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성경묵상

영어성경묵상

교황님의 교리(2020.04.15)

최고관리자
2020.05.10 17:01 275 0

본문

The Holy Father’s Catechesis (General Audience on Apr 15, 2020)

Dear Brothers and Sisters, good morning! Today’s catechesis is dedicated to the seventh Beatitude, that of the “peacemakers,” who are proclaimed sons of God. I rejoice that it happens immediately after Easter, because the peace of Christ is the fruit of his Death and Resurrection, as we heard in the Letter of Saint Paul.

교황님의 교리 (일반접견 2020.04.15.)

친애하는 형제자매 여러분, 안녕하세요! 오늘의 교리는 일곱 번째 참행복, 하느님의 자녀라 선포된 “평화를 이루는 사람들”에 대한 것입니다. 성 바오로의 서간에서 들었듯이, 그리스도의 평화는 그분의 죽음과 부활의 열매이기 때문에, 저는 이번 교리를 부활절 직후에 하게 되어 기쁩니다.

To understand this Beatitude it’s necessary to explain the meaning of the word “peace,” which can be misunderstood or sometimes trivialized. We must orient ourselves between two ideas of peace: the first is the biblical, where the beautiful word shalom appears, which expresses abundance, prosperity, and wellbeing. When in Hebrew one wishes shalom, one wishes a good life, full, prosperous but also in keeping with truth and justice, which will have fulfillment in the Messiah, Prince of Peace (Cf. Isaiah 9:6; Micah 5:4-5).

이 참행복을 이해하려면, 잘못 이해될 수 있고, 종종 평가절하되기도 하는 “평화”라는 단어의 의미를 설명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우리는 평화에 대한 두 가지 생각 사이에서 우리의 위치를 찾아야 합니다. 첫 번째는 성경적인 의미로, 아름다운 단어인 샬롬과 관련되는데, 이 단어는 풍요로움과 번영, 안녕을 표현합니다. 히브리어로 누군가가 샬롬을 바란다는 것은 그 사람이 선한 삶, 충만함, 번영을 원하고, 또한 그러면서도 진리와 정의를 지키는 삶을 원합니다. 그런 삶은 평화의 왕자이신 메시아에 의해 실현될 것입니다. (cf. 이사 9,6; 미카 5,4-5)

There is, then, the other meaning, more widespread, of the word “peace,” which is understood as a sort of inner tranquillity: I am tranquil, I am in peace. This is a modern idea, psychological and more suggestive. One thinks commonly that peace is quiet, harmony and internal balance. This meaning of the word “peace” is incomplete and can’t be absolutized, because in life restlessness can be an important moment of growth. Often it’s the Lord Himself who sows restlessness in us, to go to encounter Him, to meet Him. In this sense, it’s an important moment of growth; whereas, it can happen that interior tranquillity corresponds to a domesticated conscience and not to a true spiritual redemption. Many times the Lord must be a “sign of contradiction” (Cf. Luke 2:43-35), shaking our false securities, to lead us to salvation. And in that moment it seems there is no peace but it is the Lord who puts us on this way, to arrive at the peace that He Himself will give us.

그리고, 또 좀 더 알려진 평화의 다른 의미가 있는데, 일종의 내적 평화로 이해됩니다. 저는 고요합니다, 저는 평화 안에 있습니다. 이것은 현대적인 생각으로, 심리학적이고 보다 제안적입니다. 우리는 보통 평화를 고요하고, 조화로우며 내적 균형에 해당하는 것으로 생각합니다. ‘평화’라는 단어의 이 의미는 불완전하고, 절대화 될 수 없습니다. 왜냐하면 삶에서의 동요는 성장의 중요한 순간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종종 동요를 우리 안에 심으시는 분이 주님 자신이십니다. 가서 주님을 대면하고 만나게 하십니다. 이런 의미에서, 그것은 중요한 성장의 순간입니다. 반면에, 내적 평온함은 길들여진 양심에 상응하고, 진정한 영적 구원에 연관이 없을 수 있습니다. 많은 경우, 주님께서는 “상충의 표징” (cf. 루카 2,34-35) 으로서 우리의 거짓된 안정감을 흔드시고, 우리를 구원으로 이끄십니다. 그리고 그 순간에 평화가 없는 것처럼 보이지만 우리를 이 길로 이끄시어 그분 자신이 주실 평화에 도달하게 하시는 분이 주님이십니다.

At this point we must remember that the Lord understands His peace as different from human <peace>, from that of the world, when He says: ”Peace I leave you; my peace I give to you; not as the world gives do I give to you” (John 14:27). Jesus’ peace is another peace, different from worldly peace. We ask ourselves: how does the world give peace? If we think of warlike conflicts — wars normally end in two ways: either the defeat of one of the sides or with peace treaties. We can only hope and pray that this second way is always entered into; however, we must consider that history is an infinite series of peace treaties by successive wars, or by the metamorphosis of those same wars in other ways and in other places. In our time also, a piecemeal” war is being fought on more scenarios and in different ways.[1] We must at least suspect that in the framework of a globalization made up especially of economic and financial interests, the “peace” of some corresponds to the “war” of others.  And this isn’t Christ’s peace!

이 시점에서, 주님께서는 그분의 평화를 인간의 <평화>, 세상의 평화와 다르게 이해하신다는 것을 기억해야 합니다. “나는 너희에게 평화를 남기고 간다. 내 평화를 너희에게 준다. 내가 주는 평화는 세상이 주는 평화와 같지 않다”(요한 14,27) 라고 말씀하십니다. 예수님의 평화는 다른 평화로서 세상적 평화와 다릅니다. 우리는 우리자신에게 묻습니다. 세상은 어떻게 평화를 줍니까? 전쟁과 같은 갈등을 생각해보면, 전쟁은 보통 두 가지 방식으로 끝나는데, 한쪽이 패배하거나 평화조약을 맺어 끝납니다. 우리는 이 두 번째 방식으로 늘 마무리되기만을 희망하고 기도합니다. 하지만, 우리는 역사가 평화조약의 무한한 연속이라는 것을 생각해야 합니다. 평화조약은 이어지는 전쟁으로 부인되거나, 같은 전쟁이 모양만 바꾸어 다른 방식으로 다른 장소에서 일어납니다. 우리의 시대에도 또한, “단편적”인 전쟁이 더 많은 이유로 다른 방식으로 일어나고 있습니다. 우리는 적어도, 특별히 경제적 재정적 이익 때문에 만들어진 세계화의 틀 안에서 어떤 사람들의 “평화”는 다른 사람들의 “전쟁”에 상응한다는 것을 의심해야 합니다. 그리고 이것은, 그리스도의 평화가 아닙니다!

Instead, how does the Lord Jesus give His peace? We heard Saint Paul say that the peace of Christ is “to make of two, one” (Cf. Ephesians 2:14), to cancel enmity and reconcile. And the way to fulfill this work of peace is His body. In fact, He reconciles all things and puts peace with the Blood of His Cross, as the same Apostle says elsewhere (Cf. Colossians 1:20). And here I ask myself, we can all ask ourselves: who are, then, the “peacemakers”? The seventh Beatitude is the most active, explicitly operative. The verbal expression is analogous to that used in the first verse of the Bible for creation and it indicates initiative and laboriousness. By its nature love is creative — love is always creative — and seeks reconciliation at all cost. Those are called sons of God who have learned the art of peace and exercise it; they know that there is no reconciliation without giving one’s life, and that peace is always sought no matter what. Don’t forget this! It’s sought thus. This isn’t an autonomous work, fruit of one’s own capabilities; it’s a manifestation of grace received from Christ, who is our peace, who has rendered us sons of God.

반면, 우리 주 예수님께서는 그분의 평화를 어떻게 주십니까? 우리는 성 바오로가 그리스도의 평화는 “두 개로 나누어진 것을 하나로 만드시는 것” (cf. 에페 2,14)이고 미움을 없애고 화해를 이루는 것이라고 말하는 것을 들었습니다. 그리고 이 평화의 작업을 실현시키는 길은 그분의 몸입니다. 사실, 성 바오로가 다른 곳에서도 말하듯이 (cf. 콜로 1,20), 그분은 그분의 십자가의 피로써 모든 것을 화해시키시고, 평화롭게 하십니다. 그리고 여기에서 저는 저에게 묻습니다. 우리 모두는 우리 자신에게 물을 수 있습니다. 그러면, ‘평화를 이루는 이’는 누구입니까? 일곱 번째 참행복은 가장 활동적이고 명시적으로 적용 가능합니다. 이 언어적 표현은 창조에 대한 성경 말씀의 첫 번째 구절에서 사용된 것과 유사하고, 이것은 솔선과 수고를 가리킵니다. 본성적으로, 사랑은 창조적입니다. 사랑은 늘 창조적입니다. 그리고 모든 수단을 써서 화해를 추구합니다. 평화의 예술을 배워서 그것을 실천하는 사람들은 하느님의 자녀들이라고 불립니다. 이들은 자신의 생명을 내어주지 않고서는 화해가 없다는 것과 평화는 어떤 경우에도 항상 추구된다는 것을 압니다. 이것을 잊지 마십시오! 그것은 추구됩니다. 그렇게 추구됩니다. 이것은 자동적 작업이 아니고 한 사람 자신의 능력의 열매입니다. 그것은 우리의 평화이신 그리스도로부터 받은 은총의 표시입니다. 그리스도께서는 우리를 하느님의 자녀로 삼으셨습니다.

True shalom and true interior balance flow from Christ’s peace, which comes from His Cross and generates a new humanity, embodied in an infinite array of men and women Saints, inventive, creative, who always thought of new ways to love –, the men and women Saints that make peace. This life of sons of God, which by the Blood of Christ our brothers seek and discover, is true happiness. Blessed are those that go on this way. And again, happy Easter to all, in the peace of Christ!

진정한 샬롬과 진정한 내적 균형은 그리스도의 평화로부터 흘러나옵니다. 그리스도의 십자가로부터 온 그리스도의 평화는 새로운 인류를 일으키고, 독창적이고 창의적인 수많은 남녀 성인들 안에서 구체화됩니다. 성인들은 항상 새로운 사랑의 방법을 생각했습니다. 평화를 이루는 남녀 성인들입니다. 그리스도의 피로 우리 형제들이 추구하고 발견한 하느님 자녀들의 이 삶이 진정한 행복입니다. 행복하여라 이 길을 가는 사람들. 다시 한 번 모든 분들께 그리스도의 평화 안에서 행복한 부활절을 맞으시길 빕니다.

[Original text: Italian] [ZENIT’s translation by Virginia M. Forrester]

한글번역: 황민영 줄리아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