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황님의 삼종기도 강론(2022.04.24)
최고관리자
2022.04.30 09:44
2,174
0
- - 짧은주소 : http://yscatholic.com/bbs/?t=1pP
본문
POPE FRANCIS ANGELUS, Saint Peter's Square, Second Sunday of Easter, liturgical feast of Divine Mercy, 24 April 2022
Dear brothers and sisters, Buongiorno! Today, the last day of the Octave of Easter, the Gospel recounts the first and second apparition of the Risen One to the disciples. Jesus comes at Passover, while the Apostles are shut in the Upper Room, out of fear, but since Thomas, one of the Twelve, is not present, Jesus returns eight days later (cf. Jn 20:19-29). Let’s focus on the two main characters, Thomas and Jesus, looking first at the disciple, and then at the Master. There is a good dialogue between these two.
프란치스코 교황 삼종 기도, 성 베드로 광장, 부활 2주일 하느님 자비주일 2022년 4월 24일
친애하는 형제자매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부활 8일 축제의 마지막 날인 오늘의 복음은 부활하신 분이 제자들에게 첫 번째 그리고 두 번째 발현하신 것을 자세히 설명합니다. 예수님은 파스카때 사도들이 다락방에 두려운 나머지 문을 잠그고 있을 때 오십니다. 그러나 열두제자 중의 하나인 토마스가 그자리에 없었기 때문에 예수님은 8일 후에 다시 오십니다. (요한 20,19-29 참조) 두 주요 인물인 토마스와 예수님에게 초점을 맞춰봅시다. 먼저 제자, 그리고 주님을 살펴보겠습니다. 둘 사이에 좋은 대화가 오갑니다.
The Apostle Thomas, first of all. He represents all of us, who were not present in the Upper Room when the Lord appeared, and did not have other physical signs or apparitions from him. We too struggle at times like that disciple: how can we believe that Jesus is risen, that he accompanies us and is the Lord of our life without having seen him, without having touched him? How can one believe in this? Why does the Lord not give us some clearer sign of his presence and love? Some sign that I can see better… Here, we too are like Thomas, with the same doubts, the same reasoning.
먼저 사도 토마스입니다. 그는 주님이 나타나셨을 때 다락방에 없었고, 그분으로부터 다른 물리적 표징이나 발현을 보지 못한 우리 모두를 대표합니다. 우리도 때때로 그 제자처럼 어려움을 겪습니다. 그분을 보지도 않고 그분을 만지지도 않고 그분이 부활하시고 우리를 동행하시고 우리 삶의 주님이시라고 어떻게 믿습니까? 이것을 어떻게 믿습니까? 주님께서는 왜 우리에게 그분의 현존과 사랑에 대한 좀 더 명백한 표시를 주지 않으시나요? 우리가 더 잘 볼 수 있는 어떤 표시를..... 여기에 우리도 똑같은 의심과 똑같은 이유를 가진 토마스와 같습니다.
But we do not need to be ashamed of this. By telling us the story of Thomas, in fact, the Gospel tells us that the Lord is not looking for perfect Christians. The Lord is not looking for perfect Christians. I tell you: I am afraid when I see a Christian, some associations of Christians who believe themselves to be perfect. The Lord is not looking for perfect Christians; the Lord is not looking for Christians who never doubt and always flaunt a steadfast faith. When a Christian is like that, something isn’t right. No, the adventure of faith, as for Thomas, consists of lights and shadows. Otherwise, what kind of faith would that be? It knows times of comfort, zeal and enthusiasm, but also of weariness, confusion, doubt and darkness.
그러나 우리는 이것을 부끄러워할 필요가 없습니다. 사실 토마스의 이야기를 들려줌으로써 복음은 주님이 완전한 크리스천을 찾고 계시지 않다는 것을 우리에게 알려줍니다. 저는 여러분에게 말씀드리지만 자신이 완전하다고 믿는 크리스천이나 크리스천 단체를 볼 때 두렵습니다. 주님은 완전한 크리스천을 찾고 계시지 않습니다. 주님은 결코 의심하지 않고 항상 확고한 믿음을 과시하는 크리스천을 찾고 계시지 않습니다. 크리스천이 그러할 때는 무언가 잘못된 것입니다. 신앙의 모험은 토마스의 경우처럼 빛과 그림자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그렇지 않다면 그것은 어떤 종류의 신앙이겠습니까? 그것은 위안, 열정과 열의의 시간을 알지만 또한 피곤, 혼란, 의심과 어둠의 시간을 알고 있습니다.
The Gospel shows us Thomas’ “crisis” to tell us that we should not fear the crises of life and faith. Crises are not sins, they are part of the journey, we should not fear them. Many times, they make us humble because they strip us of the idea that we are fine, that we are better than others. Crises help us to recognize that we are needy: they rekindle the need for God and thus enable us to return to the Lord, to touch his wounds, to experience his love anew as if it were the first time. Dear brothers and sisters, is better to have an imperfect but humble faith that always returns to Jesus, than a strong but presumptuous faith that makes us proud and arrogant. Woe to those, woe to them!
복음은 우리에게 삶과 믿음의 위기를 두려워하지 말라고 얘기하기 위해서 토마스의 ‘위기’를 보여줍니다. 위기는 죄가 아니며 여정의 일부이며 우리는 그것을 두려워해서는 안 됩니다. 많은 경우, 위기가 우리는 잘하고 있고 다른 사람들보다 낫다는 생각을 없애주기 때문에 우리를 겸손하게 합니다. 위기는 우리가 궁핍하다는 것을 인식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위기는 하느님의 필요성을 다시 불부치고 그래서 우리가 주님에게 돌아가고, 그분의 상처를 만지고, 마치 처음인 것처럼 그분의 사랑을 새로 경험하게 합니다. 친애하는 형제자매 여러분 우리를 교만하고 오만하게 만드는 강하지만 주제넘은 믿음보다 불완전하지만 항상 예수님께로 돌아가는 겸손한 믿음이 더 좋습니다. 오만한 크리스천들에게 화가 있을 것입니다.
And, faced with Thomas’ absence and his journey, which is often also our own, what does Jesus do? The Gospel says twice that he “came” (vv. 19, 26). First once, then a second time, eight days later. Jesus does not give up, he does not get tired of us, he is not afraid of our crises, our weaknesses. He always comes back: when the doors are closed, he comes back; when we are doubt, he comes back; when, like Thomas, we need to encounter him and to touch him up close, he comes back. Jesus always comes back, he always knocks on the door, and he does not come back with powerful signs that would make us feel small and inadequate, even ashamed, but with his wounds; he comes back showing us his wounds, signs of his love that has espoused our frailties.
그리고 토마스의 부재와 종종 우리의 여정이기도 한 토마스의 여정을 접하신 예수님은 무엇을 하십니까? 복음은 그분이 “오셨다.”고 두 번 얘기합니다. (19, 26절) 처음 한 번, 그리고 8일 후의 두 번째입니다. 예수님은 포기하지 않으십니다. 그분은 우리를 지겨워하지 않으십니다. 그분은 우리의 위기, 우리의 약함을 두려워하지 않으십니다. 그분은 항상 돌아오십니다. 문이 닫혀 있을 때 그분은 돌아오십니다. 우리가 의심할 때 그분은 돌아오십니다. 토마스처럼 우리가 그분을 만나고 그분을 가까이 만지고 싶어 할 때 그분은 돌아오십니다. 예수님은 항상 돌아오십니다. 그분은 항상 문을 두드리십니다. 그분은 우리가 작고 부적절하고 부끄럽게 까지 느끼게 할 수 있는 강한 표징을 드러내며 오시지 않고 그분의 상처를 가지고 오십니다. 그분은 우리에게 그분의 상처를 보이시며, 우리의 연약함을 지지한 그분의 사랑의 표징을 가지고 돌아오십니다.
Brothers and sisters, especially when we experience moments of weariness and crisis, the Risen Jesus wishes to return to stay with us. He only waits for us to seek him, to call on him, or even, like Thomas, to protest, bringing him our needs and our unbelief. He always comes back. Why? Because he is patient and merciful. He comes to open the upper rooms of our fears and unbelief because he always wants to give us another chance. Jesus is the Lord of “other chances”: he always gives us another one, always. So let us think about the last time – let’s try to remember a little – that, during a difficult moment or a period of crisis, we closed in on ourselves, barricading ourselves in our problems and shutting Jesus out of the house. And let us promise ourselves, the next time, in our fatigue, to seek Jesus, to return to him, to his forgiveness – he always forgives, always! – to return to those wounds that have healed us. In this way, we will also become capable of compassion, of approaching the wounds of others without inflexibility and without prejudice.
형제자매 여러분, 특히 우리가 피로와 위기의 순간을 경험할 때 부활하신 예수님은 우리와 함께 계시기 위해 다시 오시기를 원하십니다. 그분은 단지 우리가 그분을 찾거나 부르거나 심지어 토마스처럼 그분께 우리의 필요와 우리의 불신을 가져가며 항의하기를 기다리십니다. 그분은 항상 돌아오십니다. 왜 그러실까요? 그분은 참을성이 있고 자비로우시기 때문입니다. 그분은 항상 우리에게 또 다른 기회를 주길 원하시기 때문에 우리의 두려움과 불신의 다락방을 열고 오십니다. 예수님은 “다른 기회”의 주님이십니다. 그분은 항상 우리에게 다른 기회를 주십니다. 항상. 그래서 지난번에 대해 생각해봅시다. 어려운 순간 또는 위기의 기간 중의 그것을 조금 기억해봅시다. 우리는 장벽을 치고 우리의 문제들 속으로 묻히고 예수님을 집 밖으로 내쫓고 우리를 자신 속으로 가두었습니다. 우리 자신에게 약속합시다. 다음에, 우리가 피곤할 때 예수님을 찾고, 그분에게 그리고 그분의 용서에 - 그분은 항상 용서하십니다. - 우리를 치유한 그분의 상처로 돌아갈 것을 약속합시다. 이렇게 함으로써 우리도 연민의 능력을, 유연하게 편견 없이 다른 사람들의 상처에 접근하는 능력을 갖게 될 것입니다.
May Our Lady, Mother of Mercy – I like to think of her as the Mother of Mercy on the Monday after Mercy Sunday – accompany us on the journey of faith and love.
자비의 어머니이신 성모님, - 저는 성모님을 자비의 주일 후 월요일에 자비의 어머니로 생각하고 싶습니다. - 믿음과 사랑의 여정에 저희를 동행하여 주소서!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After the Regina Caeli
Dear brothers and sisters, Today various Eastern Churches, Catholic and Orthodox, and several Latin communities, celebrate Easter according to the Julian calendar. We celebrated it last Sunday, following the Gregorian calendar. I offer them my warmest wishes: Christ is risen, he is truly risen! May he fill with hope the good expectations of hearts. May he grant peace, outraged by the barbarity of war. Today marks two months since the beginning of this war: instead of stopping, the war has worsened. It is sad that in these days, which are the holiest and most solemn for all Christians, the deadly roar of weapons is heard rather than the sound of bells announcing the Resurrection; and it is sad that weapons are increasingly taking the place of words.
삼종기도 후에
친애하는 형제자매 여러분, 오늘 다양한 동방교회, 가톨릭과 정교회, 그리고 몇몇 라틴 공동체들은 율리우스력에 따라 부활절을 지냅니다. 우리는 그레고리력에 따라 지난 주일에 부활절을 지냈습니다. 저는 그분들에게 따뜻한 인사를 전합니다. 그리스도께서 부활하셨습니다, 그분은 진정으로 부활하셨습니다. 그리스도께서 모든 사람들의 선한 기대를 희망으로 채워주시길 빕니다. 전쟁의 야만성에 격노하신 그분이 평화를 주시길 빕니다. 오늘이 이 전쟁이 시작 된지 두 달이 되는 날입니다. 전쟁이 멈추진 않고 오히려 악화되었습니다. 모든 크리스천들에게 가장 거룩하고 장엄한 이 시기에 부활을 알리는 종소리 보다 치명적인 무기의 포효 소리를 듣는 것은 슬픈 일입니다. 그리고 점점 더 무기가 대화의 자리를 차지하는 것은 슬픈 일입니다.
I renew my appeal for an Easter truce, a minimal and tangible sign of a desire for peace. The attack must be stopped, to respond to the suffering of the exhausted population; it must stop, in obedience to the words of the Risen Lord, who on Easter Day repeats to his disciples: “Peace be with you!” (Lk 24:36; Jn 20:19.21). I ask everyone to increase prayer for peace and to have the courage to say, to show that peace is possible. Political leaders, please, listen to the voice of the people, who want peace, not an escalation of the conflict.
저는 평화에 대한 열망의 최소한의 가시적 신호인 부활절 휴전에 대한 호소를 새롭게 합니다. 기진한 백성의 고통에 응답하기 위해 공격을 중단해야 합니다. 부활절에 제자들에게 “평화가 너희와 함께!” (루카 24,36, 요한 20, 19, 21) 라고 거듭 말씀하신 부활하신 주님의 말씀에 순종하여 공격을 중단해야 합니다. 저는 모든 사람들에게 평화를 위한 기도를 늘리고 평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말하고 보여주는 용기를 갖기를 청합니다. 정치 지도자들, 제발 평화를 원하고 갈등의 조장을 원치 않는 국민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십시오.
In this regard, I greet and thank the participants in the special Perugia-Assisi march for peace and fraternity, taking place today, as well as those who have joined in with similar events in other cities throughout Italy.
이와 관련하여 저는 오늘 열리는 평화와 형제애를 위한 페루자-아시시 특별 행진에 참가한 참가자들과 이탈리아 전역의 다른 도시에서 유사한 행사에 동참한 참가자들에게 인사와 감사를 드립니다.
Today the bishops of Cameroon are making a national pilgrimage, with their faithful, to the Marian shrine of Marianberg, to reconsecrate the country to the Mother of God and to place it under her protection. I pray in particular for the return of peace to their country, which has been ravaged by violence in various regions for more than five years. Let us too raise our prayer, along with our brothers and sisters of Cameroon, that God may soon, by the intercession of the Virgin Mary, grant true and lasting peace to this beloved country.
오늘 카메룬의 주교들은 나라를 하느님의 어머니께 재봉헌하고 나라를 그분의 보호 하에 두기 위해서 신자들과 함께 전국적인 순례를 하고 있습니다. 저는 특별히 5년 넘게 여러 지역에서 폭력으로 황폐해진 그들의 조국에 평화가 다시 오기를 기도합니다. 우리도 카메룬의 형제자매들과 함께 하느님께서 곧 동정 마리아의 전구를 통해 이 사랑하는 나라에 참되고 지속적인 평화를 주시기를 기도합시다.
I greet all of you, Romans and pilgrims from Italy and from many other countries. In particular, I greet the Polish, with a thought for their compatriots who are celebrating the “Day of Good” promoted by Caritas, and also for the victims of accidents in mines. I greet the faithful of Milan, Faenza, Verolanuova, Nembro and the volunteers of the Order of Malta from Vicenza. A special greeting goes to the pilgrimage of young Confirmation candidates from the diocese of Piacenza-Bobbio, accompanied by their bishop, as well as the Confirmation candidates from Mondovì, Almenno San Salvatore, Albegno, Cazzago San Martino and Alta Padovana, and also to the group from Sant’Angelo Lodigiano and the altar boys from Spirano. I greet the devotees of Divine Mercy gathered here today in the church-sanctuary of Santo Spirito in Sassia; and the participants in the journey from the Sacra di San Michele to Monte Sant’Angelo.
저는 이탈리아와 여러 나라에서 온 로마인과 순례자 여러분께 인사드립니다. 특히 폴란드인들에게, 카리타스가 추진하는 '선한 날'을 기념하는 폴란드 동포들과 또한 광산 사고 희생자들을 위한 마음으로, 인사드립니다. 저는 밀라노의 신자들, 파엔차, 베로라누오바, 넴브로, 그리고 비첸차에서 온 몰타 수도회의 자원봉사자들을 환영합니다. 그들의 주교가 동반한 피아첸차 바비오 교구의 젊은 견진성사 후보자들과 몬도비, 알메노 산 살바토레, 알베뇨, 카자고 산 마르티노, 알타 파도바나의 견진성사 후보자들의 순례에 특별한 인사를 드립니다. Sant'Angelo Lodigiano의 그룹과 Spirano의 복사 소년들에게 인사드립니다. 저는 오늘 사시아에 있는 산토 스피리토 교회 성역에 모인 하느님 자비의 봉헌자들, 그리고 Sacra di San Michele에서 Monte Sant'Angelo까지의 여정의 참가자들에게 인사드립니다.
I wish you all a blessed Sunday! And please do not forget to pray for me. Enjoy your lunch, and arrivederci.
모두 행복한 주일 보내시고, 저를 위한 기도 잊지 마시기 바랍니다. 점심 맛있게 드시고 또 뵙겠습니다.
한글 번역: 윤영학 아오스딩
Dear brothers and sisters, Buongiorno! Today, the last day of the Octave of Easter, the Gospel recounts the first and second apparition of the Risen One to the disciples. Jesus comes at Passover, while the Apostles are shut in the Upper Room, out of fear, but since Thomas, one of the Twelve, is not present, Jesus returns eight days later (cf. Jn 20:19-29). Let’s focus on the two main characters, Thomas and Jesus, looking first at the disciple, and then at the Master. There is a good dialogue between these two.
프란치스코 교황 삼종 기도, 성 베드로 광장, 부활 2주일 하느님 자비주일 2022년 4월 24일
친애하는 형제자매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부활 8일 축제의 마지막 날인 오늘의 복음은 부활하신 분이 제자들에게 첫 번째 그리고 두 번째 발현하신 것을 자세히 설명합니다. 예수님은 파스카때 사도들이 다락방에 두려운 나머지 문을 잠그고 있을 때 오십니다. 그러나 열두제자 중의 하나인 토마스가 그자리에 없었기 때문에 예수님은 8일 후에 다시 오십니다. (요한 20,19-29 참조) 두 주요 인물인 토마스와 예수님에게 초점을 맞춰봅시다. 먼저 제자, 그리고 주님을 살펴보겠습니다. 둘 사이에 좋은 대화가 오갑니다.
The Apostle Thomas, first of all. He represents all of us, who were not present in the Upper Room when the Lord appeared, and did not have other physical signs or apparitions from him. We too struggle at times like that disciple: how can we believe that Jesus is risen, that he accompanies us and is the Lord of our life without having seen him, without having touched him? How can one believe in this? Why does the Lord not give us some clearer sign of his presence and love? Some sign that I can see better… Here, we too are like Thomas, with the same doubts, the same reasoning.
먼저 사도 토마스입니다. 그는 주님이 나타나셨을 때 다락방에 없었고, 그분으로부터 다른 물리적 표징이나 발현을 보지 못한 우리 모두를 대표합니다. 우리도 때때로 그 제자처럼 어려움을 겪습니다. 그분을 보지도 않고 그분을 만지지도 않고 그분이 부활하시고 우리를 동행하시고 우리 삶의 주님이시라고 어떻게 믿습니까? 이것을 어떻게 믿습니까? 주님께서는 왜 우리에게 그분의 현존과 사랑에 대한 좀 더 명백한 표시를 주지 않으시나요? 우리가 더 잘 볼 수 있는 어떤 표시를..... 여기에 우리도 똑같은 의심과 똑같은 이유를 가진 토마스와 같습니다.
But we do not need to be ashamed of this. By telling us the story of Thomas, in fact, the Gospel tells us that the Lord is not looking for perfect Christians. The Lord is not looking for perfect Christians. I tell you: I am afraid when I see a Christian, some associations of Christians who believe themselves to be perfect. The Lord is not looking for perfect Christians; the Lord is not looking for Christians who never doubt and always flaunt a steadfast faith. When a Christian is like that, something isn’t right. No, the adventure of faith, as for Thomas, consists of lights and shadows. Otherwise, what kind of faith would that be? It knows times of comfort, zeal and enthusiasm, but also of weariness, confusion, doubt and darkness.
그러나 우리는 이것을 부끄러워할 필요가 없습니다. 사실 토마스의 이야기를 들려줌으로써 복음은 주님이 완전한 크리스천을 찾고 계시지 않다는 것을 우리에게 알려줍니다. 저는 여러분에게 말씀드리지만 자신이 완전하다고 믿는 크리스천이나 크리스천 단체를 볼 때 두렵습니다. 주님은 완전한 크리스천을 찾고 계시지 않습니다. 주님은 결코 의심하지 않고 항상 확고한 믿음을 과시하는 크리스천을 찾고 계시지 않습니다. 크리스천이 그러할 때는 무언가 잘못된 것입니다. 신앙의 모험은 토마스의 경우처럼 빛과 그림자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그렇지 않다면 그것은 어떤 종류의 신앙이겠습니까? 그것은 위안, 열정과 열의의 시간을 알지만 또한 피곤, 혼란, 의심과 어둠의 시간을 알고 있습니다.
The Gospel shows us Thomas’ “crisis” to tell us that we should not fear the crises of life and faith. Crises are not sins, they are part of the journey, we should not fear them. Many times, they make us humble because they strip us of the idea that we are fine, that we are better than others. Crises help us to recognize that we are needy: they rekindle the need for God and thus enable us to return to the Lord, to touch his wounds, to experience his love anew as if it were the first time. Dear brothers and sisters, is better to have an imperfect but humble faith that always returns to Jesus, than a strong but presumptuous faith that makes us proud and arrogant. Woe to those, woe to them!
복음은 우리에게 삶과 믿음의 위기를 두려워하지 말라고 얘기하기 위해서 토마스의 ‘위기’를 보여줍니다. 위기는 죄가 아니며 여정의 일부이며 우리는 그것을 두려워해서는 안 됩니다. 많은 경우, 위기가 우리는 잘하고 있고 다른 사람들보다 낫다는 생각을 없애주기 때문에 우리를 겸손하게 합니다. 위기는 우리가 궁핍하다는 것을 인식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위기는 하느님의 필요성을 다시 불부치고 그래서 우리가 주님에게 돌아가고, 그분의 상처를 만지고, 마치 처음인 것처럼 그분의 사랑을 새로 경험하게 합니다. 친애하는 형제자매 여러분 우리를 교만하고 오만하게 만드는 강하지만 주제넘은 믿음보다 불완전하지만 항상 예수님께로 돌아가는 겸손한 믿음이 더 좋습니다. 오만한 크리스천들에게 화가 있을 것입니다.
And, faced with Thomas’ absence and his journey, which is often also our own, what does Jesus do? The Gospel says twice that he “came” (vv. 19, 26). First once, then a second time, eight days later. Jesus does not give up, he does not get tired of us, he is not afraid of our crises, our weaknesses. He always comes back: when the doors are closed, he comes back; when we are doubt, he comes back; when, like Thomas, we need to encounter him and to touch him up close, he comes back. Jesus always comes back, he always knocks on the door, and he does not come back with powerful signs that would make us feel small and inadequate, even ashamed, but with his wounds; he comes back showing us his wounds, signs of his love that has espoused our frailties.
그리고 토마스의 부재와 종종 우리의 여정이기도 한 토마스의 여정을 접하신 예수님은 무엇을 하십니까? 복음은 그분이 “오셨다.”고 두 번 얘기합니다. (19, 26절) 처음 한 번, 그리고 8일 후의 두 번째입니다. 예수님은 포기하지 않으십니다. 그분은 우리를 지겨워하지 않으십니다. 그분은 우리의 위기, 우리의 약함을 두려워하지 않으십니다. 그분은 항상 돌아오십니다. 문이 닫혀 있을 때 그분은 돌아오십니다. 우리가 의심할 때 그분은 돌아오십니다. 토마스처럼 우리가 그분을 만나고 그분을 가까이 만지고 싶어 할 때 그분은 돌아오십니다. 예수님은 항상 돌아오십니다. 그분은 항상 문을 두드리십니다. 그분은 우리가 작고 부적절하고 부끄럽게 까지 느끼게 할 수 있는 강한 표징을 드러내며 오시지 않고 그분의 상처를 가지고 오십니다. 그분은 우리에게 그분의 상처를 보이시며, 우리의 연약함을 지지한 그분의 사랑의 표징을 가지고 돌아오십니다.
Brothers and sisters, especially when we experience moments of weariness and crisis, the Risen Jesus wishes to return to stay with us. He only waits for us to seek him, to call on him, or even, like Thomas, to protest, bringing him our needs and our unbelief. He always comes back. Why? Because he is patient and merciful. He comes to open the upper rooms of our fears and unbelief because he always wants to give us another chance. Jesus is the Lord of “other chances”: he always gives us another one, always. So let us think about the last time – let’s try to remember a little – that, during a difficult moment or a period of crisis, we closed in on ourselves, barricading ourselves in our problems and shutting Jesus out of the house. And let us promise ourselves, the next time, in our fatigue, to seek Jesus, to return to him, to his forgiveness – he always forgives, always! – to return to those wounds that have healed us. In this way, we will also become capable of compassion, of approaching the wounds of others without inflexibility and without prejudice.
형제자매 여러분, 특히 우리가 피로와 위기의 순간을 경험할 때 부활하신 예수님은 우리와 함께 계시기 위해 다시 오시기를 원하십니다. 그분은 단지 우리가 그분을 찾거나 부르거나 심지어 토마스처럼 그분께 우리의 필요와 우리의 불신을 가져가며 항의하기를 기다리십니다. 그분은 항상 돌아오십니다. 왜 그러실까요? 그분은 참을성이 있고 자비로우시기 때문입니다. 그분은 항상 우리에게 또 다른 기회를 주길 원하시기 때문에 우리의 두려움과 불신의 다락방을 열고 오십니다. 예수님은 “다른 기회”의 주님이십니다. 그분은 항상 우리에게 다른 기회를 주십니다. 항상. 그래서 지난번에 대해 생각해봅시다. 어려운 순간 또는 위기의 기간 중의 그것을 조금 기억해봅시다. 우리는 장벽을 치고 우리의 문제들 속으로 묻히고 예수님을 집 밖으로 내쫓고 우리를 자신 속으로 가두었습니다. 우리 자신에게 약속합시다. 다음에, 우리가 피곤할 때 예수님을 찾고, 그분에게 그리고 그분의 용서에 - 그분은 항상 용서하십니다. - 우리를 치유한 그분의 상처로 돌아갈 것을 약속합시다. 이렇게 함으로써 우리도 연민의 능력을, 유연하게 편견 없이 다른 사람들의 상처에 접근하는 능력을 갖게 될 것입니다.
May Our Lady, Mother of Mercy – I like to think of her as the Mother of Mercy on the Monday after Mercy Sunday – accompany us on the journey of faith and love.
자비의 어머니이신 성모님, - 저는 성모님을 자비의 주일 후 월요일에 자비의 어머니로 생각하고 싶습니다. - 믿음과 사랑의 여정에 저희를 동행하여 주소서!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After the Regina Caeli
Dear brothers and sisters, Today various Eastern Churches, Catholic and Orthodox, and several Latin communities, celebrate Easter according to the Julian calendar. We celebrated it last Sunday, following the Gregorian calendar. I offer them my warmest wishes: Christ is risen, he is truly risen! May he fill with hope the good expectations of hearts. May he grant peace, outraged by the barbarity of war. Today marks two months since the beginning of this war: instead of stopping, the war has worsened. It is sad that in these days, which are the holiest and most solemn for all Christians, the deadly roar of weapons is heard rather than the sound of bells announcing the Resurrection; and it is sad that weapons are increasingly taking the place of words.
삼종기도 후에
친애하는 형제자매 여러분, 오늘 다양한 동방교회, 가톨릭과 정교회, 그리고 몇몇 라틴 공동체들은 율리우스력에 따라 부활절을 지냅니다. 우리는 그레고리력에 따라 지난 주일에 부활절을 지냈습니다. 저는 그분들에게 따뜻한 인사를 전합니다. 그리스도께서 부활하셨습니다, 그분은 진정으로 부활하셨습니다. 그리스도께서 모든 사람들의 선한 기대를 희망으로 채워주시길 빕니다. 전쟁의 야만성에 격노하신 그분이 평화를 주시길 빕니다. 오늘이 이 전쟁이 시작 된지 두 달이 되는 날입니다. 전쟁이 멈추진 않고 오히려 악화되었습니다. 모든 크리스천들에게 가장 거룩하고 장엄한 이 시기에 부활을 알리는 종소리 보다 치명적인 무기의 포효 소리를 듣는 것은 슬픈 일입니다. 그리고 점점 더 무기가 대화의 자리를 차지하는 것은 슬픈 일입니다.
I renew my appeal for an Easter truce, a minimal and tangible sign of a desire for peace. The attack must be stopped, to respond to the suffering of the exhausted population; it must stop, in obedience to the words of the Risen Lord, who on Easter Day repeats to his disciples: “Peace be with you!” (Lk 24:36; Jn 20:19.21). I ask everyone to increase prayer for peace and to have the courage to say, to show that peace is possible. Political leaders, please, listen to the voice of the people, who want peace, not an escalation of the conflict.
저는 평화에 대한 열망의 최소한의 가시적 신호인 부활절 휴전에 대한 호소를 새롭게 합니다. 기진한 백성의 고통에 응답하기 위해 공격을 중단해야 합니다. 부활절에 제자들에게 “평화가 너희와 함께!” (루카 24,36, 요한 20, 19, 21) 라고 거듭 말씀하신 부활하신 주님의 말씀에 순종하여 공격을 중단해야 합니다. 저는 모든 사람들에게 평화를 위한 기도를 늘리고 평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말하고 보여주는 용기를 갖기를 청합니다. 정치 지도자들, 제발 평화를 원하고 갈등의 조장을 원치 않는 국민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십시오.
In this regard, I greet and thank the participants in the special Perugia-Assisi march for peace and fraternity, taking place today, as well as those who have joined in with similar events in other cities throughout Italy.
이와 관련하여 저는 오늘 열리는 평화와 형제애를 위한 페루자-아시시 특별 행진에 참가한 참가자들과 이탈리아 전역의 다른 도시에서 유사한 행사에 동참한 참가자들에게 인사와 감사를 드립니다.
Today the bishops of Cameroon are making a national pilgrimage, with their faithful, to the Marian shrine of Marianberg, to reconsecrate the country to the Mother of God and to place it under her protection. I pray in particular for the return of peace to their country, which has been ravaged by violence in various regions for more than five years. Let us too raise our prayer, along with our brothers and sisters of Cameroon, that God may soon, by the intercession of the Virgin Mary, grant true and lasting peace to this beloved country.
오늘 카메룬의 주교들은 나라를 하느님의 어머니께 재봉헌하고 나라를 그분의 보호 하에 두기 위해서 신자들과 함께 전국적인 순례를 하고 있습니다. 저는 특별히 5년 넘게 여러 지역에서 폭력으로 황폐해진 그들의 조국에 평화가 다시 오기를 기도합니다. 우리도 카메룬의 형제자매들과 함께 하느님께서 곧 동정 마리아의 전구를 통해 이 사랑하는 나라에 참되고 지속적인 평화를 주시기를 기도합시다.
I greet all of you, Romans and pilgrims from Italy and from many other countries. In particular, I greet the Polish, with a thought for their compatriots who are celebrating the “Day of Good” promoted by Caritas, and also for the victims of accidents in mines. I greet the faithful of Milan, Faenza, Verolanuova, Nembro and the volunteers of the Order of Malta from Vicenza. A special greeting goes to the pilgrimage of young Confirmation candidates from the diocese of Piacenza-Bobbio, accompanied by their bishop, as well as the Confirmation candidates from Mondovì, Almenno San Salvatore, Albegno, Cazzago San Martino and Alta Padovana, and also to the group from Sant’Angelo Lodigiano and the altar boys from Spirano. I greet the devotees of Divine Mercy gathered here today in the church-sanctuary of Santo Spirito in Sassia; and the participants in the journey from the Sacra di San Michele to Monte Sant’Angelo.
저는 이탈리아와 여러 나라에서 온 로마인과 순례자 여러분께 인사드립니다. 특히 폴란드인들에게, 카리타스가 추진하는 '선한 날'을 기념하는 폴란드 동포들과 또한 광산 사고 희생자들을 위한 마음으로, 인사드립니다. 저는 밀라노의 신자들, 파엔차, 베로라누오바, 넴브로, 그리고 비첸차에서 온 몰타 수도회의 자원봉사자들을 환영합니다. 그들의 주교가 동반한 피아첸차 바비오 교구의 젊은 견진성사 후보자들과 몬도비, 알메노 산 살바토레, 알베뇨, 카자고 산 마르티노, 알타 파도바나의 견진성사 후보자들의 순례에 특별한 인사를 드립니다. Sant'Angelo Lodigiano의 그룹과 Spirano의 복사 소년들에게 인사드립니다. 저는 오늘 사시아에 있는 산토 스피리토 교회 성역에 모인 하느님 자비의 봉헌자들, 그리고 Sacra di San Michele에서 Monte Sant'Angelo까지의 여정의 참가자들에게 인사드립니다.
I wish you all a blessed Sunday! And please do not forget to pray for me. Enjoy your lunch, and arrivederci.
모두 행복한 주일 보내시고, 저를 위한 기도 잊지 마시기 바랍니다. 점심 맛있게 드시고 또 뵙겠습니다.
한글 번역: 윤영학 아오스딩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