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성경묵상

영어성경묵상

교황님의 교리(2020.09.02)

최고관리자
2020.09.09 10:29 194 0

본문

The Holy Father’s Catechesis (General Audience on Sep. 2, 2020)

Dear brothers and sisters, good morning! After many months we meet each other again our face to face, rather than screen to screen. Face to face. This is good! The current pandemic has highlighted our interdependence: we are all linked to each other, for better or for worse. Therefore, to come out of this crisis better than before, we have to do so together; together, not alone. Together. Alone no, because it cannot be done. Either it is done together, or it is not done. We must do it together, all of us, in solidarity. I would like to underline this word today: solidarity.

교황님의 교리 (일반접견 2020.09.2.)

친애하는 형제자매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여러 달 만에 처음으로 다시 얼굴을 맞대고 만나게 됐습니다. 스크린으로가 아닌 얼굴을 직접 보고 만납니다. 좋습니다. 현재의 전염병 대유행은 우리의 상호의존성을 부각시켰습니다. 우리는 모두 서로에게 더 좋게 또는 더 나쁘게 연결되어있습니다. 그래서 이 위기를 나올 때 전보다 더 나아지기 위해서 우리는 함께 노력해야 합니다. 혼자가 아니고 함께 해야 합니다. 혼자가 아닙니다. 왜냐하면 그것이 가능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함께 이루거나 이루지 못하거나 입니다. 우리는 함께 모두가 연대해서 그것을 해야 합니다.

As a human family we have our common origin in God; we dwell in a common home, the garden-planet, the earth where God placed us; and we have a common destination in Christ. But when we forget all this, our interdependence becomes dependence of some on others, we lose this harmony of interdependence and solidarity and we become dependent – the dependence of some on a few, on others – increasing inequality and marginalisation; it weakens the social fabric and the environment deteriorates. It is always the same. The same way of acting.

인간 가족으로서 우리는 하느님으로부터의 공동의 뿌리가 있습니다. 우리는 하느님께서 우리를 갖다놓으신 공동의 집에서 정원-행성, 지구에서 삽니다. 그리고 우리는 예수님 안의 공동 목적지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 모든 것을 잊어버릴 때 우리의 상호의존성은 어떤 사람들의 다른 사람들에 대한 의존성이 됩니다. 우리는 이 상호의존성과 연대의 조화를 잃고 의존적이 됩니다. 몇몇 사람들이 소수의 사람들, 다른 사람에게 의존합니다. 불평등과 사회적 소외를 증가시킵니다. 그것이 사회 망을 약화시키고 환경은 망가집니다. 그것은 항상 같습니다. 같은 방식의 작용입니다.

Therefore, the principle of solidarity is now more necessary than ever, as Saint John Paul II taught (cf. Sollicitudo rei socialis, 38-40). In an interconnected world, we experience what it means to live in the same “global village”; this expression is beautiful, isn’t it? The big wide world is none other than a global village, because everything is interconnected, but we do not always transform this interdependence into solidarity. There is a long journey between interdependence and solidarity. Selfishness – individual, national and power-groups – and ideological rigidities instead sustain “structures of sin” (ibid., 36).

그래서 성 요한 바오로 2세께서 가르쳤듯이 연대의 원칙이 지금 그 어느 때보다 더 필요합니다. (사회적 관심, 38-40 참조) 상호 연결된 세상에서 우리는 같은 “지구촌”에 사는 것이 무엇을 뜻하는지 경험합니다. “지구촌”이란 표현이 아름답지 않습니까? 크고 넓은 세상이 지구촌에 불과합니다. 모든 것이 서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우리는 항상 이 상호의존성을 연대로 변화시키지 못합니다. 상호의존성과 연대의 사이에는 긴 여정이 있습니다. 이기심 - 개인적, 국가적, 그리고 세력단체들 - 그리고 이념적인 경직성이 “죄악의 구조”를 지탱시킵니다. (사회적 관심, 36) 

“The word ‘solidarity’ is a little worn and at times poorly understood, but it refers to something more than a few sporadic acts – the odd sporadic act – of generosity”. Much more! “It presumes the creation of a new mindset; a new mindset which thinks in terms of community and the priority of life of all over the appropriation of goods by a few” (Apostolic Exhortation Evangelii gaudium, 188). This is what “solidarity” means. It is not merely a question of helping others – it is good to do so, but it is more than that – it is a matter of justice (see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1938-1949). Interdependence, in order to be in solidarity and to bear fruit, needs strong roots in the humanity and nature created by God; it needs respect for faces and for the land.

“연대”라는 단어는 약간 낡고 때론 잘 이해되지 않지만 연대는 어쩌다 베푸는 자선행위 - 어쩌다 베푸는 이상한 자선행위 - 이상의 것입니다. 훨씬 이상입니다. “그것은 새로운 사고방식을 전제로 합니다. 그 새로운 사고방식은 소수의 재화 독점을 극복하고 공동체 차원에서 모든 사람의 삶을 먼저 생각하는 것입니다.” (복음의 기쁨 188 참조) 이것이 “연대”가 의미하는 것입니다. 그것은 단순히 남을 돕는 문제가 아닙니다. 돕는 것은 좋은 일이지만 연대는 그 이상의 것입니다. 그것은 정의의 문제입니다. (가톨릭교회 교리서 1938-1949를 보십시오.) 연대하고 결실을 맺으려면 상호의존성은 인간과 하느님께서 창조하신 자연에 강력한 뿌리를 두어야 합니다. 사람들과 땅에 대한 존경이 필요합니다.

The Bible, from the very beginning, warns us of this. Think of the account of the Tower of Babel (see Gen 11: 1-9), which describes what happens when we try to reach heaven – that is, our destination – ignoring our bond with humanity, creation and the Creator. It is a figure of speech. This happens every time that someone wants to climb up and up, without taking others into consideration. Just myself, no?

성경은 맨 처음부터 이것을 우리에게 경고합니다. 바벨탑에 관한 내용을 생각해보십시오. (창세기 11,1-9) 우리의 인간과 피조물과 창조주와의 끈을 무시하고 우리의 목적지인 하늘에 도달하려고 할 때 무슨 일이 일어납니까? 그것은 비유적 표현입니다. 어떤 사람이 다른 사람은 생각하지 않고 나만 생각하고 계속 위로 오르기를 원할 때마다 이것이 일어납니다.   

Think about the tower. We build towers and skyscrapers, but we destroy community. We unify buildings and languages, but we mortify cultural wealth. We want to be masters of the Earth, but we ruin biodiversity and ecological balance. In another audience I spoke about those fishermen from San Benedetto del Tronto, who came this year, and they told me that this year: “We have taken 24 tonnes of waste out of the sea, half of which was plastic”. Just think1 These people have the task of catching fish – yes – but also refuse, and of taking it out of the water to clean up the sea. But this is ruining the earth – not having solidarity with the earth, which is a gift – and the ecological balance.

그 탑을 생각하십시오. 우리는 타워와 고층빌딩을 짓지만 공동체를 파괴합니다. 우리는 빌딩과 언어를 하나로 만들지만 문화적 부를 억제합니다. 우리는 지구의 주인이 되고 싶지만 생물다양성과 생태균형을 파괴합니다. 지난 접견에서 저는 금년에 San Benedetto del Tronto 에서 온 어부들에 대해 말씀드린 적이 있습니다. 그들이 말했습니다. “바다에서 24톤의 쓰레기를 건졌는데 그 중에 반이 플라스틱이었습니다.” 생각해보십시오. 이 사람들은 고기 잡는 업무를 가지고 있지만 거부하고 바다를 청소하기 위해서 쓰레기를 꺼내는 업무를 택했습니다. 지구를 파괴하고 있습니다. 선물인 지구와 생태균형과의 연대가 없는 것입니다. 

I remember a medieval account of this “Babel syndrome”, which occurs when there is no solidarity. This medieval account says that, during the building of the tower, when a man fell – they were slaves, weren’t they? – and died, no-one said anything, or at best, “Poor thing, he made a mistake and he fell”. Instead, if a brick fell, everyone complained. And if someone was to blame, he was punished. Why?

연대가 없을 때 발생하는 이 “바벨탑 증상” 에 대한 중세의 이야기를 기억합니다. 이 중세 이야기는 탑을 지을 때 사람이 떨어져서 - 그들은 노예들이었지요? - 죽으면 아무도 말을 않거나 기껏해야 “불쌍한 것 실수해서 떨어졌구나.” 라고 얘기 했다고 합니다. 그런데 벽돌이 떨어지면 모두가 불평을 했고, 누구라도 잘못해서 그랬다면 그 사람은 처벌됐다고 합니다. 왜 그랬을까요?

Because a brick was costly to make, to prepare, to fire… All of this. It took time to produce a brick, and work. A brick was worth more than a human life. Every one of us, think about what happens today. Unfortunately, something of the type can happen nowadays too. When shares fall in the financial markets, all the agencies report the news – we have seen it in the newspapers in these days. Thousands of people fall due to hunger and poverty, and no-one talks about it.

벽돌은 형태를 만들고 굽고... 이 모든 것을 하는데 돈이 들었기 때문입니다. 벽돌을 만드는데 시간이 걸렸습니다. 벽돌이 인간 생명보다 더 가치가 있었습니다. 우리 모두 오늘날 무엇이 일어나는지 생각해 봅니다. 불행하게도 비슷한 형태의 무엇이 오늘날에도 일어납니다. 금융시장에서 주식이 떨어질 때 모든 매체가 그 뉴스를 보도합니다. 요즈음 신문에서 그것을 보았습니다. 수많은 사람들이 배고픔과 빈곤으로 쓰러집니다. 그러나 아무도 그것에 대해 얘기하지 않습니다.

Pentecost is diametrically opposed to Babel (see Acts 2: 1-3), we heard at the beginning of the audience. The Holy Spirit, descending from above like wind and fire, sweeps over the community closed up in the Cenacle, infuses it with the power of God, and inspires it to go out and announce the Lord Jesus to everyone. The Spirit creates unity in diversity; He creates harmony. In the account of the Tower of Babel, there is no harmony; only pressing forward in order to earn. There, others are simply instruments, mere “manpower”, but here, in Pentecost, each one of us is an instrument, but a community instrument that participates fully in building up the community. Saint Francis of Assisi knew this well, and inspired by the Spirit, he gave all people, indeed creatures, the name of brother or sister (see LS 11; see Saint Bonaventure, Legenda maior, VIII, 6: FF 1145). Even brother wolf, remember.

오순절은 바벨과 정반대입니다. (사도행전 2 : 1-3 참조) 접견 시작에 들었습니다. 성령이 바람과 불처럼 위에서 내려와 다락방에 있던 공동체를 휩쓸고 그들에게 하느님의 권능을 불어넣어 그들이 나가서 주 예수님을 모든 사람들에게 선포하도록 영감을 주십니다. 성령께서 다양성 안에 일치를 만드십니다. 성령께서 조화를 만드십니다. 바벨탑 얘기에는 조화가 없습니다. 돈을 벌기 위한 전진만 있을 뿐입니다. 거기에서 다른 것들은 도구, 단순한 “인력”에 불과합니다. 그러나 여기 오순절에는 우리 각자가 도구이지만 공동체를 짓는데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공동체 도구입니다. 아씨시의 성 프란치스코는 이것을 잘 알았습니다. 성령에 영감을 받아서 그는 모든 사람들에게, 참으로 피조물들에게 형제자매의 이름을 부여했습니다. (찬미 받으소서. 11, 성 보나벤투라, 대전기, VIII, 6, 1145 참조) 늑대 형제까지도 기억하시죠?   

With Pentecost, God makes Himself present and inspires the faith of the community united in diversity and in solidarity. Diversity and solidarity united in harmony, this is the way. A diversity in solidarity possesses “antibodies” that ensure that the singularity of each person – which is a gift, unique and unrepeatable – not sicken with individualism, with selfishness. Diversity in solidarity also possesses antibodies that heal social structures and processes that have degenerated into systems of injustice, systems of oppression (see Compendium of the social doctrine of the Church, 192).
오순절을 통해 하느님께서 나타나시어 다양성과 연대와 일치된 공동체의 믿음을 고취시키십니다. 다양성과 연대가 조화를 이루는 이것이 길입니다. 연대 안의 다양성은 “항체”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항체는 선물이며, 독특하고, 반복될 수 없는 각 개인의 특이성이 개인주의와 이기주의에 의해서 병들지 않도록 막아줍니다. 다양성 안의 연대 또한 항체를 보유하고 있는데 그 항체는 불의의 구조, 억압의 구조로 퇴화한 사회구조와 과정을 치유합니다. (간추린 사회교리, 192 참조)

Therefore, solidarity today is the road to take towards a post-pandemic world, towards the healing of our interpersonal and social sicknesses. There is no other way. Either we go ahead along the road of solidarity, or things will worsen. I want to repeat this: one does not come out of a crisis the same as before. The pandemic is a crisis. We emerge from a crisis either better or worse than before. It is up to us to choose. And solidarity is, indeed, a way of coming out of the crisis better, not with superficial changes, with a fresh coat of paint so everything looks fine. No. Better!

그러므로 오늘날의 연대는 전염병 대유행 이후의 세상으로 나아가는, 우리의 대인관계와 사회적 질병을 치유하는 길입니다. 다른 길은 없습니다. 연대의 길을 따라가거나 사태가 더 악화되거나 입니다. 이것을 다시 반복합니다. 위기가 끝나면 사람은 예전과 같지 않습니다. 전염병 대유행은 위기입니다. 우리는 위기에서 전보다 다 나아져서 또는 더 나빠져서 나옵니다. 선택은 우리에게 달렸습니다. 진정 연대는 위기에서 더 나아져서 나오는 길입니다. 피상적인 변화나 모든 것이 잘 보이도록 페인트를 새로 칠하는 것이 아닙니다. 더 좋아지는 겁니다.   

In the midst of crises, a solidarity guided by faith enables us to translate the love of God in our globalised culture, not by building towers or walls – and how many walls are being built today! – that divide, but then collapse, but by interweaving communities and sustaining processes of growth that are truly human and solid. And to do this, solidity helps. I would like to ask a question: do I think of the needs of others? Everyone, answer in your heart.

위기에서 믿음으로 인도된 연대는 우리가 하느님의 사랑을 우리의 세계화된 문화 안에서 해석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탑이나 벽을 만들지 않고, - 오늘날 분열시키고 무너지는 얼마나 많은 벽이 지어지고 있습니까? - 공동체들을 서로 엮고 진정 인간적이고 견고한 성장의 과정을 유지함으로써 그렇게 할 수 있습니다. 이것을 하기 위해서 견고함이 필요합니다. 질문 하나 하겠습니다. 여러분은 다른 사람들의 필요성에 대해 생각합니까? 여러분 모두 가슴 속으로 답하십시오.

In the midst of crises and tempests, the Lord calls to us and invites us to reawaken and activate this solidarity capable of giving solidity, support and meaning to these hours in which everything seems to be wrecked. May the creativity of the Holy Spirit encourage us to generate new forms of familiar hospitality, fruitful fraternity and universal solidarity. Thank you.

위기와 폭풍 속에서 주님께서 우리를 부르셔서 모든 것이 망가진 것처럼 보이는 이 시간에 견고함, 지원, 그리고 의미를 줄 수 있는 이 연대를 다시 깨우고 활성화시키도록 초대하십니다. 성령의 창의력이 우리를 북돋아 새로운 형태의 친숙한 환대, 유익한 형제애 그리고 보편적 연대를 창출하도록 해주소서. 감사합니다.

한글 번역: 윤영학 아오스딩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