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황님의 교리(020.06.10)
최고관리자
2020.08.12 17:48
1,126
0
- - 짧은주소 : http://yscatholic.com/bbs/?t=1kJ
본문
The Holy Father’s Catechesis (General Audience on Jun 10, 2020)
Dear Brothers and Sisters, Good morning! Let us continue with our catechesis on the subject of prayer. The Book of Genesis, through the occurrences of men and women of a far off time, tells us stories that we can reflect on in our own lives. In the Patriarch Cycle, we also find that of a man who shrewdly developed his best talent: Jacob. The biblical account tells us about the difficult relationship Jacob had with his brother Esau. Ever since childhood, there was a rivalry between them, which was never overcome later on. Jacob is the second-born – they were twins – but through trickery he manages to obtain the blessing and birthright of their father Isaac (cf. Gen 25:19-34). It is only the first in a long series of ploys of which this unscrupulous man is capable. Even the name “Jacob” means someone who is cunning in his movements.
교황님의 교리 (일반접견 2020.06.10.)
친애하는 형제자매 여러분, 안녕하세요! 기도에 대한 교리를 이어갑시다. 창세기는 오래 전 사람들의 사건들을 통해 우리 자신의 삶에서 묵상할 수 있는 이야기들을 들려줍니다. 신앙성조들 중에 우리는 또한 자신의 최고의 재능을 재치 있게 발전시킨 한 사람을 발견하는데 그 사람은 야곱입니다. 성서 기록은 야곱이 형 에사우와 가졌던 어려운 관계를 얘기합니다. 어린 시절부터, 그들 사이에는 경쟁심이 있었고, 이후에도 그것을 극복하지 못했습니다. 그들은 쌍둥이였고, 야곱은 둘째였습니다. 하지만, 잔꾀로 야곱은 그들의 아버지 이사악의 축복과 맏아들 권리를 획득했습니다. (창세 25,19-34 참조) 이것은 이 부도덕한 야곱이 한 일련의 술책들 중 첫 번째 일이었을 뿐입니다. “야곱”이라는 이름조차, 행동이 교활한 사람을 의미합니다.
Forced to flee far from his brother, he seems to succeed in every undertaking in his life. He is adept at business: he greatly enriches himself, becoming the owner of an enormous flock. With tenacity and patience he manages to marry Laban’s most beautiful daughter, with whom he is truly in love. Jacob – as we would say in modern terms – is a “self-made” man; with his ingenuity, his cunning, he manages to obtain everything he wants. But he lacks something. He lacks a living relationship with his own roots.
형으로부터 멀리 도망쳐야 만 했던 야곱은 그의 삶의 모든 면에서 성공하는 것 같습니다. 그는 사업에 능숙했습니다. 그는 자신을 크게 풍요롭게 하고, 큰 양떼의 소유자가 됩니다. 끈기와 인내로, 그는 그가 진정으로 사랑하는 라반의 가장 아름다운 딸과 결혼합니다. 야곱은 시세말로 “자수성가”한 사람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기발함과 교활함으로, 야곱은 자신이 원하는 모든 것을 얻습니다. 그러나 그는 무언가가 부족합니다. 야곱은 그 자신의 뿌리와의 실제적인 관계성이 부족합니다.
And one day he hears the call of home, of his ancient homeland, where his brother Esau, with whom he has always had a terrible relationship, still lives. Jacob sets out, undertaking a long journey with a caravan of many people and animals, until he reaches the final step, the Jabbok stream. Here the Book of Genesis offers us a memorable page (cf. 32: 23-33). It describes that the patriarch, after having all of his people and all the livestock – and they were many – cross the stream, remains alone on the bank of the river on the foreign side. And he ponders: what awaits him the following day? What attitude will his brother Esau, from whom he stole his birthright, assume? Jacob’s mind is a whirlwind of thoughts…. And, as it is getting dark, suddenly a stranger grabs him and begins to wrestle with him. The Catechism explains: “the spiritual tradition of the Church has retained the symbol of prayer as a battle of faith and as the triumph of perseverance” (CCC, 2573).
그리고 어느 날, 야곱은 그와 늘 관계가 나빴던 그의 형 에사우가 아직 살아있는 그의 고향, 집으로부터의 부름을 듣습니다. 야곱은 짐을 꾸려 야뽁 강에 도착할 때까지 많은 사람들과 동물들과 함께 마차를 타고 긴 여정을 시작합니다. 여기서 창세기는 기억에 남는 페이지들을 제공하는데, (32,23-33 참조) 성조가 아주 많은 모든 사람들과 모든 가축들이 강을 건너게 한 후, 반대편 강둑에 혼자 남아 있는 것을 묘사합니다. 그는 생각합니다. 무엇이 나를 기다리고 있을까? 그가 장자권을 뺏은 형 에사우는 어떤 태도를 취할까? 야곱의 마음은 많은 생각으로 소용돌이를 칩니다.... 그리고, 날이 어두워지면서, 갑자기 낯선 사람이 그를 붙잡고, 그와 씨름을 하기 시작합니다. 가톨릭 교리는 이렇게 설명합니다. “교회의 영적 전승은 이 이야기를 기도의 상징으로, 곧 신앙의 싸움과 끈기의 승리로 이해해 왔다.” (가톨릭교회 교리서 2573)
Jacob wrestles the entire night, never letting go of his adversary. In the end he is beaten, his sciatic nerve is struck by his opponent, and thereafter he will walk with a limp for the rest of his life. That mysterious wrestler asks the patriarch for his name and tells him: “Your name shall no more be called Jacob, but Israel, for you have striven with God and with men, and have prevailed” (Gen 32:28). As if to say: you will never be the man who walks this way, straight. He changes his name, he changes his life, he changes his attitude. You will be called Israel. Then Jacob also asks the other: “Tell me, I pray, your name”. The other does not reveal it to him, but blesses him instead. Then Jacob understands he has encountered God “face to face.” (29-30 절)
야곱은 밤새도록 씨름하며, 상대방을 놓아주지 않습니다. 결국 야곱은 상대방에게 자신의 엉덩이뼈를 맞았고, 그 이후로 그는 여생 동안 절뚝거리게 됩니다. 그 신비로운 씨름꾼은 그 성조에게 이름을 묻고 이렇게 말합니다. “네가 하느님과 겨루고 사람들과 겨루어 이겼으니, 너의 이름은 이제 더 이상 야곱이 아니라 이스라엘이라 불릴 것이다.” (창세 32,28) 이것은 마치 이렇게 말하는 것 같습니다. 너는 앞으로 이대로 즉 똑바로 걷지 못할 것이다. 그는 그의 이름을 바꾸고, 그의 삶을 바꾸고, 그의 태도를 바꿉니다. 너는 이스라엘이라 불릴 것이다. 그리고 야곱 또한 그에게 묻습니다. “당신의 이름을 알려주십시오.” 그는 이름을 그에게 밝히지 않고 대신 그에게 복을 내려줍니다. 그리고 야곱은 그가 “서로 얼굴을 맞대고” 하느님을 뵌 것을 이해합니다. (32,29-30 참조)
Wrestling with God: a metaphor for prayer. Other times Jacob has shown himself able to dialogue with God, to sense Him as a friendly and close presence. But that night, through a lengthy struggle that nearly makes him succumb, the patriarch emerges changed. A change of name, a change in his way of life and a personality change: he comes out of it a changed man. For once he is no longer master of the situation – his cunning is no use to him – he is no longer a strategic and calculating man. God returns him to his truth as a mortal man who trembles and fears, because in the struggle, Jacob was afraid. For once Jacob has only his frailty and powerlessness, and also his sins, to present to God.
하느님과의 씨름, 기도의 은유입니다. 다른 때에 야곱은 자신이 하느님과 대화할 수 있고, 그분을 다정하고 가까운 존재로 느낄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습니다. 그러나 그날 밤, 그를 거의 굴복시킨 긴 싸움을 통해, 성조는 변화합니다. 이름의 변화, 삶의 방식의 변화, 성격의 변화로 그는 바뀐 사람이 됩니다. 처음으로, 그는 더 이상 상황을 주도하지 않습니다. 그의 교활함은 그에게 쓸모가 없습니다. 그는 더 이상 책략적이고 계산적인 사람이 아닙니다. 하느님께서 그를 그의 실제 즉 유한한 사람으로 돌려놓으십니다. 불안해하고 두려워합니다. 씨름에서 야곱은 두려웠기 때문입니다. 처음으로, 야곱은 하느님께 드릴 연약함, 무력함 그리고 죄만 가지게 됩니다.
And it is this Jacob who receives God’s blessing, with which he limps into the promised land: vulnerable and wounded, but with a new heart. Once I heard an elderly man – a good man, a good Christian, but a sinner who had great trust in God – who said: “God will help me; He will not leave me alone. I will enter Heaven; limping, but I will enter”. First he was a self-assured man; he trusted in his own shrewdness. He was a man impervious to grace, immune to mercy; he did not know what mercy was. “Here I am, I am in command!”. He did not think he was in need of mercy. But God saved what had been lost. He made him understand that he was limited, that he was a sinner who was in need of mercy, and He saved him.
그리고 이 야곱은 하느님의 축복을 받고 약속의 땅으로 절뚝거리며 들어갑니다. 마음은 취약하고 상처받았지만 새로워졌습니다. 일전에 저는 한 노인 - 착한 사람이고, 좋은 크리스천이고, 하느님께 대한 신앙심이 깊은 죄인 - 이 이렇게 말하는 것을 들었습니다. “하느님께서 저를 도와주실 것입니다. 그분은 저를 홀로 남겨두지 않으실 것입니다. 저는 하늘나라에 들어갈 것입니다. 절뚝거리겠지만 들어갈 것입니다.” 우선, 그는 자기 확신에 찬 이었습니다. 그는 자신의 약삭빠름을 믿었습니다. 그는 은총에 둔감하고 자비에 무딘 사람이었습니다. 그는 자비가 무엇인지 몰랐습니다. “제가 여기에 있습니다. 제가 명령합니다!” 그는 자비가 필요하다고 생각하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하느님께서 잃어버린 것을 돌려주셨습니다. 그분께서는 그가 한계가 있다는 것을, 자비를 필요로 하는 죄인이라는 것을 이해하게 하셨고, 그를 구원하셨습니다.
We all have an appointment during the night with God, in the night of our life, in the many nights of our life: dark moments, moments of sin, moments of disorientation. And there we have an appointment with God, always. He will surprise us at the moment we least expect, when we find ourselves truly alone. That same night, struggling against the unknown, we will realise that we are only poor men and women – “poor things”, I dare say – but right then, in that moment in which we feel we are “poor things”, we need not fear: because God will give us a new name, which contains the meaning of our entire life; He will change our heart and He will offer us the blessing reserved to those who have allowed themselves to be changed by Him. This is a beautiful invitation to let ourselves be changed by God. He knows how to do it, because He knows each one of us. “Lord, You know me”, every one of us might say. “Lord, You know me. Change me”.
우리 모두는 밤에, 우리 삶의 밤, 우리 삶의 많은 밤에 즉 어두운 순간들, 죄의 순간들, 혼란의 순간들에 하느님과의 약속이 있습니다. 거기에 하느님과의 약속이 항상 있습니다. 하느님께서 우리가 전혀 생각지 않은 순간에, 우리가 진정 혼자라고 생각할 때 우리를 놀라게 하십니다. 그 같은 밤에 알지 못하는 무엇과 싸우고 있을 때 우리는 우리가 단지 불쌍한 사람이라는 것 - “불쌍한 미물”, 제가 감히 말씀드리는데 - 이라는 것을 알게 될 것입니다. 그러나 우리가 “불쌍한 미물”이라고 느끼는 순간에, 우리는 두려워할 필요가 없습니다. 하느님께서 우리에게 우리의 전 삶의 의미를 담은 새로운 이름을 주실 것이기 때문입니다. 하느님께서 우리의 마음을 변화시키시고, 우리에게 자신을 하느님께서 변화시키시도록 맡긴 사람들에게 예약된 복을 주실 것입니다. 이것이 우리자신을 하느님께서 변화시키시도록 맡기는 아름다운 초대입니다. 하느님께서는 우리 각자를 아시기 때문에 어떻게 하실지 아십니다. 우리 모두가 이렇게 말씀드립니다. “주님, 당신은 저를 아십니다. 주님, 당신은 저를 아십니다. 저를 변화시켜주십시오.”
[Original text: Italian] [ZENIT’s translation by Virginia M. Forrester]
한글번역: 황민영 줄리아
Dear Brothers and Sisters, Good morning! Let us continue with our catechesis on the subject of prayer. The Book of Genesis, through the occurrences of men and women of a far off time, tells us stories that we can reflect on in our own lives. In the Patriarch Cycle, we also find that of a man who shrewdly developed his best talent: Jacob. The biblical account tells us about the difficult relationship Jacob had with his brother Esau. Ever since childhood, there was a rivalry between them, which was never overcome later on. Jacob is the second-born – they were twins – but through trickery he manages to obtain the blessing and birthright of their father Isaac (cf. Gen 25:19-34). It is only the first in a long series of ploys of which this unscrupulous man is capable. Even the name “Jacob” means someone who is cunning in his movements.
교황님의 교리 (일반접견 2020.06.10.)
친애하는 형제자매 여러분, 안녕하세요! 기도에 대한 교리를 이어갑시다. 창세기는 오래 전 사람들의 사건들을 통해 우리 자신의 삶에서 묵상할 수 있는 이야기들을 들려줍니다. 신앙성조들 중에 우리는 또한 자신의 최고의 재능을 재치 있게 발전시킨 한 사람을 발견하는데 그 사람은 야곱입니다. 성서 기록은 야곱이 형 에사우와 가졌던 어려운 관계를 얘기합니다. 어린 시절부터, 그들 사이에는 경쟁심이 있었고, 이후에도 그것을 극복하지 못했습니다. 그들은 쌍둥이였고, 야곱은 둘째였습니다. 하지만, 잔꾀로 야곱은 그들의 아버지 이사악의 축복과 맏아들 권리를 획득했습니다. (창세 25,19-34 참조) 이것은 이 부도덕한 야곱이 한 일련의 술책들 중 첫 번째 일이었을 뿐입니다. “야곱”이라는 이름조차, 행동이 교활한 사람을 의미합니다.
Forced to flee far from his brother, he seems to succeed in every undertaking in his life. He is adept at business: he greatly enriches himself, becoming the owner of an enormous flock. With tenacity and patience he manages to marry Laban’s most beautiful daughter, with whom he is truly in love. Jacob – as we would say in modern terms – is a “self-made” man; with his ingenuity, his cunning, he manages to obtain everything he wants. But he lacks something. He lacks a living relationship with his own roots.
형으로부터 멀리 도망쳐야 만 했던 야곱은 그의 삶의 모든 면에서 성공하는 것 같습니다. 그는 사업에 능숙했습니다. 그는 자신을 크게 풍요롭게 하고, 큰 양떼의 소유자가 됩니다. 끈기와 인내로, 그는 그가 진정으로 사랑하는 라반의 가장 아름다운 딸과 결혼합니다. 야곱은 시세말로 “자수성가”한 사람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기발함과 교활함으로, 야곱은 자신이 원하는 모든 것을 얻습니다. 그러나 그는 무언가가 부족합니다. 야곱은 그 자신의 뿌리와의 실제적인 관계성이 부족합니다.
And one day he hears the call of home, of his ancient homeland, where his brother Esau, with whom he has always had a terrible relationship, still lives. Jacob sets out, undertaking a long journey with a caravan of many people and animals, until he reaches the final step, the Jabbok stream. Here the Book of Genesis offers us a memorable page (cf. 32: 23-33). It describes that the patriarch, after having all of his people and all the livestock – and they were many – cross the stream, remains alone on the bank of the river on the foreign side. And he ponders: what awaits him the following day? What attitude will his brother Esau, from whom he stole his birthright, assume? Jacob’s mind is a whirlwind of thoughts…. And, as it is getting dark, suddenly a stranger grabs him and begins to wrestle with him. The Catechism explains: “the spiritual tradition of the Church has retained the symbol of prayer as a battle of faith and as the triumph of perseverance” (CCC, 2573).
그리고 어느 날, 야곱은 그와 늘 관계가 나빴던 그의 형 에사우가 아직 살아있는 그의 고향, 집으로부터의 부름을 듣습니다. 야곱은 짐을 꾸려 야뽁 강에 도착할 때까지 많은 사람들과 동물들과 함께 마차를 타고 긴 여정을 시작합니다. 여기서 창세기는 기억에 남는 페이지들을 제공하는데, (32,23-33 참조) 성조가 아주 많은 모든 사람들과 모든 가축들이 강을 건너게 한 후, 반대편 강둑에 혼자 남아 있는 것을 묘사합니다. 그는 생각합니다. 무엇이 나를 기다리고 있을까? 그가 장자권을 뺏은 형 에사우는 어떤 태도를 취할까? 야곱의 마음은 많은 생각으로 소용돌이를 칩니다.... 그리고, 날이 어두워지면서, 갑자기 낯선 사람이 그를 붙잡고, 그와 씨름을 하기 시작합니다. 가톨릭 교리는 이렇게 설명합니다. “교회의 영적 전승은 이 이야기를 기도의 상징으로, 곧 신앙의 싸움과 끈기의 승리로 이해해 왔다.” (가톨릭교회 교리서 2573)
Jacob wrestles the entire night, never letting go of his adversary. In the end he is beaten, his sciatic nerve is struck by his opponent, and thereafter he will walk with a limp for the rest of his life. That mysterious wrestler asks the patriarch for his name and tells him: “Your name shall no more be called Jacob, but Israel, for you have striven with God and with men, and have prevailed” (Gen 32:28). As if to say: you will never be the man who walks this way, straight. He changes his name, he changes his life, he changes his attitude. You will be called Israel. Then Jacob also asks the other: “Tell me, I pray, your name”. The other does not reveal it to him, but blesses him instead. Then Jacob understands he has encountered God “face to face.” (29-30 절)
야곱은 밤새도록 씨름하며, 상대방을 놓아주지 않습니다. 결국 야곱은 상대방에게 자신의 엉덩이뼈를 맞았고, 그 이후로 그는 여생 동안 절뚝거리게 됩니다. 그 신비로운 씨름꾼은 그 성조에게 이름을 묻고 이렇게 말합니다. “네가 하느님과 겨루고 사람들과 겨루어 이겼으니, 너의 이름은 이제 더 이상 야곱이 아니라 이스라엘이라 불릴 것이다.” (창세 32,28) 이것은 마치 이렇게 말하는 것 같습니다. 너는 앞으로 이대로 즉 똑바로 걷지 못할 것이다. 그는 그의 이름을 바꾸고, 그의 삶을 바꾸고, 그의 태도를 바꿉니다. 너는 이스라엘이라 불릴 것이다. 그리고 야곱 또한 그에게 묻습니다. “당신의 이름을 알려주십시오.” 그는 이름을 그에게 밝히지 않고 대신 그에게 복을 내려줍니다. 그리고 야곱은 그가 “서로 얼굴을 맞대고” 하느님을 뵌 것을 이해합니다. (32,29-30 참조)
Wrestling with God: a metaphor for prayer. Other times Jacob has shown himself able to dialogue with God, to sense Him as a friendly and close presence. But that night, through a lengthy struggle that nearly makes him succumb, the patriarch emerges changed. A change of name, a change in his way of life and a personality change: he comes out of it a changed man. For once he is no longer master of the situation – his cunning is no use to him – he is no longer a strategic and calculating man. God returns him to his truth as a mortal man who trembles and fears, because in the struggle, Jacob was afraid. For once Jacob has only his frailty and powerlessness, and also his sins, to present to God.
하느님과의 씨름, 기도의 은유입니다. 다른 때에 야곱은 자신이 하느님과 대화할 수 있고, 그분을 다정하고 가까운 존재로 느낄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습니다. 그러나 그날 밤, 그를 거의 굴복시킨 긴 싸움을 통해, 성조는 변화합니다. 이름의 변화, 삶의 방식의 변화, 성격의 변화로 그는 바뀐 사람이 됩니다. 처음으로, 그는 더 이상 상황을 주도하지 않습니다. 그의 교활함은 그에게 쓸모가 없습니다. 그는 더 이상 책략적이고 계산적인 사람이 아닙니다. 하느님께서 그를 그의 실제 즉 유한한 사람으로 돌려놓으십니다. 불안해하고 두려워합니다. 씨름에서 야곱은 두려웠기 때문입니다. 처음으로, 야곱은 하느님께 드릴 연약함, 무력함 그리고 죄만 가지게 됩니다.
And it is this Jacob who receives God’s blessing, with which he limps into the promised land: vulnerable and wounded, but with a new heart. Once I heard an elderly man – a good man, a good Christian, but a sinner who had great trust in God – who said: “God will help me; He will not leave me alone. I will enter Heaven; limping, but I will enter”. First he was a self-assured man; he trusted in his own shrewdness. He was a man impervious to grace, immune to mercy; he did not know what mercy was. “Here I am, I am in command!”. He did not think he was in need of mercy. But God saved what had been lost. He made him understand that he was limited, that he was a sinner who was in need of mercy, and He saved him.
그리고 이 야곱은 하느님의 축복을 받고 약속의 땅으로 절뚝거리며 들어갑니다. 마음은 취약하고 상처받았지만 새로워졌습니다. 일전에 저는 한 노인 - 착한 사람이고, 좋은 크리스천이고, 하느님께 대한 신앙심이 깊은 죄인 - 이 이렇게 말하는 것을 들었습니다. “하느님께서 저를 도와주실 것입니다. 그분은 저를 홀로 남겨두지 않으실 것입니다. 저는 하늘나라에 들어갈 것입니다. 절뚝거리겠지만 들어갈 것입니다.” 우선, 그는 자기 확신에 찬 이었습니다. 그는 자신의 약삭빠름을 믿었습니다. 그는 은총에 둔감하고 자비에 무딘 사람이었습니다. 그는 자비가 무엇인지 몰랐습니다. “제가 여기에 있습니다. 제가 명령합니다!” 그는 자비가 필요하다고 생각하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하느님께서 잃어버린 것을 돌려주셨습니다. 그분께서는 그가 한계가 있다는 것을, 자비를 필요로 하는 죄인이라는 것을 이해하게 하셨고, 그를 구원하셨습니다.
We all have an appointment during the night with God, in the night of our life, in the many nights of our life: dark moments, moments of sin, moments of disorientation. And there we have an appointment with God, always. He will surprise us at the moment we least expect, when we find ourselves truly alone. That same night, struggling against the unknown, we will realise that we are only poor men and women – “poor things”, I dare say – but right then, in that moment in which we feel we are “poor things”, we need not fear: because God will give us a new name, which contains the meaning of our entire life; He will change our heart and He will offer us the blessing reserved to those who have allowed themselves to be changed by Him. This is a beautiful invitation to let ourselves be changed by God. He knows how to do it, because He knows each one of us. “Lord, You know me”, every one of us might say. “Lord, You know me. Change me”.
우리 모두는 밤에, 우리 삶의 밤, 우리 삶의 많은 밤에 즉 어두운 순간들, 죄의 순간들, 혼란의 순간들에 하느님과의 약속이 있습니다. 거기에 하느님과의 약속이 항상 있습니다. 하느님께서 우리가 전혀 생각지 않은 순간에, 우리가 진정 혼자라고 생각할 때 우리를 놀라게 하십니다. 그 같은 밤에 알지 못하는 무엇과 싸우고 있을 때 우리는 우리가 단지 불쌍한 사람이라는 것 - “불쌍한 미물”, 제가 감히 말씀드리는데 - 이라는 것을 알게 될 것입니다. 그러나 우리가 “불쌍한 미물”이라고 느끼는 순간에, 우리는 두려워할 필요가 없습니다. 하느님께서 우리에게 우리의 전 삶의 의미를 담은 새로운 이름을 주실 것이기 때문입니다. 하느님께서 우리의 마음을 변화시키시고, 우리에게 자신을 하느님께서 변화시키시도록 맡긴 사람들에게 예약된 복을 주실 것입니다. 이것이 우리자신을 하느님께서 변화시키시도록 맡기는 아름다운 초대입니다. 하느님께서는 우리 각자를 아시기 때문에 어떻게 하실지 아십니다. 우리 모두가 이렇게 말씀드립니다. “주님, 당신은 저를 아십니다. 주님, 당신은 저를 아십니다. 저를 변화시켜주십시오.”
[Original text: Italian] [ZENIT’s translation by Virginia M. Forrester]
한글번역: 황민영 줄리아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