprived of his or her fundamental rights and forced or coerced to work. The exploitation of children for work is a terrible situation that affects us all!

오늘은 세계 아동 노동 반대의 날입니다. 아동이 기본권을 박탈당하거나 강제로 노동을 하는 일이 없도록 우리 모두 이 재앙을 근절하기 위해 노력합시다. 일을 위해 아동을 착취하는 것은 우리 모두에게 영향을 미치는 끔찍한 상황입니다!

The thought of the people of Ukraine, afflicted by war, remains vivid in my heart. Let the passage of time not temper our grief and concern for that suffering population. Please, let us not grow accustomed to this tragic situation! Let us always keep it in our hearts. Let us pray and strive for peace.

전쟁으로 고통 받는 우크라이나 사람들의 생각이 가슴에 생생하게 남아 있습니다. 시간이 흘러도 그 고통 받는 사람들에 대한 우리의 슬픔과 염려가 누그러지지 않도록 하십시오. 제발 이 비극적인 상황에 익숙해지지 맙시다. 항상 마음에 새기도록 합시다. 평화를 위해 기도하고 노력합시다.

I greet you all, Romans and pilgrims from Italy and many countries. In particular, I greet the faithful from Spain and Poland, the Musical Band of San Giorgio di Castel Condino, which I look forward to hearing play at the end, the Verona Minor Hierusalem Foundation, catechists from Grottamare, candidates for Confirmation from Castelfranco Veneto, and the faithful of Mestrino. I also greet the AVIS group from Codogno and I express my appreciation to those who donate blood, a simple and noble gesture of solidarity.

이탈리아와 여러 나라에서 온 로마인들과 순례자 여러분께 인사드립니다. 특히, 스페인과 폴란드의 신자들, 오늘 마지막에 연주를 들을 수 있기를 기대하는 산 조르지오 디 카스텔 콘디노 음악단, 베로나 마이너 히에루살렘 재단, 그로타마레의 교리교사, 카스텔프랑코 베네토의 견진 후보자, 그리고 메스트리노의 신자들. 그리고 코도그노의 AVIS 그룹에도 인사를 드리고 헌혈을 해주시는 분들께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I greet you all, also the young people of Mary Immaculate. I wish you a blessed Sunday. And please, do not forget to pray for me. Enjoy your meal, and arrivederci.

원죄 없으신 마리아의 젊은이 여러분 모두에게 인사드립니다. 복된 주일 보내시고 저를 위해 기도하는 것을 잊지 마십시오. 점심 맛있게 드시고 또 뵙겠습니다.

한글번역: 윤영학 아오스딩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