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성경묵상

영어성경묵상

교황님의 교리(2020.03.18)

최고관리자
2020.04.13 12:23 302 0

본문

The Holy Father’s Catechesis (General Audience on Mar 18, 2020)

Dear Brothers and Sisters, good morning! Today we pause on the <seventh> Beatitude, which says: “Blessed are the merciful, for they shall obtain mercy” (Matthew 5:7). There is a particularity in this Beatitude: it’s the only one in which the cause and fruit of happiness coincide: mercy; those that exercise mercy will find mercy; they will be “mercied.”

교황님의 교리 (일반접견 2020.03.18.)

친애하는 형제자매 여러분, 안녕하세요! 오늘은 일곱 번째 참행복에서 잠시 멈추어보겠습니다. “행복하여라, 자비로운 사람들! 그들은 자비를 입을 것이다”(마태 5,7). 이 참행복에는 특별함이 있습니다. 이 참행복에서만 행복의 원인과 열매가 자비로 일치합니다. 자비를 실천하는 사람들은, 자비를 찾을 것입니다. 자비를 “입을 것입니다”.

This theme of mutual forgiveness isn’t present only in this Beatitude, but is recurrent in the Gospel. And how could it be otherwise? Mercy is the heart itself of God! Jesus says: “Judge not, and you will not be judged; condemn not, and you will not be condemned; forgive, and you will be forgiven” (Luke 6:37) — always the same reciprocity. And James’ Letter affirms that mercy “triumphs over judgment” (2:13).

이 상호 용서의 주제는 이 참행복에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고, 복음에서 반복됩니다. 어떻게 그렇지 않을 수 있겠습니까? 자비는 하느님의 가슴 그 자체입니다. 예수님께서 말씀하십니다. “남을 심판하지 마라. 그러면 너희도 심판받지 않을 것이다. 남을 단죄하지 마라. 그러면 너희도 단죄 받지 않을 것이다. 용서하여라. 그러면 너희도 용서받을 것이다”(루카 6,37) – 늘 동일한 상호간 호혜입니다. 야고보의 서간은 이러한 자비를 확인시켜줍니다. “자비는 심판을 이깁니다” (야고 2,13)

However, above all, it’s in the Our Father that we pray: “Forgive us our debts, as we also have forgiven our debtors” (Matthew 6:12); and this question is the only one resumed at the end: “For if you forgive men their trespasses, your heavenly Father also will forgive you; but if you do not forgive men their trespasses, neither will your Father forgive your trespasses” (Matthew 6:14-15; Cf.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CCC), 2838). There are two things that can’t be separated: the forgiveness given and the forgiveness received. However, so many people are in difficulty, they are unable to forgive. So many times the harm received is so great that to succeed in forgiving seems like climbing a very high mountain: an enormous effort; and one thinks it can’t be done, this can’t be done. On our own, we can’t, we need God’s grace, we must ask for it. In fact, if the seventh Beatitude promises to find mercy and in the Our Father we ask for the remission of debts, it means that we are essentially debtors and we are in need of finding mercy!

그러나, 무엇보다, 우리가 드리는 주님의 기도에 그것이 있습니다. “저희에게 잘못한 이를 저희도 용서하였듯이 저희 잘못을 용서하소서” (마태 6,12). 그리고 이 문제는 유일하게 마지막에 되풀이 됩니다. “너희가 다른 사람들의 허물을 용서하면, 하늘의 너희 아버지께서도 너희를 용서하실 것이다. 그러나 너희가 다른 사람들을 용서하지 않으면, 아버지께서도 너희의 허물을 용서하지 않으실 것이다” (마태 6,14-15; cf.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CCC) 2838). 분리될 수 없는 두 가지가 있습니다. 용서를 주는 것과 용서를 받는 것입니다. 그러나, 너무 많은 이들이 어려워합니다. 그들은 용서하지 못합니다. 수많은 경우 받은 피해가 너무 커서, 용서하는 것이 무척 높은 산에 오르는 것과 같습니다. 무척 큰 노력이 필요합니다. 그래서 사람들은 불가능하다고, 불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 우리의 힘으로 우리는 할 수 없습니다. 하느님의 은총이 필요합니다. 그것을 간청해야 합니다. 사실, 일곱 번 째 참행복에서  자비를 약속하고, 주님의 기도에서 우리가 잘못을 용서해주실 것을 간청한다면, 그것은 우리가 근본적으로 채무자들이고 자비를 찾을 필요가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We are all debtors — all — to God, who is so generous, and to brothers. Every person knows that they are not the father or the mother that they should be, the husband or the wife, the brother or the sister that they should be. We are all “in deficit” in life. And we are in need of mercy. We know that we also have done wrong; something is always lacking of the good we should have done.

우리는 모두 채무자들입니다 - 모두 - 하느님께. 너그러우신 하느님께 그리고 형제들에게 빚을 지고 있습니다. 모든 이들이 아버지로서, 어머니로서, 그리고 남편으로서, 아내로서, 또한 형제로서, 자매로서, 부족하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우리는 모두 “적자” 인생입니다. 그래서 자비를 필요로 합니다. 우리는 또한 잘못한 것을 알고 있습니다. 우리가 행했어야 할 선에서 늘 부족했던 것을 알고 있습니다.

However, precisely this poverty of ours becomes the strength to forgive! We are debtors and if, as we heard at the beginning, we will be measured with the measure with which we measure others (Cf. Luke 6:39), then we should enlarge the measure and remit debts, forgive. Everyone must remember that they are in need of forgiveness, to have need of forgiveness, to have need of patience; this is the secret of mercy: by forgiving one is forgiven. Thus God precedes us and forgives us first (Cf. Romans 5:8). By receiving His forgiveness we become capable in turn to forgive. So our own misery and our own lack of justice become occasions to open oneself to the Kingdom of Heaven, to a greater measure, God’s measure, which is mercy.

그러나, 정확히 우리의 이 빈곤이 용서의 힘이 됩니다! 우리는 채무자들이고, 처음에 들었듯이, 우리가 타인을 재는 척도로 우리가 받는다면 (cf. 루카 6,39), 우리는 그 척도를 크게 하고 빚을 탕감해주고, 용서해야 합니다. 모든 사람들이 용서를 받을 필요가 있고, 용서를 할 필요가 있고, 인내가 필요하다는 것을 기억해야 합니다. 이것이 자비의 비밀입니다. 용서함으로써, 용서를 받습니다. 그래서 하느님께서 우리를 앞서 먼저 우리를 용서하십니다. (로마 5,8 참조) 그분의 용서를 받음으로써 우리는 용서할 수 있게 됩니다. 그러므로 우리 자신의 불행과 우리 자신의 정의의 결여가 하느님 나라에, 더 큰 척도에, 자비인 하느님의 척도에 우리 자신을 여는 계기가 됩니다.

From where is our mercy born? Jesus has said to us: “Be merciful, as your Father is merciful” (Luke 6:36). The more the Father’s love is received, the more one loves (Cf. CCC, 2842). Mercy isn’t a dimension among others, but is the center of Christian life: there is no Christianity without mercy.[1] If all our Christianity doesn’t lead us to mercy, we have mistaken the way, because mercy is the only true end of every spiritual journey. It’s one of the most beautiful fruits of charity (Cf. CCC, 1829).

우리의 자비는 어디에서 생깁니까? 예수님께서 저희에게 말씀하셨습니다. “너희 아버지께서 자비하신 것처럼 너희도 자비로운 사람이 되어라” (루카 6,36). 아버지의 사랑을 많이 받을수록, 더 많이 사랑합니다. (cf. CCC, 2842, 가톨릭 교회 교리서) 자비는 여럿 가운데에 있는 차원이 아니고, 그리스도인 삶의 중심입니다. 자비 없는 기독교는 없습니다. 만약 우리의 기독교가 우리를 자비로 인도하지 않는다면, 우리는 길을 잘못 들어선 것입니다. 자비는 모든 영적 여정의 단 하나의 진정한 끝이기 때문입니다. 그것은 사랑의 가장 아름다운 열매 중의 하나입니다. (Cf. CCC, 1829, 가톨릭 교회 교리서)

I remember that this theme was chosen for the first Angelus that I said as Pope: mercy. And this has remained very impressed on me, as a message that, as Pope, I must always give, a message that should be for every day: mercy. I remember that that day I also had a somewhat “shameless” attitude to publicize a book on mercy,, just published by Cardinal Kasper. And that day I felt so strongly that this is the message I must give, as Bishop of Rome: mercy, mercy, please, forgiveness.

저는 자비의 이 주제를 제가 교황으로서 드린 첫 번째 삼종기도 때 선택했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그리고 이것은 저에게, 교황으로서 제가 늘 전해야 할 메시지로, 매일의 메시지로, 매우 인상 깊게 남아 있습니다. 저는 그날 제가 또한 카스퍼 추기경님이 막 출간한....자비에 대한 책을 발간하기 위해 다소 “부끄러움 없는 태도를 취했던 것을 기억합니다. 그리고 그날 저는, 로마의 주교로서, 이것이 제가 전해야 할 메시지라는 느낌을 매우 강하게 받았습니다 - 자비, 자비, 부디, 용서.

God’s mercy is our liberation and our happiness. We live of mercy and we can’t permit ourselves to be without mercy: it’s the air to breathe. We are too poor to set conditions; we are in need of forgiving because we are in need of being forgiven. Thank you!

하느님의 자비는 우리의 자유와 행복입니다. 우리는 자비로 살아가며, 자비 없는 우리 자신을 허용할 수 없습니다. 그것은 숨 쉬는 공기입니다. 우리는 조건을 정하기에는 너무 부족합니다. 우리가 용서를 받을 필요가 있기 때문에 용서할 필요가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Original text: Italian] [ZENIT’s translation by Virginia M. Forrester]

한글번역: 황민영 줄리아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