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성경묵상

영어성경묵상

교황님의 삼종기도 강론(2021.03.21)

최고관리자
2021.03.27 19:50 248 0

본문

Pope's Address Before the Angelus [Library of the Apostolic Palace] (March 21, 2021)

Dear Brothers and Sisters, Buongiorno! On this Fifth Sunday of Lent, the liturgy proclaims the Gospel in which Saint John refers to an episode that occurred in the final days of Christ’s life, shortly before the Passion (cf. Jn 12:20-33). While Jesus was in Jerusalem for the feast of Passover, several Greeks, curious because of what he had been doing, express the wish to see him. They approach the apostle Philip and say to him: “We wish to see Jesus” (v. 21). “We wish to see Jesus”. Let us remember this: “We wish to see Jesus”. Philip tells Andrew and then together they report it to the Teacher. In the request of those Greeks we can glimpse the request that many men and women, of every place and every time, pose to the Church and also to each one of us: “We wish to see Jesus”.

교황님의 삼종기도 전 말씀 [사도궁 도서관] (2021.3.21.)

친애하는 형제자매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오늘 사순 제5주일의 전례는 성 요한이 예수님의 수난 바로 전, 예수님의 지구상의 삶의 마지막 부분에 일어난 일화를 전하는 복음을 선포합니다. (요한 12,20-33 참조) 예수님께서 파스카 축제를 위해 예루살렘에 머무셨을 때 몇몇 그리스 사람들이 그분이 하고 계셨던 일 때문에 호기심이 생겨 예수님을 뵙고 싶다는 바램을 표현합니다. 그들은 사도 필립보에게 다가가서 이렇게 말합니다. “선생님, 예수님을 뵙고 싶습니다.” (21절)  “예수님을 뵙고 싶습니다.” 이것을 기억합시다. “예수님을 뵙고 싶습니다.” 필립보가 안드레아에게 얘기하고 난 후 둘이 그것을 스승님께 보고합니다. 그 그리스 사람들의 요청에서 우리는 많은 사람들이 모든 곳에서 모든 시간에 교회를 향해 또한 우리 각자를 향해 “예수님을 뵙고 싶습니다.”라고 하는 요청을 볼 수 있습니다.

And how does Jesus respond to that request? In a way that makes us think. He says: “The hour has come for the Son of Man to be glorified…. Unless a grain of wheat falls into the earth and dies, it remains just a single grain; but if it dies, it bears much fruit” (vv. 23-24). These words do not seem to respond to the request those Greeks made. In reality, they surpass it. In fact, Jesus reveals that for every man and woman who wants to find him, He is the hidden seed ready to die in order to bear much fruit. As if to say: if you wish to know me, if you wish to understand me, look at the grain of wheat that dies in soil, that is, look at the cross.

그러면 예수님께서 그 요청에 어떻게 답하시나요? 우리가 생각에 잠기도록 하는 방식으로 답하십니다. 예수님께서 말씀하십니다. “사람의 아들이 영광스럽게 될 때가 왔다. 내가 진실로 진실로 너희에게 말한다. 밀알 하나가 땅에 떨어져 죽지 않으면 한 알 그대로 남고, 죽으면 많은 열매를 맺는다.” (23-24절) 이 말씀은 그리스인들의 요청에 대한 답변 같지 않습니다. 그러나 실제로는 그 답변을 능가합니다. 사실 예수님께서는 자신을 알고 싶어 하는 모든 사람들에게 그것을 드러내십니다. 그분은 많은 열매를 맺기 위해 죽을 준비가 되어 있는 숨겨진 씨앗입니다. 마치 이렇게 말씀하시는 것 같습니다. 나를 알고 싶으면, 나를 이해하고 싶으면, 땅에서 죽는 밀알을 보아라. 즉 십자가를 보아라.

The sign of the Cross comes to mind, which over the centuries has become the symbol par excellence of Christians. Even today, those who wish to “see Jesus”, perhaps coming from countries and cultures where Christianity is not well-known, what do they see first? What is the most common sign they encounter? The Crucifix, the Cross. In churches, in the homes of Christians, even worn on their persons. The important thing is that the sign be consistent with the Gospel: the cross cannot but express love, service, unreserved self-giving: only in this way is it truly the “tree of life”, of overabundant life.

여러 세기에 걸쳐 그리스도인들의 상징이 된 십자가의 표징이 마음에 떠오릅니다. 오늘날에도 그리스도신앙이 잘 알려지지 않은 나라와 문화에서 온 사람들이 “예수님을 뵙고” 싶어 할 때 그들이 무엇을 먼저 봅니까? 그들이 마주치는 가장 흔한 징후가 무엇입니까? 십자고상입니다. 십자가입니다. 교회에, 그리스도인들의 집에, 그들의 목에 걸린 십자가입니다. 중요한 것은 그 표징이 복음과 일치한다는 것입니다. 십자가는 사랑, 봉사, 거침없는 자기희생을 표현할 수 밖에 없습니다. 그것은 오직 이런 방식으로 진정한 “생명의 나무”이고 넘치게 풍성한 생명의 나무입니다.

Today too, many people, often without saying so, implicitly would like to “see Jesus”, to meet him, to know him. This is how we understand the great responsibility we Christians and of our communities have. We too must respond with the witness of a life that is given in service,  a life that takes upon itself the style of God – closeness, compassion and tenderness – and is given in service. It means sowing seeds of love, not with fleeting words but through concrete, simple and courageous examples, not with theoretical condemnations, but with gestures of love.

오늘날에도 많은 사람들이 보통 그렇게 얘기하지는 않지만 암암리에 “예수님을 뵙고” 싶어 합니다. 그분을 만나고 싶어 하고, 그분을 알고 싶어 합니다. 이렇게 우리는 우리 그리스도인들 그리고 우리 공동체가 갖는 큰 책임감을 이해합니다. 우리도 봉사에 바치는 삶의 증거로 답해야 합니다. 봉사에 바치는 삶, 예수님의 스타일 즉 친밀성, 연민, 그리고 온유를 지닌 삶으로 답해야 합니다. 그것은 덧없는 말이 아니라 구체적이고 단순하고 용기 있는 본보기를 통해서, 이론적인 비난이 아니라 사랑의 행위를 통해 사랑의 씨앗을 뿌리는 것을 의미합니다.

Then the Lord, with his grace, makes us bear fruit, even when the soil is dry due to misunderstandings, difficulty or persecution, or claims of legalism or clerical moralism. This is barren soil. Precisely then, in trials and in solitude, while the seed is dying, that is the moment in which life blossoms, to bear ripe fruit in due time. It is in this intertwining of death and life that we can experience the joy and true fruitfulness of love, which always, I repeat, is given in God’s style: closeness, compassion, tenderness.

그러면 오해, 어려움 또는 박해, 또는 율법주의 또는 성직자 도덕주의 주장으로 땅이 마를 때조차도 주님께서 그분의 은총으로 우리가 열매를 맺게 하십니다. 이것이 척박한 땅입니다. 정확하게 그때, 시련과 고독안에서 씨앗이 죽어갑니다. 그것이 때가 되어 익은 열매를 맺기 위해 생명이 꽃피는 순간입니다. 죽음과 생명의 이 얽힘 안에서 우리는 사랑의 기쁨과 참된 열매를 경험할 수 있습니다. 제가 반복하는데 사랑의 기쁨과 열매는 항상 하느님의 스타일 즉 진밀함, 연민, 그리고 온유 안에서 주어집니다. 

May the Virgin Mary help us to follow Jesus, to walk, strong and joyful, on the path of service, so that the love of Christ may shine in our every attitude and become more and more the style of our daily life.

동정 마리아여 저희를 도우셔서 저희가 예수님을 따르고, 봉사의 길을 힘차고 기쁘게 걷게 하시어 그리스도의 사랑이 우리의 모든 태도에서 빛나고, 점점 더 우리의 일상의 삶의 스타일이 되게 하소서.

한글 번역: 윤영학 아오스딩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