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성경묵상

영어성경묵상

교황님의 교리(2020.09.19)

최고관리자
2020.09.09 10:25 1,099 0

본문

The Holy Father’s Catechesis (General Audience on Aug 19, 2020)

Dear brothers and sisters, good day! The pandemic has exposed the plight of the poor and the great inequality that reigns in the world. And the virus, while it does not distinguish between people, has found, in its devastating path, great inequalities and discrimination. And it has exacerbated them!

교황님의 교리 (일반접견 2020.08.19.)

친애하는 형제자매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전염병 대유행은 가난한 사람들의 역경과 세상을 지배하는 대단한 불균형을 드러냈습니다. 바이러스는 사람들을 구별하지 않지만 파괴적인 도정에서 엄청난 불평등과 차별을 발견하였고 바이러스는 그것을 악화시켰습니다.

The response to the pandemic is therefore dual. On the one hand, it is essential to find a cure for this small but terrible virus, which has brought the whole world to its knees. On the other, we must also cure a larger virus, that of social injustice, inequality of opportunity, marginalisation, and the lack of protection for the weakest. In this dual response for healing there is a choice that, according to the Gospel, cannot be lacking: the preferential option for the poor (see Apostolic Exhortation Evangelii gaudium [EG], 195).

그래서 전염병 대유행에 대한 대응이 두 가지입니다. 한 편온 세계를 무릎 꿇게 한 이 작지만 엄청난 바이러스에 대한 치유방법을 찾는 것이 필수입니다. 다른 한 편으로 우리는 큰 바이러스를 또한 치유해야 합니다. 그것은 사회적 불의, 기회의 불평등, 소외, 그리고 가장 취약한 사람들에 대한 보호의 부족입니다. 이 두 가지 치유에 있어서 복음에 따라 반드시 택해야 할 선택이 있습니다. 그것은 가난한 사람들을 위한 우선적인 선택입니다. (사도적 권고, 복음의 기쁨, 195) 

And this is not a political option; nor is it an ideological option, a party option… no. The preferential option for the poor is at the centre of the Gospel. And the first to do this was Jesus; we heard this in the reading from the Letter to the Corinthians which was read at the beginning. Since He was rich, He made Himself poor to enrich us. He made Himself one of us and for this reason, at the centre of the Gospel, there is this option, at the centre of Jesus’ proclamation.

이것은 정치적 선택이 아닙니다. 이념적인 선택도 아닙니다. 정당적 선택... 아닙니다. 가난한 사람들을 위한 우선적 선택은 복음의 중심에 있습니다. 그리고 그것을 처음으로 실행한 분은 예수님이십니다. 이것을 오늘 읽은 코린토 2서에서 나와있습니다. 그분은 부자이셨지만 우리를 풍요롭게 하기 위해서 자신을 가난하게 하셨습니다. 같은 이유 때문에 우리 중의 한 사람이 되셨고 복음의 중심에 예수님의 선포의 중심에 이 선택이 있습니다. 

Christ Himself, Who is God, despoiled Himself, making Himself similar to men; and he chose not a life of privilege, but he chose the condition of a servant (cf. Phil 2:6-7). He annihilated Himself by making Himself a servant. He was born into a humble family and worked as a craftsman. At the beginning of His preaching, He announced that in the Kingdom of God the poor are blessed (cf. Mt 5:3; Lk 6:20; EG, 197). He stood among the sick, the poor, the excluded, showing them God’s merciful love (cf.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2444). And many times He was judged an impure man because He went to the sick, to lepers… and this made people impure, according to the law of the age. And He took risks to be near to the poor.

하느님이신 그리스도 자신이 인간과 비슷하게 되기 위해서 내려놓으셨습니다. 특권의 삶을 택하지 않고 종의 조건을 선택하셨습니다. (필리피 2,6-7 참조) 그분은 서민 가정에 태어나시고 목수로 일하셨습니다. 그의 설교 시작에 예수님께서는 하느님의 나라에서는 가난한 사람들이 축복을 받는다고 선언하셨습니다. (마태오 5,3; 루카 6,20; 복음의 기쁨 197 참조) 그분은 아픈 사람들, 가난한 사람들, 소외된 사람들 가운데 서서 그들에게 하느님의 자비의 사랑을 보여주셨습니다. (가톨릭교회 교리 2444 참조) 그리고 예수님께서는 환자들 그리고 나환자들에게 가셨기 때문에 여러 번 부정한 사람으로 여겨졌습니다. 당시의 법은 환자나 나환자는 사람들을 부정하게 만든다고 되어있었지만 예수님께서는 계속 가난한 사람들을 가까이 하는 위험부담을 지셨습니다.

Therefore, Jesus’ followers recognise themselves by their closeness to the poor, the little ones, the sick and the imprisoned, the excluded and the forgotten, those without food and clothing (cf. Mt 25:31-36; CCC, 2443). We can read that famous protocol by which we will all be judged, we will all be judged.

그래서 예수님을 따르는 사람들은 자신들의 정체를 가난한 사람들, 작은 사람들, 아픈 사람들, 수감된 사람들, 소외된 사람들, 잊혀진 사람들,  그리고 먹을 것과 입을 것이 없는 사람들과의 친밀감으로 인식합니다. (마태오 25,31-36, 가톨릭교회 교리서 2443 참조) 우리는 우리 모두가 심판을 받을 그 유명한 의전 절차를 읽을 수 있습니다. 우리 모두가 심판을 받습니다. 

It is Matthew, chapter 25. This is a key criterion of Christian authenticity (cf. Gal 2:10; EG, 195). Some mistakenly think that this preferential love for the poor is a task for the few, but in reality it is the mission of the Church as a whole, as Saint John Paul II said. (cf. St. John Paul II, Sollicitudo rei socialis, 42). “Each individual Christian and every community is called to be an instrument of God for the liberation and promotion of the poor society” (EG, 187).

그것은 마태오 복음 25장입니다. 이것이 크리스천의 진정성에 대한 기준입니다. (갈라티아 2,10, 복음의 기쁨 95 참조) 어떤 사람들은 가난한 사람들에 대한 이 우선적인 사랑이 몇 안 되는 사람들을 위한 것으로 잘못알고 있는데 실제로 그것은 성 요한바오로 2가 말씀한대로 교회 전체의 사명입니다. (성 요한바오로 2세 사회적 돌봄, 42 참조) “각 크리스천 개인과 모든 공동체는 가난한 사회의 해방과 증진을 위한 하느님의 도구가 되도록 부르심을 받았습니다.” (복음의 기쁨, 187) 

Faith, hope and love necessarily push us towards this preference for those most in need, 1[1] which goes beyond necessary assistance (cf. EG, 198). Indeed it implies walking together, letting ourselves be evangelised by them, who know the suffering Christ well, letting ourselves be “infected” by their experience of salvation, by their wisdom and by their creativity (see ibid). Sharing with the poor means mutual enrichment. And, if there are unhealthy social structures that prevent them from dreaming of the future, we must work together to heal them, to change them (see ibid, 195). And we are led to this by the love of Christ, Who loved us to the extreme (see Jn 13:1), and reaches the boundaries, the margins, the existential frontiers. Bringing the peripheries to the centre means focusing our life on Christ, Who “made Himself poor” for us, to enrich us “by His poverty” (2 Cor 8:9),2 as we have heard.

믿음, 희망, 사랑은 우리를 가장 어려운 사람들에 대한 필요한 도움을 뛰어넘는 이 선호로 우리를 재촉합니다. (복음의 기쁨 198 참조) 진정 그것은 그리스도의 고통을 잘 알고 있는 그들과 함께 걷는 것, 그들에 의해서 우리가 복음화 되는 것, 그들의 구원경험에 의해서, 그들의 지혜와 그들의 창의성에 의해서 우리가 “감염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복음의 기쁨 198 참조) 가난한 사람들과 나누는 것은 서로 풍요롭게 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들로 하여금 미래를 꿈꾸는 것을 막는 건강치 못한 사회구조들이 있다면 우리는 그것들을 치유하고 바꾸기 위해서 함께 일해야 합니다. (복음의 기쁨 195) 우리를 지극히 사랑하신 그리스도의 사랑에 의해 인도되어 변경으로, 가장자리로, 존재론적 변경에 도달합니다. (요한 13,1 참조) 가장자리를 중앙으로 가져오는 것은 우리의 삶의 초점을 그리스도께 맞추는 것입니다. 그리스도께서는 우리를 위해서 “자신을 가난하게 하시고,” “자신의 가난으로” 우리를 풍요롭게 하십니다. (코린토 2서 8,9)     

We are all worried about the social consequences of the pandemic. All of us. Many people want to return to normality and resume economic activities. Certainly, but this “normality” should not include social injustices and the degradation of the environment. The pandemic is a crisis, and we do not emerge from a crisis the same as before: either we come out of it better, or we come out of it worse. We must come out of it better, to counter social injustice and environmental damage. Today we have an opportunity to build something different. For example, we can nurture an economy of the integral development of the poor, and not of providing assistance. By this I do not wish to condemn assistance: aid is important. 

우리 모두는 전염병 대유행의 사회적 결과에 대해 걱정합니다. 우리 모두. 많은 사람들이 정상상태로 돌아가서 경제적 활동을 다시 시작하기를 원합니다. 그렇습니다. 그러나 이 “정상상태”가 사회적 불의와 환경악화를 포함해서는 안 됩니다. 전염병 대유행은 위기입니다. 그리고 우리는 위기에서 나올 때 전과 같은 상태가 아닙니다. 위기에서 더 좋은 상태로 나오거나 더 나쁜 상태로 나옵니다. 우리는 위기에서 더 좋은 상태로 나와서 사회적 불의와 환경훼손을 막아야 합니다. 오늘 우리는 무언가 다른 것을 발전시킬 기회를 가지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서 우리는 가난한 사람들을 위한 원조가 아닌 통합적인 경제발전을 육성할 수 있습니다. 제가 원조를 탓하는 것은 아닙니다. 원조는 중요합니다.

I am thinking of the voluntary sector, which is one of the best structures of the Italian Church. Yes, aid does this, but we must go beyond this, to resolve the problems that lead us to provide aid. An economy that does not resort to remedies that in fact poison society, such as profits not linked to the creation of dignified jobs (see EG, 204). This type of profit is dissociated from the real economy, that which should bring benefits to the common people (see Encyclical Laudato si’ [LS], 109), and in addition is at times indifferent to the damage inflicted to our common home.

저는 이태리 교회의 가장 좋은 조직 중의 하나인 자원봉사부분을 생각하고 있습니다. 그렇습니다. 원조는 이 일을 하지만 우리가 원조를 제공하도록 이끄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보다 더 나아가야 합니다. 존엄 한 일자리 창출과 관련이 없는 이윤과 같이 실제로 사회에 해를 끼치는 구제책에 의지하지 않는 경제. (복음의 기쁨 204 참조) 이러한 유형의 이윤은 일반인에게 이익을 가져다주어야 하는 실물 경제와 분리되어 있고, (찬미 받으소서, 109 참조) 또한 우리의 공동의 집에 가해지는 피해에 무관심합니다.

The preferential option for the poor, this ethical-social need that comes from God’s love (cf. LS, 158), inspires us to conceive of and design an economy where people, and especially the poorest, are at the centre. And it also encourages us to plan the treatment of viruses by prioritising those who are most in need. It would be sad if, for the vaccine for Covid-19, priority were to be given to the richest! It would be sad if this vaccine were to become the property of this nation or another, rather than universal and for all.

하느님의 사랑에서 오는 이 윤리적-사회적 필요인 (찬미 받으소서, 158 참조) 가난한 사람들에 대한 우선적 선택은 우리에게 사람들, 특히 가난한 사람들이 중심에 있는 경제를 구상하고 설계하도록 고무시킵니다. 또한 우리가 가장 도움이 필요한 사람들에게 우선적으로 바이러스 치료를 계획하도록 장려합니다. Covid-19의 백신이 가장 부자인 사람들에게 우선권이 주어진다면 슬픈 일입니다. 이 백신이 보편적이고 모두를 위한 것이 아니라 이 나라 또는 다른 나라의 재산이 된다면 슬픈 일이 될 것입니다.

And what a scandal it would be if all the economic assistance we are observing – most of it with public money – were to focus on rescuing those industries that do not contribute to the inclusion of the excluded, the promotion of the least, the common good or the care of creation (ibid.). There are criteria for choosing which industries should be helped: those which contribute to the inclusion of the excluded, to the promotion of the last, to the common good and the care of creation. Four criteria.

그리고 우리가 관찰하고 있는 모든 경제적 지원 - 대부분은 공적 자금으로 이루어지는 - 이 소외된 사람들, 가장 작은 사람들에 대한 증진, 공동선 또는 피조물의 보호를 포함하지 않으면 큰 스캔들일 것입니다. (찬미 받으소서. 158 참조) 어떤 산업이 도움을 받아야 하는지를 선택하는 기준이 있습니다. 소외된 사람들의 포함, 꼴찌들의 상승, 공동선과, 피조물의 돌봄의 4 가지에 기여하는 기업입니다.

If the virus were to intensify again in a world that is unjust to the poor and vulnerable, then we must change this world. Following the example of Jesus, the doctor of integral divine love, that is, of physical, social and spiritual healing (cf. Jn 5:6-9) – like the healing worked by Jesus – we must act now, to heal the epidemics caused by small, invisible viruses, and to heal those caused by the great and visible social injustices. I propose that this be done by starting from the love of God, placing the peripheries at the centre and the last in first place. Do not forget that protocol by which we will be judged, Matthew, chapter 25. Let us put it into practice in this recovery from the epidemic. And starting from this tangible love – as the Gospel says, there – anchored in hope and founded in faith, a healthier world will be possible.

가난하고 취약한 사람들에게 부당한 세상에서 바이러스 다시 심화된다면 우리는 이 세상을 바꿔야 합니다. 통합적인 하느님 사랑의 의사이신 즉 육체적, 사회적, 그리고 영적 치유를 하시는 예수님의 모범을 따라, (요한 5,6-9 참조) 예수님께서 하셨던 치유와 같이, 작고 보이지 않는 바이러스가 일으킨 전염병과 크고 눈에 보이는 사회적 불의가 일으킨 질병들을 치유하기 위해서 우리는 지금 행동해야 합니다. 저는 변두리를 중앙에 두고, 마지막을 첫 자리에 놓는 하느님의 사랑을 시작으로 이것을 수행할 것을 제안합니다. 마태오 복음 25장의 우리가 심판받는 의전절차를 잊지 마십시오. 이번의 전염병의 회복에 그것을 실천합시다. 이 손에 잡히는 사랑을 시작으로 - 복음에서 얘기한 것처럼 - 희망에 닻을 내리고 믿음에 기초를 둔 좀 더 건강한 세상이 가능합니다. 

Otherwise, we will come out of the crisis worse. May the Lord help us, and give us the strength to come out of it better, responding to the needs of today’s world. Thank you. See Congregation for the Doctrine of the Faith, Instruction on some aspects of “Liberation Theology”, (1984)

그렇지 않으면 우리는 위기에서 더 나쁜 상태로 나올 것입니다. 주님 오늘의 세상의 요구에 부응하여 저희가 더 좋은 상태로 나올 수 있도록 도와주시고 힘을 주소서. 감사합니다. (Congregation for the Doctrine of the Faith, Instruction on some aspects of “Liberation Theology”, (1984) 참조)

한글번역: 윤영학 아오스딩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