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황님의 삼종기도 강론(2022.02.13)
최고관리자
2022.02.19 17:21
1,909
0
- - 짧은주소 : http://yscatholic.com/bbs/?t=1pn
본문
Holy Father's Address Before the Angelus [Saint Peter's Square] Sixth Sunday of Ordinary Time (13 February 2022)
Dear brothers and sisters, buongiorno! At the centre of the Gospel of today’s Liturgy are the Beatitudes (cf. Lk 6:20-23). It is interesting to note that Jesus, despite being surrounded by a great crowd, proclaims them by addressing them to “his disciples” (v. 20). He speaks to the disciples. Indeed, the Beatitudes define the identity of the disciple of Jesus. They may sound strange, almost incomprehensible to those who are not disciples; whereas, if we ask ourselves what a disciple of Jesus is like, the answer is precisely the Beatitudes. “Blessed are you poor, for yours is the Kingdom of God” (v. 20). Blessed are you poor. Jesus says two things to his people: that they are blessed and they are poor; indeed, that they are blessed because they are poor.
교황님의 삼종기도 전 말씀 [성 베드로 광장] 연중 제 6주일 (2022년 2월 13일)
친애하는 형제자매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오늘 전례 복음의 중심에는 참 행복이 있습니다. (루카 6,20-23 참조) 예수님께서 큰 무리에 둘러싸여 계시면서도 참 행복을 “그분의 제자들”(20절)에게 말씀하심으로써 선포하시는 것이 흥미롭습니다. 제자들에게 말씀하십니다. 진정, 참 행복은 예수님 제자의 정체성을 정의합니다. 제자가 아닌 사람들에게 참 행복은 이상하고 거의 이해할 수 없는 것으로 들릴 수 있습니다. 반면에 우리가 예수님의 제자는 어떠해야 하는가? 자문한다면 그 답은 바로 참 행복입니다. “행복하여라, 가난한 사람들! 하느님의 나라가 너희 것이다.” (20절) 가난한 당신은 행복합니다. 예수님은 자신의 백성에게 두 가지를 말씀하십니다. 그들은 행복하고 그들은 가난합니다. 진정 가난하기 때문에 그들이 행복합니다.
In what sense? In the sense that disciples of Jesus do not find their joy in money, power, or other material goods; but in the gifts they receive every day from God: life, creation, brothers and sisters, and so on. These are gifts of life. They are content to share even the goods they possess, because they live according to the logic of God. And what is the logic of God? Gratuitousness. The disciple has learned to live in gratuitousness. This poverty is also an attitude towards the meaning of life, because Jesus’ disciples do not think about possessing it, about already knowing everything, but rather they know they must learn every day. And this is poverty: the awareness of having to learn every day. The disciple of Jesus, since he or she has this attitude, is a humble, open person, far from prejudice and inflexibility.
어떤 의미에서 그렇습니까? 예수님의 제자들은 돈, 권력, 또는 물질적인 재물에서 기쁨을 얻지 못하고 매일 하느님으로부터 받는 선물들 즉 생명, 피조물, 형제자매들 등등에서 기쁨을 얻는다는 의미에서 그렇습니다. 이것들은 생명의 선물입니다. 그들은 하느님의 논리에 따라 살기 때문에 그들이 소유하고 있는 것까지 나누는 것으로 만족합니다. 그러면 하느님의 논리는 무엇입니까? 거저 (무상)입니다. 제자들은 무상으로 사는 법을 배웠습니다. 이 가난은 또한 삶의 의미를 향한 태도입니다. 예수님의 제자들은 그것을 소유하고 있다고 생각하지 않고 모든 것을 이미 알고 있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오히려 매일 배워야 한다는 것을 알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것이 가난입니다. 매일 배워야 한다는 것의 인식입니다. 이런 태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예수님의 제자는 편견과 경직과 거리가 먼 겸손하고 열린 사람입니다.
There was a good example in last Sunday’s Gospel reading: Simon Peter, an expert fisherman, accepts Jesus’ invitation to cast his nets at an unusual hour, and then, full of wonder at the miraculous catch, leaves the boat and all his goods to follow the Lord. Peter shows himself to be docile by leaving everything, and in this way, he becomes a disciple. Instead, those who are too attached to their own ideas and their own securities, find it difficult to truly follow Jesus. They follow him a little, only in those things in which “I agree with him and he agrees with me”, but then, as far as the rest is concerned, it goes no further. And this is not a disciple. Perhaps they listen to him, but they do not follow him. And so, they fall into sadness. They become sad because the accounts do not add up, because reality escapes their mentality and they find they are dissatisfied. Disciples, on the other hand, know how to question themselves, how to humbly seek God every day, and this allows them to delve into reality, grasping its richness and complexity.
지난주일 복음 말씀에 좋은 예가 있었습니다. 노련한 어부 시몬 베드로는 이례적인 시간에 그물을 내리라는 예수님의 초대를 받아들입니다. 그리고 기적적인 어획에 놀라움으로 가득 차 배와 그의 모든 것을 버리고 주님을 따릅니다. 베드로는 모든 것을 버림으로써 자신이 온유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이런 식으로 제자가 됩니다. 그러나 자신들의 생각과 안전에 너무 집착하는 사람들은 예수님을 진정으로 따르는 것이 어렵다는 것을 알게 됩니다. 그들은 주님을 조금 따릅니다. 그들은 “내가 주님에게 동의하고 주님이 내게 동의하시는” 것들만 따르고 그밖에 것들에 관한 한 더 이상 따르지 않습니다. 이것은 제자가 아닙니다. 그들은 주님의 말씀을 경청할지는 모릅니다만 그분을 따르지는 않습니다. 그래서 그들은 슬픔에 빠집니다. 계산이 맞지 않고, 현실이 그들의 사고방식을 벗어나 그들은 슬퍼지고 그들이 만족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됩니다. 반면에 제자들은 스스로에게 질문하는 법을 알고 날마다 겸손하게 하느님을 찾는 법을 알고, 그것이 그들에게 현실을 파헤치고 현실의 풍성함과 복잡함을 파악할 수 있게 합니다.
In other words, the disciple accepts the paradox of the Beatitudes: they declare that those who are poor, who lack many goods and recognize this, are blessed, that is, happy. Humanly speaking, we are inclined to think in another way: happy are those who are rich, with many goods, who receive plaudits and are the envy of many, who have all the certainties. But this is a worldly mindset, it is not the way of thinking of the Beatitudes! Jesus, on the contrary, declares worldly success to be a failure, since it is based on a selfishness that inflates and then leaves the heart empty. Faced with the paradox of the Beatitudes, disciples allow themselves to be challenged, aware that it is not God who must enter into our logic, but we into his.
다시 말해서 제자는 참 행복의 역설을 받아들입니다. 그들은 가난하고 많은 것들이 부족하고 그것을 인식하는 사람들이 복되다는 것 즉 행복하다는 것을 선포합니다. 인간적으로 말하자면, 우리는 다른 방식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즉 부자이고 재물이 많고 칭찬을 받고 많은 사람들의 부러움을 사고 모든 확신을 가진 사람들이 행복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이것은 세상적인 생각이고 참 행복의 사고방식이 아닙니다. 반대로 예수님은 세상적인 성공은 실패라고 선언하십니다. 그것은 부풀려진 다음 마음을 공허하게 하는 이기심에 근거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참 행복의 역설에 직면하여 제자들은 스스로 도전을 받도록 허용하고 결국 우리의 논리에 들어와야 할 분은 하느님이 아니고 그분의 논리에 우리가 들어가야 한다는 것을 인식하게 됩니다.
This requires a journey, sometimes wearisome, but always accompanied by joy. Because the disciple of Jesus is joyful, with the joy that comes from Jesus. Because, let us remember, the first word Jesus says is: blessed, beati, which gives us the name of the Beatitudes. This is the synonym of being disciples of Jesus. The Lord, by freeing us from the slavery of self-centredness, breaks our locks, dissolves our hardness, and opens up to us true happiness, which is often found where we do not expect it to be. It is he who guides our life, not us, with our preconceptions and our demands. Disciples, in the end, are those who let themselves be led by Jesus, who open their heart to Jesus, who listen to him and follow his path.
이것은 때때로 고달프지만 항상 기쁨을 동반하는 여정을 필요로 합니다. 예수님의 제자는 예수님에게서 오는 기쁨으로 즐거워하기 때문입니다. 왜냐하면 - 기억해 두십시오. - 예수님이 말씀하신 첫 단어는 우리에게 참 행복의 이름 비애티튜드를 준 축복받은, 즉 베아티이기 때문입니다. 이것은 예수님의 제자가 됨의 동의어입니다. 주님은 우리를 자기중심의 노예 상태에서 해방시키심으로써 우리의 자물쇠를 깨뜨리고, 우리의 완고함을 풀어주고 우리에게 진정한 행복을 열어주십니다. 그 행복은 우리가 기대하지 않은 곳에서 종종 발견됩니다. 우리의 삶을 인도하는 이는 우리의 선입견과 우리의 요구를 가진 우리가 아니고 그분이십니다. 제자들은 결국 자신들을 예수님의 인도에 맡기고, 그들의 마음을 예수님에게 열고, 그분의 말씀을 경청하고 그분의 길을 따르는 사람들입니다.
We might then ask ourselves: do I – each one of us – have the disciple’s readiness? Or do I behave with the rigidity of one who believes him- or herself to be right, who feels decent, who feels they have already arrived? Do I allow myself to be “inwardly unhinged” by the paradox of the Beatitudes, or do I stay within the confines of my own ideas? And then, with the logic of the Beatitudes, setting aside the hardships and difficulties, do I feel the joy of following Jesus? This is the decisive trait of the disciple: the joy of the heart. Let’s not forget – the joy of the heart. This is the touchstone for knowing if a person is a disciple: does he or she have joy in the heart? Do I have joy in my heart? This is the point. May Our Lady, first disciple of the Lord, help us live as open and joyful disciples.
그러면 우리는 다음과 같이 자문할 수 있습니다. 나는 – 우리 각자는 – 제자의 준비성을 가지고 있습니까? 아니면 자신이 옳다고 믿고, 온당하다고 느끼고, 이미 도착했다고 느끼는 사람의 완고함으로 행동합니까? 나는 참 행복의 역설에 의해서 자신을 “내면적으로 산란”하게 허용하는지 아니면 나 자신의 생각의 범위 안에 머물고 있습니까? 그러면 참 행복의 논리로 고난과 역경을 제켜놓고 예수님을 따르는 기쁨을 느낍니까? 이것이 제자의 결정적인 특성, 곧 마음의 기쁨입니다. 잊지 맙시다. - 마음의 기쁨. 이것은 그 사람이 제자인지 알기 위한 시금석입니다. 그가 마음의 기쁨이 있습니까? 내가 내 마음에 기쁨이 있습니까? 이것이 요점입니다. 주님의 첫 제자이신 성모님 저희를 도우셔서 저희가 개방적이고 즐거운 제자로 살게 하소서!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After the Angelus:
Dear brothers and sisters, The news from Ukraine is very worrying. I entrust every effort for peace to the intercession of the Virgin Mary and to the conscience of the political leaders. Let us pray in silence.
삼종기도 후:
친애하는 형제자매 여러분, 우크라이나의 소식은 매우 걱정스럽습니다. 저는 평화를 위한 모든 노력을 동정 마리아의 전구와 정치 지도자들의 양심에 맡깁니다. 조용히 기도합시다.
I heartily greet you all: Romans and pilgrims from Italy and from various countries. In particular, I greet the faithful of Funchal and Estreito de Câmara de Lobos, on the Island of Madeira, Portugal, as well as those from Perugia and Catanzaro. I wish you all a blessed Sunday. Please, do not forget to pray for me. Enjoy your lunch, and arrivederci.
저는 모든 분들 - 이탈리아와 여러 나라에서 온 로마인과 순례자 여러분께 - 진심으로 인사드립니다. 특히 포르투갈 마데이라 섬의 Funchal과 Estreito de Câmara de Lobos 신자들과 페루지아와 카탄자로 신자들에게 인사를 드립니다. 모두 행복한 주일 보내십시오. 저를 위해 기도하는 것을 잊지 마시기 바랍니다. 점심 즐겁게 드시고 또 뵙겠습니다.
한글 번역: 윤영학 아오스딩
Dear brothers and sisters, buongiorno! At the centre of the Gospel of today’s Liturgy are the Beatitudes (cf. Lk 6:20-23). It is interesting to note that Jesus, despite being surrounded by a great crowd, proclaims them by addressing them to “his disciples” (v. 20). He speaks to the disciples. Indeed, the Beatitudes define the identity of the disciple of Jesus. They may sound strange, almost incomprehensible to those who are not disciples; whereas, if we ask ourselves what a disciple of Jesus is like, the answer is precisely the Beatitudes. “Blessed are you poor, for yours is the Kingdom of God” (v. 20). Blessed are you poor. Jesus says two things to his people: that they are blessed and they are poor; indeed, that they are blessed because they are poor.
교황님의 삼종기도 전 말씀 [성 베드로 광장] 연중 제 6주일 (2022년 2월 13일)
친애하는 형제자매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오늘 전례 복음의 중심에는 참 행복이 있습니다. (루카 6,20-23 참조) 예수님께서 큰 무리에 둘러싸여 계시면서도 참 행복을 “그분의 제자들”(20절)에게 말씀하심으로써 선포하시는 것이 흥미롭습니다. 제자들에게 말씀하십니다. 진정, 참 행복은 예수님 제자의 정체성을 정의합니다. 제자가 아닌 사람들에게 참 행복은 이상하고 거의 이해할 수 없는 것으로 들릴 수 있습니다. 반면에 우리가 예수님의 제자는 어떠해야 하는가? 자문한다면 그 답은 바로 참 행복입니다. “행복하여라, 가난한 사람들! 하느님의 나라가 너희 것이다.” (20절) 가난한 당신은 행복합니다. 예수님은 자신의 백성에게 두 가지를 말씀하십니다. 그들은 행복하고 그들은 가난합니다. 진정 가난하기 때문에 그들이 행복합니다.
In what sense? In the sense that disciples of Jesus do not find their joy in money, power, or other material goods; but in the gifts they receive every day from God: life, creation, brothers and sisters, and so on. These are gifts of life. They are content to share even the goods they possess, because they live according to the logic of God. And what is the logic of God? Gratuitousness. The disciple has learned to live in gratuitousness. This poverty is also an attitude towards the meaning of life, because Jesus’ disciples do not think about possessing it, about already knowing everything, but rather they know they must learn every day. And this is poverty: the awareness of having to learn every day. The disciple of Jesus, since he or she has this attitude, is a humble, open person, far from prejudice and inflexibility.
어떤 의미에서 그렇습니까? 예수님의 제자들은 돈, 권력, 또는 물질적인 재물에서 기쁨을 얻지 못하고 매일 하느님으로부터 받는 선물들 즉 생명, 피조물, 형제자매들 등등에서 기쁨을 얻는다는 의미에서 그렇습니다. 이것들은 생명의 선물입니다. 그들은 하느님의 논리에 따라 살기 때문에 그들이 소유하고 있는 것까지 나누는 것으로 만족합니다. 그러면 하느님의 논리는 무엇입니까? 거저 (무상)입니다. 제자들은 무상으로 사는 법을 배웠습니다. 이 가난은 또한 삶의 의미를 향한 태도입니다. 예수님의 제자들은 그것을 소유하고 있다고 생각하지 않고 모든 것을 이미 알고 있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오히려 매일 배워야 한다는 것을 알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것이 가난입니다. 매일 배워야 한다는 것의 인식입니다. 이런 태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예수님의 제자는 편견과 경직과 거리가 먼 겸손하고 열린 사람입니다.
There was a good example in last Sunday’s Gospel reading: Simon Peter, an expert fisherman, accepts Jesus’ invitation to cast his nets at an unusual hour, and then, full of wonder at the miraculous catch, leaves the boat and all his goods to follow the Lord. Peter shows himself to be docile by leaving everything, and in this way, he becomes a disciple. Instead, those who are too attached to their own ideas and their own securities, find it difficult to truly follow Jesus. They follow him a little, only in those things in which “I agree with him and he agrees with me”, but then, as far as the rest is concerned, it goes no further. And this is not a disciple. Perhaps they listen to him, but they do not follow him. And so, they fall into sadness. They become sad because the accounts do not add up, because reality escapes their mentality and they find they are dissatisfied. Disciples, on the other hand, know how to question themselves, how to humbly seek God every day, and this allows them to delve into reality, grasping its richness and complexity.
지난주일 복음 말씀에 좋은 예가 있었습니다. 노련한 어부 시몬 베드로는 이례적인 시간에 그물을 내리라는 예수님의 초대를 받아들입니다. 그리고 기적적인 어획에 놀라움으로 가득 차 배와 그의 모든 것을 버리고 주님을 따릅니다. 베드로는 모든 것을 버림으로써 자신이 온유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이런 식으로 제자가 됩니다. 그러나 자신들의 생각과 안전에 너무 집착하는 사람들은 예수님을 진정으로 따르는 것이 어렵다는 것을 알게 됩니다. 그들은 주님을 조금 따릅니다. 그들은 “내가 주님에게 동의하고 주님이 내게 동의하시는” 것들만 따르고 그밖에 것들에 관한 한 더 이상 따르지 않습니다. 이것은 제자가 아닙니다. 그들은 주님의 말씀을 경청할지는 모릅니다만 그분을 따르지는 않습니다. 그래서 그들은 슬픔에 빠집니다. 계산이 맞지 않고, 현실이 그들의 사고방식을 벗어나 그들은 슬퍼지고 그들이 만족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됩니다. 반면에 제자들은 스스로에게 질문하는 법을 알고 날마다 겸손하게 하느님을 찾는 법을 알고, 그것이 그들에게 현실을 파헤치고 현실의 풍성함과 복잡함을 파악할 수 있게 합니다.
In other words, the disciple accepts the paradox of the Beatitudes: they declare that those who are poor, who lack many goods and recognize this, are blessed, that is, happy. Humanly speaking, we are inclined to think in another way: happy are those who are rich, with many goods, who receive plaudits and are the envy of many, who have all the certainties. But this is a worldly mindset, it is not the way of thinking of the Beatitudes! Jesus, on the contrary, declares worldly success to be a failure, since it is based on a selfishness that inflates and then leaves the heart empty. Faced with the paradox of the Beatitudes, disciples allow themselves to be challenged, aware that it is not God who must enter into our logic, but we into his.
다시 말해서 제자는 참 행복의 역설을 받아들입니다. 그들은 가난하고 많은 것들이 부족하고 그것을 인식하는 사람들이 복되다는 것 즉 행복하다는 것을 선포합니다. 인간적으로 말하자면, 우리는 다른 방식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즉 부자이고 재물이 많고 칭찬을 받고 많은 사람들의 부러움을 사고 모든 확신을 가진 사람들이 행복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이것은 세상적인 생각이고 참 행복의 사고방식이 아닙니다. 반대로 예수님은 세상적인 성공은 실패라고 선언하십니다. 그것은 부풀려진 다음 마음을 공허하게 하는 이기심에 근거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참 행복의 역설에 직면하여 제자들은 스스로 도전을 받도록 허용하고 결국 우리의 논리에 들어와야 할 분은 하느님이 아니고 그분의 논리에 우리가 들어가야 한다는 것을 인식하게 됩니다.
This requires a journey, sometimes wearisome, but always accompanied by joy. Because the disciple of Jesus is joyful, with the joy that comes from Jesus. Because, let us remember, the first word Jesus says is: blessed, beati, which gives us the name of the Beatitudes. This is the synonym of being disciples of Jesus. The Lord, by freeing us from the slavery of self-centredness, breaks our locks, dissolves our hardness, and opens up to us true happiness, which is often found where we do not expect it to be. It is he who guides our life, not us, with our preconceptions and our demands. Disciples, in the end, are those who let themselves be led by Jesus, who open their heart to Jesus, who listen to him and follow his path.
이것은 때때로 고달프지만 항상 기쁨을 동반하는 여정을 필요로 합니다. 예수님의 제자는 예수님에게서 오는 기쁨으로 즐거워하기 때문입니다. 왜냐하면 - 기억해 두십시오. - 예수님이 말씀하신 첫 단어는 우리에게 참 행복의 이름 비애티튜드를 준 축복받은, 즉 베아티이기 때문입니다. 이것은 예수님의 제자가 됨의 동의어입니다. 주님은 우리를 자기중심의 노예 상태에서 해방시키심으로써 우리의 자물쇠를 깨뜨리고, 우리의 완고함을 풀어주고 우리에게 진정한 행복을 열어주십니다. 그 행복은 우리가 기대하지 않은 곳에서 종종 발견됩니다. 우리의 삶을 인도하는 이는 우리의 선입견과 우리의 요구를 가진 우리가 아니고 그분이십니다. 제자들은 결국 자신들을 예수님의 인도에 맡기고, 그들의 마음을 예수님에게 열고, 그분의 말씀을 경청하고 그분의 길을 따르는 사람들입니다.
We might then ask ourselves: do I – each one of us – have the disciple’s readiness? Or do I behave with the rigidity of one who believes him- or herself to be right, who feels decent, who feels they have already arrived? Do I allow myself to be “inwardly unhinged” by the paradox of the Beatitudes, or do I stay within the confines of my own ideas? And then, with the logic of the Beatitudes, setting aside the hardships and difficulties, do I feel the joy of following Jesus? This is the decisive trait of the disciple: the joy of the heart. Let’s not forget – the joy of the heart. This is the touchstone for knowing if a person is a disciple: does he or she have joy in the heart? Do I have joy in my heart? This is the point. May Our Lady, first disciple of the Lord, help us live as open and joyful disciples.
그러면 우리는 다음과 같이 자문할 수 있습니다. 나는 – 우리 각자는 – 제자의 준비성을 가지고 있습니까? 아니면 자신이 옳다고 믿고, 온당하다고 느끼고, 이미 도착했다고 느끼는 사람의 완고함으로 행동합니까? 나는 참 행복의 역설에 의해서 자신을 “내면적으로 산란”하게 허용하는지 아니면 나 자신의 생각의 범위 안에 머물고 있습니까? 그러면 참 행복의 논리로 고난과 역경을 제켜놓고 예수님을 따르는 기쁨을 느낍니까? 이것이 제자의 결정적인 특성, 곧 마음의 기쁨입니다. 잊지 맙시다. - 마음의 기쁨. 이것은 그 사람이 제자인지 알기 위한 시금석입니다. 그가 마음의 기쁨이 있습니까? 내가 내 마음에 기쁨이 있습니까? 이것이 요점입니다. 주님의 첫 제자이신 성모님 저희를 도우셔서 저희가 개방적이고 즐거운 제자로 살게 하소서!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After the Angelus:
Dear brothers and sisters, The news from Ukraine is very worrying. I entrust every effort for peace to the intercession of the Virgin Mary and to the conscience of the political leaders. Let us pray in silence.
삼종기도 후:
친애하는 형제자매 여러분, 우크라이나의 소식은 매우 걱정스럽습니다. 저는 평화를 위한 모든 노력을 동정 마리아의 전구와 정치 지도자들의 양심에 맡깁니다. 조용히 기도합시다.
I heartily greet you all: Romans and pilgrims from Italy and from various countries. In particular, I greet the faithful of Funchal and Estreito de Câmara de Lobos, on the Island of Madeira, Portugal, as well as those from Perugia and Catanzaro. I wish you all a blessed Sunday. Please, do not forget to pray for me. Enjoy your lunch, and arrivederci.
저는 모든 분들 - 이탈리아와 여러 나라에서 온 로마인과 순례자 여러분께 - 진심으로 인사드립니다. 특히 포르투갈 마데이라 섬의 Funchal과 Estreito de Câmara de Lobos 신자들과 페루지아와 카탄자로 신자들에게 인사를 드립니다. 모두 행복한 주일 보내십시오. 저를 위해 기도하는 것을 잊지 마시기 바랍니다. 점심 즐겁게 드시고 또 뵙겠습니다.
한글 번역: 윤영학 아오스딩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