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성경묵상

영어성경묵상

교황님의 교리(2020.09.23)

최고관리자
2020.10.04 17:47 147 0

본문

The Holy Father’s Catechesis “Healing the world” (General Audience on Sep 23, 2020)

Dear Brothers and Sisters, it does not seem that the weather is that great, but I wish you a good morning all the same! To emerge better from a crisis like the current one, which is a health crisis and is, at the same time, a social, political and economic crisis, every one of us is called to assume responsibility for our own part, that is, to share the responsibility. We must respond not only as individual people, but also from the groups to which we belong, out of the roles we have in society, from our principles and, if we are believers, from our faith in God.

교황님의 교리 “세상의 치유” (일반접견 2020.09.23.)

친애하는 형제자매 여러분, 오늘 날씨가 그리 좋은 것 같지 않지만, 여러분에게 좋은 아침이 되기를 빕니다. 건강의 위기이자 동시에 사회적, 정치적, 경제적 위기인 현재와 같은 위기에서 더 나아져서 나오기 위해서 우리 각자는 우리의 몫의 책임을 지도록 부름을 받습니다. 그것은 책임을 공유하는 것입니다. 우리는 개인으로서 뿐만 아니라 우리가 속한 집단으로, 우리가 사회에서 가지고 있는 역할로, 우리의 원칙으로, 우리가 신자라면 하느님께 대한 우리의 믿음으로 그 부름에 응답하여야 합니다.

Often, however, many people cannot participate in the reconstruction of the common good because they are marginalised, they are excluded or ignored; certain social groups do not succeed in making a contribution because they are economically or socially suffocated. In some societies, many people are not free to express their own faith and their own values, their own ideas: if they express them freely, they are put in jail. Elsewhere, especially in the western world, many people repress their own ethical or religious convictions. This is no way to emerge from the crisis, or at least to emerge from it better. We will emerge from it worse.

그러나 종종 많은 사람들이 소외되고, 제외되고 방임되어서 공동선의 재건에 참여하지 못합니다. 특정 사회적 집단들은 사회적 경제적으로 숨이 막히어 제대로 기여하지 못합니다. 어떤 사회에서는 많은 사람들이 자신들의 신앙과 자신들의 가치와 자신들의 생각을 자유롭게 표현하지 못합니다. 그들이 그것들을 자유롭게 표현하면 그들은 감옥에 갇힙니다. 다른 곳에서는 특별히 서방 국가에서는 많은 사람들이 자신들의 윤리적 또는 종교적 신념을 억누릅니다. 이것은 위기에서 벗어나는 길이 혹은 적어도 위기에서 더 낫게 벗어나는 길이 절대 아닙니다. 우리는 위기에서 더 악화되어서 나올 것입니다.

So that we might be able to participate in the healing and regeneration of our peoples, it is only right that everyone should have the adequate resources to do so (see Compendium of the Social Doctrine of the Church [CSDC], 186). After the great economic depression of 1929, Pope Pius XI explained how important the principle of subsidiarity was (see Encyclical Quadragesimo anno, 79-80). This principle has a double movement: from top to bottom and from bottom to top. Perhaps we do not understand what this means, but it is a social principle that makes us more united. I will try to explain it.

우리가 우리 사람들의 치유와 재생에 참여할 수 있기 위해서 모든 사람들이 적절한 자원을 가져야 합니다. (간추린 사회교육, 186 참조) 1929년의 대공황 후에 교황 비오 11세는 보조성의 원리가 얼마나 중요한지에 대해 설명하였습니다. (회칙 사십주년 Quadragesimo anno, 79-80 참조) 이 원칙은 양방향의 움직임을 지니고 있는데 하나는 위에서 아래로 이고 다른 하나는 아래에서 위로입니다. 우리는 아마 이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이해하지 못하지만 그것은 우리가 더 잘 일치하게 하는 사회원칙입니다. 제가 그것을 설명해보겠습니다.

On the one hand, and above all in moments of change, when single individuals, families, small associations and local communities are not capable of achieving primary objectives, it is then right that the highest levels of society, such as the State, should intervene to provide the necessary resources to progress. For example, because of the coronavirus lockdown, many people, families and economic entities found themselves and still find themselves in serious trouble. Thus, public institutions are trying to help through appropriate interventions, social economic, regarding health…this is their function, what they need to do.

한편으로, 변화의 순간에 무엇보다도, 단일 개인, 가정, 작은 협회들과 지역공동체들은 일차적 목적을 달성할 수 없습니다. 그때에 국가와 같은 최고단계의 사회가 전진에 필요한 자원을 제공하기 위하여 개입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서 코로나 바이러스 봉쇄 때문에 많은 사람들, 가정들, 그리고 경제주체들이 심각한 어려움에 처했고 아직 어려움에 처해 있습니다. 그래서 공공기관들이 건강에 관련하여 적절한 간여, 사회적 경제를 통해서 도우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이것이 그들의 기능이고 그들이 해야 하는 일입니다.

On the other hand, however, society’s leaders must respect and promote the intermediate or lower levels. In fact, the contribution of individuals, of families, of associations, of businesses, or every intermediary body, and even of the Church, is decisive. All of these, with their own cultural, religious, economic resources, or civil participation, revitalize and reinforce society (see CSCD, 185). That is, there is a collaboration from the top and the bottom from the State to the people, and from the bottom to the top, from the institutions of people to the top. And this is exactly how the principle of subsidiarity is exercised.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사회지도자들은 중간 또는 낮은 단계들을 존중하고 촉진해야 합니다. 사실 개인들, 가정들, 협회들, 경제주체들, 또는 모든 중간조직들, 그리고 교회의 공헌은 결정적입니다. 이 모두는 자신들의 문화적, 종교적, 경제적 자원 또는 시민참여를 통해서 사회를 재 활성화시키고 다시 강화합니다. (간추린 사회교리, 185 참조) 그것은 위로부터 아래로, 정부로부터 백성들로, 그리고 아래로부터 위로, 시민조직으로부터 위로의 협조입니다. 이것이 바로 보조성의 원칙이 작동되는 방식입니다.

Everyone needs to have the possibility of assuming their own responsibility in the process of healing the society of which they are a part. When a project is launched that directly or indirectly touches certain social groups, these groups cannot be left out from participating – for example: “What do you do?” “I go to work with the poor.” “Ah, how beautiful. And what do you do?” “I teach the poor, I tell the poor what they need to do.” No, this doesn’t work. The first step is to allow the poor to tell you how they live, what they need… Let everyone speak! And this is how the principle of subsidiarity works. We cannot leave out the participation of the people; their wisdom; the wisdom of the humbler groups cannot be set aside (see Apostolic Exhortation Querida Amazonia [QA], 32; Encyclical Laudato Si’, 63).

모든 이들은 그들이 속한 사회를 치유하는 과정에서 그들 자신의 책임을 질 수 있어야 합니다. 특정한 집단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프로젝트가 시작될 때에 그들이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것이 배제되어서는 안 됩니다. 예를 들어서 “무엇을 합니까?” “가난한 사람들과 함께 할 일이 있습니다.” “그러세요. 아름다운 일이네요. 근데 무슨 일을 하시는데요?” “가난한 사람들을 가르칩니다. 그들이 무엇을 해야 하는지 얘기하는 거죠.” 아닙니다. 이렇게 하면 안 됩니다. 첫 번째로 해야 할 일은 가난한 사람들이 당신에게 그들이 어떻게 살고 있고 그들이 무엇을 필요로 하는가를 얘기하도록 허용하는 것입니다. 모든 사람이 말하도록 하는 것입니다. 이것이 보조성의 원칙이 작동하는 방식입니다. 사람들의 참여를 배제시키면 안 됩니다. 그들의 지혜, 더 가난한 집단들의 지혜를 배제시키면 안 됩니다. (사도적 권고 사랑하는 아마존, 32, 찬미 받으소서. 63 참조)

Unfortunately, this injustice happens often in those places where huge economic and geopolitical interests are concentrated, such as, for example, certain extractive activities in some areas of the planet (see QA, 9.14). The voices of the indigenous peoples, their culture and world visions are not taken into consideration. Today, this lack of respect of the principle of subsidiarity has spread like a virus. Let’s think of the grand financial assistance measures enacted by States. The largest financial companies are listened to rather than the people or the ones who really move the economy. Multinational companies are listened to more than social movements. Putting it in everyday language, they listen more to the powerful than to the weak and this is not the way, it is not the human way, it is not the way that Jesus taught us, it is not how the principle of subsidiarity is implemented.

불행히도, 예를 들어 지구상의 어떤 지역에서 행해지는 특정한 추출활동과 같이 거대한 경제적 지역적 이익이 집중되어 있는 그런 곳에서 종종 불의가 행해집니다. (사랑하는 아마존, 9, 14 참조) 원주민들의 목소리, 그들의 문화와 세계비전들이 교려되지 않습니다. 오늘날 보조성의 원칙에 대한 존중의 부족이 바이러스처럼 번지고 있습니다. 국가들이 시행하는 대규모의 경제적 원조 조치들을 생각해봅시다. 경제를 실제로 움직이는 사람들보다 최대의 금융회사들의 의견이 반영됩니다. 사회운동들보다 다국적기업들의 의견이 더 반영됩니다. 그것을 일상의 언어로 표현하면 그들은 약한 사람들보다 강한 사람들의 말을 더 경청합니다. 이것은 옳은 방법이 아닙니다. 인간적인 방법이 아닙니다. 예수님께서 우리에게 가르치신 방법이 아닙니다. 보조성의 원칙을 실행하는 방식이 아닙니다.

Thus, we do not permit people to be “agents in their own redemption”.[1] There is this motto in the collective unconscious of some politicians or some social workers: everything for the people, nothing with the people. From top to bottom without listening to the wisdom of the people, without activating the wisdom of the people in resolving problems, in this case to emerge from the crisis. Or let’s think about the cure for the virus: the large pharmaceutical companies are listened to more than the healthcare workers employed on the front lines in hospitals or in refugee camps. This is not a good path. Everyone should be listened to, those who are at the top and those who are at the bottom, everyone.
 
그러므로 우리는 사람들이 “자신들의 구원의 중개인이” 되는 것을 허용하지 않습니다. [1] 어떤 정치인들 또는 어떤 사회사업가들의 집단적 무의식 안에 이런 모토가 있습니다. - 모든 것은 사람을 위해, 사람과 함께는 전무. 위기에서 나오는 이 경우에, 즉 문제를 해결하는데 있어서 사람들의 지혜를 발동시키지 않고, 사람들의 지혜에 귀 기울이지 않고 위에서 밑으로의 일방향입니다. 바이러스의 치유를 생각해봅시다. 병원이나 이재민 캠프의 최전방에서 일하는 의료진들 보다 대형제약회사들의 의견에 더 귀 기울입니다. 이것은 올바른 길이 아닙니다. 모든 사람들의 의견에 귀 기울여야 합니다. 위에 있는 사라들이나 아래에 있는 사람들이나 모두의 의견을 들어야 합니다.

To emerge better from a crisis, the principle of subsidiarity must be enacted, respecting the autonomy and the capacity to take initiative that everyone has, especially the least. All the parts of the body are necessary, as St Paul says, we’ve heard that those parts that may seem the weakest and least important, in reality are the most necessary (see 1 Cor 12:22). In light of this image, we can say that the principle of subsidiarity allows everyone to assume his or her own role for the healing and destiny of society. Implementing it, implementing the principle of subsidiarity gives hope, gives hope in a healthier and more just future; let’s construct this future together, aspiring to greater things, broadening our horizons and ideals.[2]

위기에서 더 잘 나오기 위해서, 모든 사람들이 특히 가장 취약한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주도권을 행사할 수 있는 자율성과 능력을 존중하는 보조성의 원칙이 가동되어야 합니다. 성 바오로가 말하듯이 몸의 모든 부분이 필요합니다. 몸의 지체 가운데에서 가장 약하고 가장 덜 중요하다고 여겨지는 것들이 가장 요긴합니다. (코리토 1서 12,22 참조) 이 말씀에 비추어 우리는 보조성의 원칙은 모든 사람들이 치유와 사회의 운명을 위해서 자신들의 책임을 수행하는 것을 허용합니다. 그것을 실천하는 것, 보조성의 원칙을 실천하는 것은 희망을 주고, 좀 더 건강하고 더 의로운 장래에 대한 희망을 줍니다. 더 위대한 것들을 열망하고 우리의 지평과 이상을 확장하면서 이 미래를 함께 건설합시다. [2].

Either we do it together, or it won’t work. Or we work together to emerge from the crisis, all levels of society, or we will never emerge from it. It does not work that way. To emerge from the crisis does not mean to varnish over current situations so that they might appear more just. No. To emerge from the crisis means to change, and true change to which every contributes, all the persons that form a people. All the professions, all of them. And everything together, everyone in the community. If everyone is not contributing the result will be negative.

우리가 그것을 함께 하거나 그것을 실현하지 못 하거나입니다. 다시 말해서 위기에서 나오기 위해서 사회의 모든 계층의 사람들이 함께 일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우리는 위기에서 절대로 나오지 못합니다. 그것은 그런 방식으로 작동하지 않습니다. 위기에서 나오는 것은 현 상황을 덧칠하여 그것들이 좀 더 정의롭게 보이게 하는 것을 뜻하지 않습니다. 아닙니다. 위기에서 나오는 것은 변화를 의미합니다. 모든 사람들이 기여하는, 백성을 구성하는 모든 사람들이 기여하는 진정한 변화를 의미합니다. 모든 직업, 그들 모두, 그리고 모두 함께, 공동체의 모두가 함께 해야 합니다. 만약에 모두가 기여하지 않으면 결과는 부정적일 것입니다.

In a previous catechesis we saw how solidarity – solidarity now – is the way out of the crisis: it unites us and allows us to find solid proposals for a healthier world. But this path of solidarity needs subsidiarity. Someone might say to me: “But, Father, today you are saying difficult things!” It’s because of this that I am trying to explain what it means. Solidary, because we are taking the path of subsidiarity. In fact, there is no true solidarity without social participation, without the contribution of intermediary bodies: families, associations, cooperatives, small businesses, and other expressions of society. Everyone needs to contribute, everyone.

지난 교리에서, 우리는 어떻게 연대가 - 지금의 연대 - 위기를 벗어나는 길인가를 보았습니다. 그것은 우리를 일치시키고 우리가 더 건강한 세상을 위한 견고한 제안을 찾을 수 있게 합니다. 그러나 연대의 이 길은 보조성을 필요로 합니다. 어떤 사람이 제게 이렇게 말할지 모릅니다. “하지만, 교황님, 오늘 말씀은 어렵습니다!” 그것은 제가 의미를 설명하려고 하는 이것 때문입니다. 연대, 우리가 보조성의 길을 택하려고 하기 때문입니다. 사실 사회적 참여 없이,  중간층 즉, 가정, 협회, 조합, 소기업, 그리고 사회의 다른 목소리들의 기여 없이 진정한 연대는 없습니다. 모든 사람들의 기여가 필요합니다.

This type of participation helps to prevent and to correct certain negative aspects of globalization and the actions of States, just as it is happening regarding the healing of people affected by the pandemic. These contributions “from the bottom” should be encouraged. How beautiful it is to see the volunteers during the crisis. The volunteers come from every part of society, volunteers who come from well-off families and those who come from poorer families. But everyone, everyone together to emerge. This is solidarity and this is the principle of subsidiarity.

이런 형태의 참여는 세계화와 전염병 대유행의 영향을 받는 사람들의 치유와 관련하여 바로 일어나고 있는 것과 같은 국가들의 행위들의 특정한 부정적인 측면을 방지하고 교정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아래로부터”의 이러한 기여가 장려되어야 합니다. 위기의 상황에서 자원봉사자들을 보는 것이 얼마나 아름답습니까. 자원봉사자들은 사회의 모든 부분에서 옵니다. 부유한 가정에서 온 자원봉사자들도 있고, 빈곤한 가정에서 온 자원봉사자들도 있습니다. 하지만, 모두가, 나오기 위해 모두가 함께 합니다. 이것이 연대입니다. 그리고 이것이 보조성의 원칙입니다.

During the lockdown, the spontaneous gesture of applauding, applause for doctors and nurses began as a sign of encouragement and hope. Many risked their lives and many gave their lives. Let’s extend this applause to every member of the social body, to each and every one, for their precious contribution, no matter how small. “But can that person over there do?” “Listen to that person! Give the person space to work, consult him or her.” Let’s applaud the “cast-aways”, those whom culture defines as those to be “thrown out”, this throw-away culture – that is, let’s applaud the elderly, children, persons with disability, let’s applaud workers, all those who dedicate themselves to service. Everyone collaborating to emerge from the crisis.

봉쇄기간 동안, 환호의 자발적인 행동, 의사와 간호사들에 대한 환호가 격려와 희망의 표시로 시작되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생명의 위험을 감수하였고, 많은 이들이 생명을 잃었습니다. 이 환호를 사회의 모든 구성원들에게, 그 크기에 상관없이 그들의 귀중한 기여에 대해, 모든 사람 각자에게 확장합시다. “그러나 저기 있는 저 사람도 할 수 있습니까?” “그 사람의 이야기를 들어봅시다! 그 사람이 참여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해줍시다. 그들에게 물어봅시다.” “버림받은 이들”을, 문화가, 이 버리는 문화가 “버려야 한 사람”으로 정의한 그들을 환호합시다.  다시 말해, 노인들, 아이들, 장애인들을 환호합시다. 노동자들, 봉사에 헌신하는 모든 사람들, 위기에서 나오기 위해 협력하는 모든 사람들을 환호합시다.

But let’s not stop only at applauding. Hope is audacious, and so, let’s encourage ourselves to dream big. Brothers and sisters, let’s learn to dream big! Let’s not be afraid to dream big, seeking the ideals of justice and social love that are born of hope. Let’s not try to reconstruct the past, the past is the past, let’s look forward to new things. The Lord’s promise is: “I will make all things new”. Let’s encourage ourselves to dream big, seeking those ideals, not trying to reconstruct the past, above all the past that was unjust and already ill…. Let’s construct a future where the local and global dimensions mutually enrich each other – everyone can contribute, everyone must contribute their share, from their culture, from their philosophy, from their way of thinking – where the beauty and the wealth of smaller groups, even the groups that are cast aside, might flourish –because beauty is there too – and where those who have more dedicate themselves to service and give more to those who have less. Thank you.

그러나 단지 환호에서 멈추지 맙시다. 희망은 대담하므로 우리가 큰 꿈을 꾸도록 격려합시다. 형제자매 여러분 큰 꿈을 꾸는 법을 배웁시다. 희망에서 태어난 정의와 사회적 사랑의 이상을 추구하는 큰 꿈을 꾸는 것을 두려워하지 맙시다. 과거를 재건하려고 하지 맙시다. 과거는 과거이니 새로운 것을 기대합시다. 주님의 약속은 “내가 모든 것을 새롭게 하리라” 입니다. 과거를 재건하려고 하지 않고 정의롭지 못하고 이미 병들어 있던 모든 과거를 뛰어넘어 그 이상들을 추구하는 큰 꿈을 꾸도록 우리 자신을 격려합시다. 지역과 세계의 차원들이 서로를 풍요롭게 하는 미래를 건설합시다. 그 미래에는 모든 사람들이 기여할 수 있고, 모든 사람들이 그들의 문화에서, 그들의 철학에서, 그들의 사고방식에서 자신들의 몫을 기여해야 합니다. 그 미래에는 작은 집단들, 제외되었던 집단들까지도 꽃을 피울 것이고 - 그곳에도 아름다움이 있기 때문에 - 더 가진 사람들이 봉사에 더 헌신하고 적게 가진 사람들에게 더 줄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
[1] Message for the 106th World Day of Migrants and Refugees 2020 (13May2020).
[2] See Discourse to students at the Fr. Félix Varela Cultural Center, Havana – Cuba, 20 September 2015.
[*] Compendium of the Social Doctrine of the Church [CSDC]
http://www.vatican.va/roman_curia/pontifical_councils/justpeace/documents/rc_pc_justpeace_doc_20060526_compendio-dott-soc_en.html#The%20beginning%20of%20a%20new%20path
[*] Quadragesimo anno
http://www.vatican.va/content/pius-xi/en/encyclicals/documents/hf_p-xi_enc_19310515_quadragesimo-anno.html
[*] Querida Amazonia [QA]
http://www.vatican.va/content/francesco/en/apost_exhortations/documents/papa-francesco_esortazione-ap_20200202_querida-amazonia.html
[*] Laudato Si’ [LS]
http://www.vatican.va/content/francesco/en/encyclicals/documents/papa-francesco_20150524_enciclica-laudato-si.html

[Working unofficial translation by the Vatican]

한글번역: 황민영 줄리아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