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성경묵상

영어성경묵상

교황님의 삼종기도 강론(2021.07.04)

최고관리자
2021.07.21 17:48 175 0

본문

Pope's Address Before the Angelus [Saint Peter's Square] (Sunday, 4 July 2021)

Dear brothers and sisters, buongiorno! This Sunday’s Gospel (Mk 6:1-6) tells us about the disbelief of Jesus’s fellow villagers. After preaching in other villages in Galilee, Jesus returned to Nazareth where he had grown up with Mary and Joseph; and, one sabbath, he began to teach in the synagogue. Many who were listening asked themselves: “Where does he get all this wisdom? But, isn’t he the son of the carpenter and Mary, that is, of our neighbours that we know so well?” (cf. vv. 1-3). Confronted with this reaction, Jesus confirms the truth that had even become a part of popular wisdom: “A prophet is not without honour, except in his own country, and among his own kin, and in his own house” (v. 4). We say this many times…

교황님의 삼종기도 전 말씀 [베드로 광장] (주일, 2021. 7. 4.)

친애하는 형제자매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오늘 주일의 복음은 (마르코 6,1-6) 예수님의 고향 사람들의 불신에 대해 얘기합니다. 갈릴래아의 다른 마을에서 설교를 하신 후 예수님께서는 마리아와 요셉과 함께 성장한 나사렛으로 가셨습니다. 그리고 한 안식일에 회당에서 가르치기 시작하셨습니다. 듣고 있던 많은 사람들이 자문하였습니다. “저런 지혜를 어디서 받았을까? 저 사람은 목수로서 마리아의 아들이며, 우리가 매우 잘 아는 이웃의 아들이 아닌가?” (1-3절 참조) 이런 반응을 접하신 예수님께서는 유명한 지혜의 일부까지 된 진리를 확인하십니다. “예언자는 어디에서나 존경받지만 고향과 친척과 집안에서만은 존경받지 못한다.” 우리는 이 것을 여러 번 얘기합니다....

Let us reflect on the attitude of Jesus’s fellow villagers. We could say they knew Jesus, but they did not recognise him.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knowing and recognizing. In essence, this difference makes us understand that we can know various things about a person, form an idea, rely on what others say about that person, we might perhaps meet that person every now and then in the neighbourhood; but all that is not enough. This is a knowledge, I would say ordinary, superficial, that does not recognise the uniqueness of the person.

예수님의 고향 사람들의 태도에 대해 곰곰이 생각해봅시다. 우리는 그들이 예수님을 알았지만 그분을 인식하지 못했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아는 것과 인식하는 것은 다릅니다. 근본적으로 이 다름은 우리가 한 사람에 대해 여러 가지를 알 수 있고, 생각을 형성할 수 있고, 그 사람에 대해 다른 사람들이 말하는 것에 의존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게 합니다. 우리가 그 사람을 이웃으로 때때로 만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그 모든 것이 충분하지 않습니다. 이것은 그 사람의 고유성을 인식하지 못하는 일반적이고 피상적인 지식입니다.

We all run this risk: we think we know so much about a person, even worse, we use labels and close the person within our own prejudices. Jesus’s fellow villagers knew him for thirty years in the same way and they thought they knew everything! “But isn’t this the boy we saw growing up, the son of the carpenter and Mary? Where do these things come from?”. The distrust…in reality, they never realised who Jesus truly was. They remained at the exterior level and refused what was new about Jesus.

우리 모두 이럴 위험을 안고 있습니다. 우리는 한 사람에 대해 너무 많이 알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더 나쁜 것은 우리가 그 사람에 대해 라벨을 붙이고 그를 우리의 편견 안에 가둡니다. 예수님의 고향 사람들은 이런 식으로 예수님을 30년 간 알았고 모든 것을 알고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이 사람은 목수로서 마리아의 아들로서 우리가 자라는 것을 본 그 소년이 아닌가? 저런 지혜를 어디서 받았을까?” 실제로..불신입니다. 그들은 예수님이 진정 누구라는 것을 절대로 인식하지 못하였습니다. 그들은 외적인 수준에 머물렀고 예수님께 대한 새로운 것을 거부했습니다.

And here, we enter into the true crux of the problem: when we allow the convenience of habit and the dictatorship of prejudice to have the upper hand, it is difficult to open ourselves to what is new and allow ourselves to be amazed. We control: through attitudes, through prejudices… It often happens in life that we seek from our experiences and even from people only what conforms to our own ideas and ways of thinking so as never to have to make an effort to change. And this can even happen with God, and even to us believers, to us who think we know Jesus, that we already know so much about Him and that it is enough to repeat the same things as always. And this is not enough with God. But without openness to what is new and, above all – listen well – openness to God’s surprises, without amazement, faith becomes a tiring litany that slowly dies out and becomes a habit, a social habit.

그리고 여기서 우리는 문제의 진정한 핵심으로 들어갑니다. 습관의 편리함과 편견의 독재가 우위를 차지하도록 허용 할 때, 우리 자신을 새로운 것에 개방하고 우리 자신을 놀라게 하도록 허용하는 것이 어렵습니다. 우리가 태도를 통해, 편견을 통해… 통제합니다, 우리의 경험에서, 심지어 사람들에게서도 우리 자신의 생각과 사고방식에 부합하는 것만을 추구하는 일이 종종 발생하므로 결코 변하기 위한 노력을 할 필요가 없습니다. 그리고 이것은 심지어 하느님과 관련하여 일어날 수 있습니다. 신자들인 우리에게, 예수님을 알고 있다고 생각하는 우리에게, 우리가 이미 예수님께 대해 너무 많이 알고 있으며 그래서 항상 같은 것을 반복하는 것으로 충분하다고 생각하는 것이 우리에게 일어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새로운 것에 개방하지 않으면, 무엇보다도 - 잘 경청 - 하느님의 놀라움에 개방하지 않으면, 놀라지 않으면, 믿음은 서서히 사라지고 습관, 사회적 습관이 되는 피곤한 호칭기도가 됩니다.

I said a word: amazement. What is amazement? Amazement happens when we meet God: “I met the Lord”. But we read in the Gospel: many times the people who encountered Jesus and recognised him felt amazed. And we, by encountering God, must follow this path: to feel amazement. It is like the guarantee certificate that the encounter is true and not habitual.

저는 ‘놀랍다.’ 라는 단어를 썼습니다. 놀라움이란 무엇입니까? 우리가 하느님을 만날 때 놀라움이 일어납니다. “나는 주님을 만났습니다.” 우리는 복음을 읽습니다. 예수님을 만나고 그분을 알아 본 많은 사람들이 놀라움을 느꼈습니다. 그리고 우리는 하느님을 만남으로써 이 길을 따라야 합니다. 그를 알아 본 사람들은 여러 번 놀랐습니다. 그리고 우리는 하느님을 만남으로써 놀라움을 느끼는 이 길을 따라야합니다. 그것은 만남이 진실이고 습관적이 아니라는 보증서와 같습니다.

In the end, why didn’t Jesus’s fellow villagers recognise and believe in Him? But why? What is the reason? In a few words, we can say that they did not accept the scandal of the Incarnation. They did not know this mystery of the Incarnation, but they did not accept the mystery: they did not know it. They did not know the reason and they thought it was scandalous that the immensity of God should be revealed in the smallness of our flesh, that the Son of God should be the son of a carpenter, that the divine should be hidden in the human, that God should inhabit a face, the words, the gestures of a simple man. This is the scandal: the incarnation of God, his concreteness, his ‘daily life’.

마지막으로, 예수님의 고향사람들은 왜 예수님을 인식하고 못하고 믿지 않았습니까? 왜 그랬을까요? 그 이유는 무엇입니까? 우리는 몇 마디로 그들이 육화 사건을 받아들이지 않았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그들은 이 육화의 신비를 알지 못했지만 그 신비를 받아들이지 않았습니다. 그들은 그것을 알지 못했습니다. 그들은 그 이유를 알지 못했고, 하느님의 광대함이 우리 육체의 작음 안에 드러나야 하고, 하느님의 아들이 목수의 아들이 되어야하고, 신성이 인간 안에 숨겨져야 한다는 것은 언어도단이라고 생각했습니다. 하느님이 단순한 인간의 얼굴, 말, 몸짓에 거하시는 것은 언어도단이라고 생각했습니다. 하느님의 육화, 그분의 구체성, 그분의 ‘일상“ 등... 이것은 스캔들입니다.

And God became concrete in a man, Jesus of Nazareth, he became a companion on the way, he made himself one of us. “You are one of us”, we can say to Jesus. What a beautiful prayer! It is because one of us understands us, accompanies us, forgives us, loves us so much. In reality, an abstract, distant god is more comfortable, one that doesn’t get himself involved in situations and who accepts a faith that is far from life, from problems, from society. Or we would even like to believe in a ‘special effects’ god who does only exceptional things and always provokes strong emotions. Instead, brothers and sisters, God incarnated Himself: God is humble, God is tender, God is hidden, he draws near to us, living the normality of our daily life.

그리고 하느님은 나사렛 예수라는 사람 안에 구체적이 되셨고, 여정의 동반자가 되셨고, 자신을 우리 중의 한 사람으로 만드셨습니다. 우리는 예수님께 "당신은 우리 중 하나이십니다." 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얼마나 아름다운기도입니까! 우리 중 한 사람이 우리를 이해하고, 우리를 동행하고, 우리를 용서하고, 우리를 너무 사랑하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추상적이고 멀리 계신 하느님이 더 편합니다. 즉 상황에 자신을 관여시키지 않고, 삶, 문제, 사회로부터 먼 신앙을 수용하는 하느님은 더 편합니다. 아니면 우리는 예외적 인 일만하고 항상 강한 감정을 불러일으키는 '특수 효과' 하느님을 믿고 싶어 합니다. 그런데 형제자매 여러분 하느님께서는 자신을 육화하셨습니다. 하느님께서는 겸손하시고, 하느님께서는 온유하시고, 하느님께서는 숨겨져 계시며, 우리에게 가까이 오셔서 우리의 일상의 정상적인 생활을 하십니다.

And then, the same thing happens to us like Jesus’s fellow villagers, we risk that when he passes by, we will not recognize him. I repeat that beautiful phrase from Saint Augustine: “I am afraid of God, of the Lord, when he passes by”. But, Augustine, why are you afraid? “I am afraid of not recognising him. I am afraid that when the Lord passes by: Timeo Dominum transeuntem. We do not recognize him, we are scandalised by Him, we think with our hearts about this reality.

그러다가 예수님의 고향사람들처럼 우리에게도 같은 일이 일어납니다. 우리는 그분이 지나가실 때 그분을 인식하지 못하는 위험에 빠집니다. 제가 성 아우구스티누스가 애기한 아름다운 구절을 반복합니다. “저는 하느님이 두렵습니다. 그분이 지나가실 때 저는 주님이 두렵습니다.” 하지만 아우구스티누스, 왜 그분이 두렵습니까? “제가 그분을 알아보지 못할까봐 두렵습니다. 주님이 지나가실 때 두렵습니다. Timeo Dominum transeuntem.” 우리는 그분을 알아보지 못합니다. 우리가 그분 때문에 문제에 봉착합니다. 우리는 곰곰이 이 현실에 대해 생각합니다.

Now, in prayer, let us ask the Madonna, who welcomed the mystery of God in her daily life in Nazareth, for eyes and hearts free of prejudices and to have eyes open to be amazed: “Lord that we might meet you!”, and when we encounter the Lord there is this amazement. We meet him in the normal: eyes open to God’s surprises, at His humble and hidden presence in daily life.

이제 기도 중에, 나사렛의 일상생활에서 하느님의 신비를 맞이하신 성모님께 편견 없는 눈과 마음을 주시고, 놀랄 수 있게 눈을 뜨게 해주십사고 청합시다. “주님, 당신을 만나게 해주소서.” 주님을 만날 때 거기에 이 놀라움이 있습니다. 우리는 하느님의 놀라움에 눈을 뜨고 평범함 안에 즉 그분의 겸손함, 일상생활에 숨겨진 현존에 계신 그분을 만납니다.

한글 번역: 윤영학 아오스딩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