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성경묵상

영어성경묵상

교황님의 삼종기도 강론(2021.02.14)

최고관리자
2021.02.27 10:47 197 0

본문

Pope's Address Before the Angelus [Saint Peter's Square] (February 14, 2021)

Dear brothers and sisters, buongiorno! The Square is beautiful with the sun! It’s beautiful! Today’s Gospel (cf Mk 1:40-45) presents us with the encounter between Jesus and a man who was sick with leprosy. Lepers were considered impure and, according to the prescriptions of the Law, they had to remain outside of inhabited centres. They were excluded from every human, social and religious relationship: for example, they could not enter a synagogue, they could not go into the temple, these were religious restrictions.

교황님의 삼종기도 전 말씀 (2021.2.7.)

친애하는 형제자매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햇빛 가득한 광장이 아름답습니다. 아름답습니다. 오늘의 복음은 (마르코 1,40-45 참조) 우리에게 예수님과 나병을 앓는 사람과의 만남을 얘기합니다. 나환자들은 부정하다고 여겨졌고 율법의 규정에 따라 그들은 주거지역 밖에 머물려야  했습니다. 그들은 모든 인간적, 사회적, 종교적 관계로부터 배제되었습니다. 예를 들어서 그들은 회당에 들어갈 수 없었고, 그들은 성전에 들어갈 수 없었습니다. 이것들이 종교적인 제한이었습니다.

Jesus, instead, allows this man to draw near him, he is moved even to the point of extending his hand and touching him. This was unthinkable at that time. This is how he fulfills the Good News he proclaims: God draws near to our lives, he is moved to compassion because of the fate of wounded humanity and comes to break down every barrier that prevents us from being in relationship with him, with others and with ourselves. He drew near… Nearness. Compassion.

그런데 예수님께서는 이 사람이 가까이 오도록 허용하십니다. 예수님께서는 가엾은 마음이 드시어 손을 내밀어 그를 만지십니다. 이것은 그 당시에는 생각할 수 없는 일이었습니다. 이렇게 예수님께서는 자신이 선포하는 하느님의 복음을 충족시키십니다. 하느님께서 우리의 삶 가까이 오십니다. 그분은 상처받은 인간의 운명 때문에 가엾은 마음이 드셔서, 우리가 하느님과의 관계,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 그리고 우리 자신들과의 관계 안에 있는 것을 방해하는 모든 장벽을 허물기 위해 오십니다. 하느님께서 가까이 오셨습니다..... 친밀, 연민.

The Gospel says that Jesus, seeing the leper, was moved with compassion, tenderness. Three words that indicate God’s style: nearness, compassion, tenderness. In this episode, we can see two “transgressions” that intersect: the transgression of the leper who draws near to Jesus, and should not have done so; and Jesus who, moved with compassion, touches him compassionately to heal him. He should not have done that. Both of them are transgressors. There are two transgressions.

복음은 말하기를 나환자를 보시고 예수님께서 가엾은 마음이 드셨다고 얘기합니다. 온유. 예수님의 스타일을 가리키는 3 단어는 친밀, 연민, 온유입니다. 이 일화에서 우리는 교차하는 두 “위법”을 볼 수 있습니다. 예수님께 가까이 온 나환자의 위법으로서 그렇게 하지 말았어야 합니다. 예수님께서 가엾을 마음이 들어 그를 치유하기 위해 연민의 마음으로 그에게 손을 대십니다. 예수님께서 그것을 하지 않으셨어야 합니다. 두 사람 모두 위법자입니다. 두 위법이 있습니다.

The first transgression is that of the leper: despite the prescriptions of the Law, he comes out of his isolation and goes to Jesus. His illness was considered a divine punishment, but, in Jesus, he is able to see another aspect of God: not the God who punishes, but the Father of compassion and love who frees us from sin and never excludes us from his mercy. Thus, that man can emerge from his isolation because in Jesus he finds God who shares his pain. Jesus’s behavior attracts him, pushes him to go out of himself and entrust Him with his painful story.

첫 위법은 나환자의 위법입니다. 율법의 규정에도 불구하고 그는 자신의 격리에서 나와서 예수님께 갑니다. 그의 병은 신적인 처벌로 여겨졌었습니다. 그러나 예수님 안에서 그 나환자는 하느님의 또 다른 관점을 볼 수 있습니다. 처벌하시는 하느님이 아니시고, 우리를 죄로부터 자유롭게 하시고, 절대로 우리를 그분의 자비로부터 배제시키지 않으시는 연민과 사랑의 아버지로 볼 수 있어서 그 사람은 자신의 격리 밖으로 나올 수 있습니다. 예수님 안에서 자신의 고통을 함께 하시는 하느님을 발견하기 때문입니다. 예수님의 행동이 그를 매료시키고 그를 그 자신 밖으로 나와서 예수님께 자신의 고통스런 사연을 맡기도록 촉구합니다.

And allow me a thought here for the many good priest confessors who have this behavior of attracting people, and many people who feel that they are nothing, who feel they are flat on the ground because of their sins, who with tenderness, with compassion… Good confessors who do not have a whip in their hands, but just welcome, listen and say that God is good and that God always forgives, that God does not get tired of forgiving. I ask all of you here today in the Square, to give a round of applause for these merciful confessors.

여기에서 많은 사람들을 끌어당기는 이런 행동을 하는 많은 훌륭한 고해 사제들과, 자신들은 아무것도 아니라고 생각하고, 자신들의 죄 때문에 자신들은 땅바닥에 있다고 느끼는 사람들, 온유와 연민을 가진 사람들에 대해 생각을 하는 것을 허용해주십시오. 훌륭한 고해사제들은 손에 채찍을 가지 있지 않고 다만 환영하고 경청하고 하느님께서는 선하시고 하느님께서 항상 용서하시고 하느님께서 용서하시는 일에 지치지 않는다고 말합니다. 오늘 여기 광장에 계신 모든 분들께 이 자비로운 고해사제들께 환호의 박수를 쳐주시길 청합니다.

The second transgression is that of Jesus: even though the Law prohibited touching lepers, he is moved, extends his hand and touches him to cure him. Someone would have said: He sinned. He did something the law prohibits. He is a transgressor. It is true: He is a transgressor. He does not limit himself to words, but touches him. To touch with love means to establish a relationship, to enter into communion, to become involved in the life of another person even to the point of sharing their wounds. With that gesture, Jesus reveals that God, who is not indifferent, does not keep himself at a “safe distance”. Rather, he draws near out of compassion and touches our life to heal it with tenderness. It is God’s style: nearness, compassion and tenderness. God’s transgression. He is a great transgressor in this sense.

두 번째 위법은 예수님이 하신 위법입니다. 율법이 나환자를 만지는 것을 금하였는데도 불구하고 예수님께서 가엾은 마음이 드셔서 손을 내밀어 그를 만지고 치유하십니다. 어떤 사람이 이렇게 말했을 것입니다. 그는 죄를 지었어. 그분은 율법이 금하는 무엇을 행하셨습니다. 그는 범법자입니다. 사실입니다. 그분은 범법자이십니다. 그분은 말씀에 그치지 않고 만지십니다. 사랑을 갖고 만지는 것은 관계를 설정하고, 친교로 들어가고, 다른 사람의 삶에 그들의 상처를 나누는 선까지 관여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 행위로 예수님께서는 무관심하지 않으신 하느님께서 자신을 “안전한 거리” 밖에 두지 않으신다는 것을 드러내십니다. 오히려 연민 때문에 가까이 오셔서 온유한 마음으로 치유하시기 위해 우리의 삶을 만지십니다. 그것이 하느님의 스타일입니다. 친밀, 연민, 그리고 온유입니다. 하느님의 위법. 그분은 이런 의미에서 위대한 범법자이십니다.

Brothers and sisters, even in today’s world, many of our brothers and sisters still suffer from this illness, from Hansen’s disease, or from other illnesses and conditions that carry social stigmas with them. “This person is a sinner”. Think a moment about when that woman entered the banquet and poured out that perfume on Jesus’s feet… The others were saying: “But if he were a prophet he would know who this woman is: a sinner”. Disdain. Instead, Jesus welcomes, rather, thanks her: “Your sins are forgiven”. Jesus’s tenderness. Social prejudices distance these people through words: “This person is impure, that person is a sinner, this person is a crook, that person…”

형제자매 여러분 오늘의 세상에도 많은 우리의 형제자매들이 아직 이 병으로, 한센 병으로 또는 “이 사람은 죄인이다”라는 사회적 낙인이 찍힌 다른 병이나 조건들로부터 고통을 받고 있습니다. 잠시 잔치에 들어와서 예수님의 발에 향유를 바른 여인을 생각해봅시다, 다른 사람들은 이렇게 얘기했습니다. “저 사람이 예언자라면, 자기에게 손을 대는 여자가 누구이며 어떤 사람인지, 곧 죄인인 줄 알 터인데.” (루카 7,39) 경멸. 그러나 예수님께서는 환영하시고 더욱이 그 여인에게 고마움을 표하십니다.  “너는 죄를 용서받았다.” 예수님의 온유. 사회적 편견이 다음과 같은 말을 통해 이런 사람들을 멀리합니다. “이 사람은 부정해, 저 사람은 죄인이야, 이 사람은 사기꾼이야, 저 사람은........”

Yes, at times it is true. But not to judge through prejudice. Each one of us might experience wounds, failure, suffering, selfishness that make us close ourselves off from God and others because sin closes us in on ourselves because of shame, because of humiliation, but God wants to open our heart. In the face of all this, Jesus announces to us that God is not an idea or an abstract doctrine but God is the One who “contaminates” himself with our human woundedness and is not afraid to come into contact with our wounds. “But, Father, what are you saying? What God contaminates himself?” I am not saying this, St Paul said it: he made himself to be sin. He who was not a sinner, who could not sin, made himself to be sin. Look at how God contaminated himself to draw near to us, to have compassion and to make us understand his tenderness. Closeness, compassion, and tenderness.

그렇습니다. 때때로 그것이 맞습니다. 그러나 편견을 통해 판단하지 말아야 합니다. 우리 각자는 상처, 실패, 고통, 이기심을 경험했을 것입니다. 이기심은 하느님과 이웃들로부터 우리를 우리 자신 안에 가둡니다. 죄의 부끄러움 때문에, 굴욕감 때문에 우리를 우리 자신 안에 가두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하느님께서는 우리 가슴을 열기를 원하십니다. 이 모든 것을 직면하여 예수님께서는 하느님께서는 사상이나 추상적인 가르침이 아니고 하느님께서는 자신을 우리의 인간 상처로 “더럽히시고” 우리의 상처와 접촉하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으신다고 선언하십니다. “그러나, 신부님, 무슨 말씀이십니까? 하느님께서 무엇으로 자신을 더럽히신다고요?” 제가 이것을 말씀드리는 것이 아닙니다. 성 바오로가 말했습니다. 그분은 자신을 죄가 되게 하셨습니다. 죄인이 될 수 없는 분, 죄를 지을 수 없는 분이 자신이 죄가 되게 하셨습니다. 하느님께서 우리에게 가까이 오시기 위해서 그리고 그분의 온유함을 우리가 이해하게 하시기 위해서 자신을 어떻게 오염시키셨는지 보십시오. 친밀, 연민, 온유.

To respect the rules regarding good reputation and social mores, we often silence pain or we wear masks that camouflage it. To balance the calculations of our selfishness and the interior laws of our fears we do not get that involved with the sufferings of others. Instead, let us ask the Lord for the grace to live these two “transgressions”, these two “transgressions” from today’s Gospel: that of the leper, so that we might have the courage to emerge from our isolation and, instead of staying put and feeling sorry for ourselves or crying over our failings, complaining, and instead of this, let us go to Jesus just as we are; “Jesus I am like this”. We will feel that embrace, that embrace of Jesus that is so beautiful. And then Jesus’s transgression, a love that goes beyond conventions, that overcomes prejudices and the fear of getting involved with the lives of others. Let us learn to be transgressors like these two: like the leper and like Jesus.

좋은 평판과 사회적 관습에 관한 규정을 존중하기 위해서 우리는 종종 고통을 참거나 그것을 감추는 가면을 씁니다. 우리의 이기심과 우리 두려움의 내적 규정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하여 우리는 다른 사람들의 고통에 그렇게 관여하지 않습니다. 주님께 이 두 “위법”을 실천하는 은총을 청합시다. 오늘 복음에 나오는 이 두 “위법.” 나환자의 위법을 실천하여 우리가 우리의 격리에서 나오는 용기를 가지고 아무것도 안 하면서 자신에게 미안해하거나 우리의 잘못, 불만에 눈물짓는 대신에 예수님께 있는 그대로 가서 “예수님 제가 이렇습니다.”라고 말씀드리면 예수님의 그 포옹, 아름다운 예수님의 그 포옹을 느낄 것입니다. 다음은 관습을 뛰어 넘는 사랑, 편견과 다른 사람의 삶에 관여하는 것에 대한 두려움을 극복하는 예수님의 위법입니다. 이 두 예와 같은 범법자 - 나환자와 예수님 - 가 되는 것을 배웁시다.

May the Virgin Mary accompany us on this journey as we now invoke her in the prayer of the Angelus.

이제 삼종기도에서 그분께 청하면서 동정 마리아께 이 여정에 동반하여 주십사고 기도합시다.

한글 번역: 윤영학 아오스딩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