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성경묵상

영어성경묵상

교황님의 삼종기도 강론(2020.12.13)

최고관리자
2020.12.31 17:12 148 0

본문

Pope's Address Before the Angelus (December 13, 2020)

Dear Brothers and Sisters,  Good morning! The invitation to joy is characteristic of the season of Advent: the expectation of Jesus’ birth that we experience is joyful, somewhat like when we await the visit of a person we love a great deal, for example, a friend whom we have not seen for a long time, a relative…. We are in joyful anticipation. And this dimension of joy emerges particularly today, the Third Sunday, which opens with Saint Paul’s exhortation: “Rejoice in the Lord always” (Entrance Antiphon; cf. Phil 4:4, 5). “Rejoice!” Christian joy. And what is the reason for this joy? That “the Lord is at hand” (v. 5).

교황님의 삼종기도 전 말씀 (2020.12.13.)

친애하는 형제자매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기쁨에로의 초대는 사순시기의 특징입니다. 예수님 탄생에 대한 기대는 기쁘고, 우리가 아주 사랑하는 사람, 예를 들어서 아주 오랫동안 만나지 못한 친구 또는 친척의 방문을 기다릴 때와 비슷합니다. 우리는 즐거운 기대에 빠져 있습니다. 이 차원의 기대가 특별히 오늘 대림 제 3주일에 우러나옵니다. 오늘의 전례는 성 바오로의 다음의 권고로 시작합니다. “주님 안에서 늘 기뻐하여라.” (입당송: 필리 4,4,5 참조) “기뻐하여라.” 그리스도인의 기쁨. 이 기쁨의 이유는 무엇인가요? 그것은 “주님께서 가까이 오시기 때문입니다.” (5절)

The closer the Lord is to us, the more joy we feel; the farther away he is, the more sadness we feel. This is a rule for Christians. Once a philosopher said something more or less like this: “I do not understand how one can believe today, because those who say they believe have a face from a funeral wake. They do not bear witness of the joy of the Resurrection of Jesus Christ”. Many Christians have that face, yes, a face from a funeral wake, a face of sadness…. But Christ is risen! Christ loves you! And you have no joy? Let us think a bit about this and let us ask: “Do I have joy because the Lord is close to me because the Lord loves me because the Lord has redeemed me?”.

주님께서 우리에게 가까이 오시면 오실수록 우리는 더 큰 기쁨을 느낍니다. 주님께서 우리와 더 멀어지시면 우리는 더 큰 슬픔을 느낍니다. 이것이 그리스도인들의 법칙입니다. 언젠가 철학자가 이와 비슷한 얘기를 했습니다. “나는 오늘날 사람들이 어떻게 믿는지 이해하지 못하겠습니다. 왜냐하면 믿는다고 말하는 사람들이 장례식장에 있는 사람의 얼굴을 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들은 예수그리스도의 부활의 기쁨을 증거 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많은 그리스도인들이 그런 얼굴을 하고 있습니다. 장례식장에서 밤샘하다 나온 얼굴, 슬픔의 얼굴을 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그리스도께서 부활하셨습니다. 그리스도께서 여러분을 사랑하십니다. 그런데 여러분은 기쁘지 않습니까? 이것에 대해 좀 생각하고 이렇게 물어봅시다. “주님께서 내게 가까이 계시고 주님께서 나를 사랑하시고 주님께서 나를 구원해주셨기 때문에 내가 기쁜가요?”   

The Gospel according to John today presents us the biblical character who – excluding Our Lady and Saint Joseph – first and most fully experienced the expectation of the Messiah and the joy of seeing him arrive: naturally, we are speaking of John the Baptist (cf. Jn 1:6-8, 19-28).

오늘의 요한복음은 우리에게 성경적 인물 - 성모님과 요셉성인을 제외하고 - 가장 먼저 그리고 가장 온전하게 메시아를 체험하고, 그분의 도착을 보는 즐거움을 느꼈던 분을 소개합니다. 당연히 우리는 세례자 요한을 얘기하는 겁니다. (요한복음 1,6-8, 19-28 참조)

The Evangelist introduces him in a solemn way: “There was a man sent from God…. He came for testimony, to bear witness to the light” (vs. 6-7). The Baptist is the first witness of Jesus, with the word and with the gift of his life. All the Gospels agree in showing that he fulfilled his mission by indicating Jesus as the Christ, the One sent by God, promised by the Prophets. John was a leader of his time. His renown had spread throughout Judea and beyond, to Galilee. But he did not surrender even for an instant to the temptation to draw attention to himself: he always oriented himself toward the One who was to come.

성경작가는 그를 엄숙한 방법으로 소개합니다. “하느님께서 보내신 사람이 있었는데 그의 이름은 요한이었다. 그는 증언하러, 빛을 증언하러 왔다.” (1,6-7) 세례자는 예수님의 첫 번째 증거자입니다. 그는 말과 자신의 생명의 선물로 증거 합니다. 복음서 전체가 세례자 요한이 예수님을 그리스도라고, 하느님께서 보내신 분이라고, 예언자들이 약속한 분이라고 가리킴으로써 그의 사명을 완수했다는 것을 보이는데 일치하고 있습니다. 요한은 그 시대의 지도자였고, 그의 명성은 유다와 그 너머 갈릴래아까지 퍼졌습니다. 그러나 그는 자신에게 주의를 끌도록 하는 유혹에 한 번도 빠지지 않았습니다. 그는 항상 자신을 앞으로 오실 분을 향했습니다.

He used to say: “he who comes after me, the thong of whose sandal I am not worthy to untie” (v. 27). Always indicating the Lord. Like Our Lady: always indicating the Lord: “Do whatever he tells you”. The Lord is always at the center. The Saints around him, indicating the Lord. And one who does not indicate the Lord is not holy! This is the first condition of Christian joy: to decentralize from oneself and place Jesus at the center. This is not alienation, because Jesus is effectively the center; he is the light that gives full meaning to the life of every man and woman who comes into this world. It is the same dynamism of love, which leads me to come out of myself not to lose myself but to find myself again, while I give myself, while I seek the good of others.

그는 “내 뒤에 오시는 분이신데, 나는 그분의 신발 끈을 풀어 드리기에도 합당하지 않다.” (27절) 라고 말하곤 했습니다. 항상 주님을 가리키며, 성모님처럼, 늘 주님을 가리키며 “그가 말하는 대로 하십시오.” 주님께서 항상 중심에 계십니다. 그분 주위의 성인들은 주님을 가리킵니다. 주님을 가리키지 않는 사람은 거룩하지 않습니다. 이것이 그리스도인의 기쁨의 첫 번째 조건입니다. 자신으로부터 중심을 분산시키고 예수님을 중심에 모시는 것입니다. 이것은 자기를 소외시키는 것이 아닙니다. 예수님께서 실제로 중심에 계시기 때문입니다. 그분은 이 세상에 오는 모든 남녀의 삶에 온전한 의미를 주는 빛이십니다. 그것은 사랑의 같은 역동입니다. 나를 자신으로부터 나오게 하고, 자신을 주는 동안, 타인의 선을 추구하는 동안, 나를 잃지 않고 오히려 자신을 다시 찾게 하는 역동입니다. 

John the Baptist undertook a long journey to come to bear witness to Jesus. The journey of joy is not a walk in the park. It takes work to always be joyful. John left everything, in his youth, to put God in the first place, to listen to His Word with all his heart and all his strength. John withdrew into the desert, stripping himself of all things superfluous, in order to be freer to follow the wind of the Holy Spirit.

세례자 요한은 예수님을 증거 하기 위해서 긴 여정을 걸었습니다. 기쁨의 여정은 공원에서의 산책이 아닙니다. 늘 기쁘기 위해서 노력이 필요합니다. 요한은 젊은 나이에 모든 것을 버리고 하느님을 첫 자리에 모시고, 그분의 말씀을 온 마음을 다하고 온 힘을 다하여 경청합니다. 요한은 성령의 바람을 더 자유롭게 따르게 위해서 불필요한 모든 것을 버리고 사막으로 물러갔습니다.

Of course, some of his personality traits are unique, unrepeatable; they cannot be recommended for everyone. But his witness is paradigmatic for whoever wishes to seek the meaning of his or her life and find true joy. In particular, the Baptist is a model for those in the Church who are called to proclaim Christ to others: they are able to do so only by detaching from themselves and from worldliness, by not attracting people to themselves but directing them toward Jesus.

물론 그의 어떤 성격적 특성들은 독특하고 유일합니다. 그런 특성들은 모든 사람들에게 권할 수 없습니다. 그러나 그의 증거는 누구든지 자신의 삶의 의미를 추구하고 진정한 기쁨을 발견하기 원하는 사람들에게는 모범적입니다. 특히 세례자는 교회에서 다른 사람들에게 그리스도를 선포하도록 부르심을 받은 사람들에게는 모델입니다. 그들은 자신들로부터 그리고 세상적인 것으로부터 멀리 떨어져서 사람들을 자신들에게 끌어들이기보다는 예수님께로 향하게 함으로써만이 그렇게 할 수 있습니다.

This is joy: directing toward Jesus. And joy must be the characteristic of our faith. And in dark moments, that inner joy, of knowing that the Lord is with me, that the Lord is with us, that the Lord is Risen. The Lord! The Lord! The Lord! This is the center of our life, and this is the center of our joy. Think well today: how do I behave? Am I a joyful person who knows how to transmit the joy of being Christian, or am I always like those sad people, as I said before, who seem to be at a funeral wake? If I do not have the joy of my faith, I cannot bear witness and others will say: “But if faith is so sad, it is better not to have it”.

이것이 기쁨입니다. 예수님께 향하게 하는 것. 그리고 기쁨은 우리 믿음의 특징이어야 합니다. 어두운 순간들에 그 내적 기쁨, 주님께서 나와 함께 계시다는 것을, 주님께서 우리와 함께 계시다는 것, 주님께서 부활하셨다는 것을 아는 기쁨입니다. 주님! 주님! 주님! 이것이 우리 삶의 중심입니다. 그리고 이것이 우리 기쁨의 중심입니다. 오늘 잘 생각해보세요. 나는 어떻게 행동하나요? 나는 그리스도인의 기쁨을 전달할 줄 아는 기뻐하는 사람인가요? 아니면 아까 말씀드렸던 장례식장에 있는 것 같은 그 슬픈 사람들과 늘 비슷한가요? 내가 나의 믿음의 기쁨이 없으면 나는 증거 할 수 없고 다른 사람들이 이렇게 말할 것입니다. “믿음이 그렇게 슬프면 믿음을 안 갖는 것이 낫겠네.”

By praying the Angelus now, we see all of this fully realized in the Virgin Mary: she silently awaited God’s Word of salvation; she welcomed it; she listened to it; she conceived it. In her, God became close. This is why the Church calls Mary a “Cause of our joy”.

이제 묵주기도를 바치면서 우리는 이 모든 것이 동정 마리아에게서 실현되었음을 봅니다. 그는 조용히 하느님의 구원의 말씀을 기다렸습니다. 성모님은 그것을 환영하였고 경청하였고 마음속에 품었습니다. 하느님께서 가까워지셨습니다. 이것이 교회가 마리아를 “우리의 기쁨의 원인”이라고 하는 이유입니다.

한글 번역: 윤영학 아오스딩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