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황님의 삼종기도 강론(2022.05.08)
최고관리자
2022.05.11 16:06
2,397
0
- - 짧은주소 : http://yscatholic.com/bbs/?t=1pV
본문
POPE FRANCIS ANGELUS, Saint Peter's Square, Fourth Sunday of Easter, 8 May 2022
Dear brothers and sisters, buongiorno! The Gospel for today’s Liturgy speaks to us about the bond that exists between the Lord and each one of us (cf. Jn 10:27-30). In doing so, Jesus uses a tender image, a beautiful image of the shepherd who stays with the sheep. And he explains it with three verbs: “My sheep”, Jesus says, “hear my voice, and I know them, and they follow me” (v. 27). Three verbs: hear, know, follow. Let us take a look at these three verbs.
프란치스코 교황 삼종 기도, 성 베드로 광장, 부활 4주일, 2022년 5월 8일
친애하는 형제자매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오늘 전례 복음은 주님과 우리 각자 사이에 존재하는 유대에 대해 얘기합니다. (요한 10,27-30 참조) 유대를 말씀하시면서 예수님은 부드러운 이미지, 양들과 함께 지내는 목자의 아름다운 이미지를 사용하십니다. 그리고 예수님은 그것을 3 동사로 설명하십니다. 즉 예수님이 말씀하십니다. “내 양들은 내 목소리를 알아듣는다. 나는 그들을 알고 그들은 나를 따른다.” (27절) 세 동사는 듣다, 알다, 따르다. 입니다. 이 세 동사를 살펴보겠습니다.
First of all, the sheep hear the voice of the shepherd. The initiative always comes from the Lord. Everything comes from his grace: it is he who calls us to communion with him. But this communion comes about if we open ourselves to listen. If we are deaf, he cannot grant us this communion. Open ourselves to listening, because listening implies availability, it implies docility, it implies time dedicated to dialogue. Today, we are inundated with words and by the urgency to always have something to say or do. How often two people are talking and the one does not wait for the other to finish his or her thought, but cuts the other off mid-sentence, and responds…. But if we do not allow another to speak, there is no listening. This is an ailment of our time. Today, we are inundated with words, by the urgency to always have something to say or do.
우선 양은 목자의 음성을 듣습니다. 주도권은 항상 주님으로부터 옵니다. 모든 것은 그분의 은총으로부터 옵니다. 그분과 친교를 나누도록 우리를 부르시는 분은 그분이십니다. 그러나 이 친교는 우리가 경청하기 위해 마음을 열 때 이루어집니다. 우리가 귀머거리라면 그분은 우리에게 이 친교를 주실 수 없습니다. 경청은 준비됨을 의미하고 순응성을 의미하며 대화에 시간을 할애함을 의미하기 때문에 우리의 마음을 여십시오. 오늘날 우리는 말들로 넘치고 항상 무엇인가 말해야 하거나 무엇인가 해야 하는 긴박감으로 넘칩니다. 두 사람이 이야기를 하고 있는데 얼마나 자주 한 사람이 다른 사람의 생각이 끝날 때까지 기다리지 못하고 다른 사람의 말을 중간에 끊고 답변을 하나요. 그러나 우리가 다른 사람이 말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으면 경청은 없습니다. 이것은 우리 시대의 질병입니다. 오늘날 우리는 말들로 넘치고 항상 무엇인가 말해야 하거나 무엇인가 해야 하는 긴박감으로 넘칩니다.
We are afraid of silence. How hard it is to listen to each other! To listen till the end, to let the other express him or herself, to listen in our families, to listen at school, to listen at work, and even in the Church! But for the Lord, it is first of all necessary to listen. He is the Word of the Father, and the Christian is a listening child, called to live with the Word of God at hand. Let us ask ourselves today if we are listening children, if we find time for the Word of God, if we give space and attention to our brothers and sisters, if we know how to listen until the other has finished speaking, without cutting off what the other is saying. Those who listen to others know how listen to the Lord, too, and vice versa. And they experience something very beautiful, that is, that the Lord himself listens – he listens to us when we pray to him, when we confide in him, when we call on him.
우리는 침묵을 두려워합니다. 서로를 경청하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가요. 끝까지 경청하는 것, 다른 사람이 자신을 표현하게 하는 것, 우리의 가정에서 경청하는 것, 학교에서 경청하는 것, 심지어 교회 안에서 경청하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가요. 그러나 주님에게 무엇보다 경청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그분은 아버지의 말씀이시며, 크리스천은 하느님의 말씀과 가까이 살도록 부르심을 받은 경청하는 어린이입니다. 오늘 우리자신에게 물어봅시다. 우리가 경청하는 어린이인지, 하느님의 말씀을 위한 시간을 내는지, 우리의 형제자매들에게 공간을 내주고 관심을 기울이는지, 다른 사람이 말을 마칠 때까지 중간에 끊지 않고 경청할 수 있는지 스스로에게 물어봅시다. 다른 사람들에게 경청하는 사람은 주님에게 경청하는 법을 알고 그 반대도 마찬가지입니다. 그들은 아주 아름다운 무엇을 체험합니다. 그것은 주님이 경청하신다는 것입니다. 주님은 우리가 그분에게 기도할 때, 그분에게 우리의 비밀을 털어놓은 때, 우리가 그분을 부를 때 경청하십니다.
Listening to Jesus thus becomes the way for us to discover that he knows us. This is the second verb that concerns the good shepherd. He knows his sheep. But this does not only mean that he knows many things about us. To know in the biblical sense also means to love. It means that the Lord, “while he reads our inner beings,” loves us, he does not condemn us. If we listen to him, we discover this – that the Lord loves us. The way to discover the Lord’s love is to listen to him. Thus, our relationship with him will no longer be impersonal, cold or a front. Jesus is looking for a warm friendship, trust, intimacy. He wants to give us a new and marvelous awareness – that of knowing we are always loved by him and, therefore, that we are never left alone by ourselves.
따라서 예수님에게 경청하는 것은 그분이 우리를 알고 계시다는 것을 발견하는 방법이 됩니다. 이것이 선한 목자에 관한 두 번째 동사입니다. 그분이 그의 양들을 아십니다. 그러나 이것은 그분이 우리에 관한 모든 것을 아신다는 의미만은 아닙니다. 성경적 의미에서 안다는 것은 또한 사랑한다는 의미입니다. 그것은 주님이 “우리의 내적 존재를 읽으시면서” 우리를 사랑하시는 것을 뜻합니다. 그분은 우리를 나무라지 않으십니다. 우리가 그분에게 경청하면 우리는 이것을 발견합니다. 주님이 우리를 사랑하십니다. 주님의 사랑을 발견하는 방법은 그분에게 경청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그분과 우리의 관계는 더 이상 비인격적인 차갑거나 가식적인 것이 아닙니다. 예수님은 따뜻한 우정, 신뢰, 친밀감을 찾고 계십니다. 그분은 우리에게 새롭고 놀라운 깨달음을 주기를 원하십니다. - 우리가 항상 그분의 사랑을 받고 그래서 우리가 절대로 혼자가 아니라는 것을 아는 깨달음입니다.
Being with the good shepherd allows us to live the experience what the Psalm speaks about: “Even though I walk through the valley of the shadow of death, I fear no evil; for you are with me” (Ps 23:4). He sustains us above all in our sufferings, in our difficulties, in our crises – which are dark – by going through them with us. And so, it is specifically in difficult situations, that we can discover that we are known and loved by the Lord. So, let us ask ourselves: Do I let the Lord know me? Do I make room for him in my life? Do I bring what I am living to him? And what idea do I have of him after the many times I have experienced his closeness, his compassion, his tenderness? That the Lord is near, that the Lord is the good shepherd?
선한 목자와 함께 있으면 시편이 말하는 다음과 같은 체험을 하게 됩니다. “제가 비록 어둠의 골짜기를 간다 하여도 재앙을 두려워하지 않으리니 당신께서 저와 함께 계시기 때문입니다.” (시편 23,4) 그분은 우리의 고통, 어려움, 우리의 위기 - 어두움인 -에서 무엇보다도 우리와 함께 그것들을 겪으심으로써 우리를 지탱해주십니다. 그래서 특별히 어려운 상황에서 우리는 주님이 우리를 아시고 사랑하신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우리 자신에게 물어봅시다. 나는 주님이 나를 아시도록 하는가? 나의 삶에서 그분을 위한 자리를 마련하는가? 내가 어떻게 사는지 그분에게 고하는가? 그분의 친밀함, 그분의 연민, 그리고 그분의 다정함을 여러 번 체험한 후의 나의 그분에 대한 생각은 어떠한가? 주님이 가까이 계시고 주님이 선한 목자이신가?
Lastly, the third verb: the sheep who hear, and who discover they are known, follow: they listen, they experience they are known by the Lord and they follow the Lord who is their shepherd. What do those who follow Christ do? They go where he goes, along the same path, in the same direction. They go to seek those who are lost (cf. Lk 15:4), are interested in those who are far-off, take to heart the situation of those who suffer, know how to weep with those who weep, they reach out their hands to their neighbour, placing him or her on their shoulders. And me? Do I let Jesus love me, and by allowing him to love me, do I pass from loving him to imitating him? May the Holy Virgin help us listen to Christ, know him always more and follow him on the way of service. Hearing him, knowing him, following him.
마지막으로, 세 번째 동사는, 경청한 양들, 주님이 그들을 아신다는 것을 발견한 양들은, 따릅니다. 그들은 경청하고, 그들은 주님이 그들을 사랑하신다는 것을 체험하고 그들의 목자이신 주님을 따릅니다. 그리스도를 따르는 그들은 무엇을 합니까? 그들은 같은 길을 따라 같은 방향으로 그분이 가시는 곳으로 갑니다. 그들은 길 잃은 이들을 찾으러 가고 (루카 15,4 참조) 멀리 있는 이들에게 관심을 기울이고 고통 받는 이들의 상황을 안타까워하고 우는 사람들과 함께 우는 법을 알고 그들의 이웃에게 도움의 손을 뻗치고 이웃을 그들의 어깨위에 짊어집니다. 그러면 나는 어떻습니까? 예수님이 나를 사랑하시도록 맡깁니까? 그분이 나를 사랑하시게 맡김으로써 그분을 사랑하는 것으로부터 그분을 닮는 것으로 발전합니까? 동정 성모 마리아님 저희를 도우셔서 저희가 그리스도에 대해 경청하고 그분을 점점 더 알고 봉사의 길에 그분을 따르게 하소서! 그분의 말씀을 듣고, 그분을 알고, 그분을 따르게 하소서!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After the Regina Caeli
Dear brothers and sisters, Yesterday, in San Ramon, Peru, María Agustina Rivas Lopez was beatified. Known as Aguchita, she was a woman religious of the Congregation of our Lady of Charity of the Good Shepherd killed in hatred of the faith in 1990. While aware she was risking her life, this heroic missionary always remained near the poor, especially indigenous women and peasants, witnessing to the Gospel of justice and peace. May her example spark the desire in everyone to serve Christ faithfully and courageously. A round of applause for the new Blessed!
삼종기도 후에
사랑하는 형제자매 여러분, 어제 페루 산 라몬에서 마리아 아구스티나 리바스 로페즈가 시복되었습니다. 아구치타로 알려진 그녀는 1990년에 신앙에 대한 증오로 사망한 선한 목자의 자애의 성모 수녀회의 수도자였습니다. 그녀가 목숨이 위태하다는 것을 알고 있었지만 이 영웅적인 선교사는 정의와 평화의 복음을 증거하며 가난한 사람들, 특히 원주민들, 그리고 농부들 곁에 항상 머물렀습니다. 그의 모범이 모든 사람들이 그리스도께 충실하고 용감하게 봉사하겠다는 열망을 불러일으키기를 바랍니다. 새로운 복자에게 환호의 박수를 보냅시다.
Today is the World Day of Prayer for Vocations, whose theme is “Called to Build the Human Family”. May the Christian community on every continent pray to the Lord for the gift of vocations to the priesthood, to the consecrated life, to the choice of being a missionary, and to matrimony. This is the day on which, because of our baptism, we all feel called to follow Jesus, to say yes to him, to imitate him so as to discover the joy of giving one’s life, of serving the Gospel joyfully and enthusiastically. In this context, I want to extend my best wishes to the new priests of the Diocese of Rome who were ordained this morning in the Basilica of Saint John Lateran.
오늘은 “인류 가족을 건설하도록 부름 받음”을 주제로 하는 세계 성소 기도의 날입니다. 모든 대륙의 그리스도인 공동체가 사제직, 봉헌 생활, 선교사가 되는 선택, 결혼에 대한 성소의 은사를 위해 주님께 기도하기를 바랍니다. 이 날은 세례로 인해 우리 모두가 예수님을 따르고, 그분에게 예라고 응답하고, 그분을 본받도록 부름을 받았다고 느끼는 날입니다. 자신의 생명을 바치는 기쁨과 복음을 기쁘고 열정적으로 섬기는 기쁨을 발견합니다. 이런 맥락에서 저는 오늘 아침 성 요한 라테라노 대성당에서 서품을 받은 로마 교구의 새 사제들에게 최고의 축복을 전하고 싶습니다.
Right now, many members of the faithful are gathered around the image of Mary venerated in the Shrine of Pompei, to pray the Supplication that sprang from the heart of Blessed Bartolo Longo. Kneeling in spirit before the image of the Virgin, I entrust to her the ardent desire for peace of the many people in various parts of the world who suffer the senseless calamity of war. In particular, I present the sufferings and tears of the Ukrainian people to the Holy Virgin. Before the madness of war, please, let us continue to pray the Rosary for peace each day. And let us pray for the leaders of nations, so that they might not lose the “pulse of the people” who want peace and who know well that weapons never achieve it, never.
현재 많은 신자들이 폼페이 성지에 모셔진 마리아의 상 주위에 모여 복자 바르톨로 롱고의 마음에서 우러나온 청원을 바치고 있습니다. 저는 마음으로 동정녀의 형상 앞에 무릎을 꿇고 전쟁이라는 무의미한 재난으로 고통 받는 세계 여러 지역의 많은 사람들의 평화를 위한 간절한 염원을 성모님에게 의탁합니다. 특히 우크라이나 국민의 고통과 눈물을 성모님에게 바칩니다. 전쟁의 광란 앞에 우리가 매일 평화를 위해 계속 묵주기도를 바치도록 합시다. 그리고 국가의 지도자들이 평화를 원하고 무기로는 결코 달성할 수 없다는 것을 잘 알고 있는 "국민의 마음"을 잃지 않도록 기도합시다.
Let us also pray for the victims of the explosion that took place in a large hotel in the capital of Cuba, Havana. May the Risen Christ lead them to the Father’s house and grant comfort to their relatives.
또한 쿠바의 수도 아바나에 있는 대형 호텔에서 발생한 폭발 사고의 희생자들을 위해 기도합시다. 부활하신 그리스도께서 그들을 아버지의 집으로 인도하시고 그들의 친척들에게 위로를 주시기를 빕니다.
I greet all of you from Rome and pilgrims from Italy and many other countries. In particular, I greet the faithful from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from Poland and from the Diocese of Nantes (France). I greet the Passionist Family, which celebrates the three hundredth Jubilee of foundation; those who are ill with fibromyalgia, whom I hope are receiving the necessary care; as well as the faithful from Naples, Pomigliano d’Arco, Reggio Calabria and Foggia; the children from the Confirmation class of Zogno (Bergamo), and those from San Ferdinando in Rome. A special greeting to the group of Ukrainian refugees and the families hosting them from Macchie, near Perugia. I also greet the leaders of the Sant’Egidio Community from Latin America.
로마에서 오신 여러분, 이탈리아를 비롯한 여러 나라에서 오신 순례자 여러분께 인사를 드립니다. 특히 미국, 폴란드, 프랑스 낭트 교구의 신자들에게 인사를 드립니다. 창립 300주년을 맞이한 Passionist Family 에게 인사합니다. 섬유근육통을 앓고 있는 이들에게 인사하며 그들이 필요한 치료를 받기를 바랍니다. 나폴리, Pomigliano d'Arco, Reggio Calabria 및 Foggia의 신자들; Zogno(Bergamo) 견진반 어린이들과 로마의 San Ferdinando 어린이들. 페루자 근교의 마키에에서 온 우크라이나 난민들과 이들을 접대하는 가족들에게 특별한 인사를 전합니다. 또한 라틴 아메리카의 Sant'Egidio 커뮤니티 지도자들에게도 인사를 드립니다.
Today is Mother’s Day in many countries. Let us affectionately remember our mothers – a round of applause for our mothers – even those who are no longer with us down here, but who live in our hearts. Our prayer, our affection, and our best wishes for all our mothers. A happy Sunday to all of you! Please, do not forget to pray for me. Enjoy your lunch and arrivederci.
오늘은 많은 국가에서 어머니의 날을 지내고 있습니다. 우리의 어머니들을 사랑하는 마음으로 기억합시다. - 우리의 어머니들을 위해서 환호의 박수를 보냅시다. - 더 이상 이 땅에서 우리와 함께 있지 않지만 우리의 마음속에 살고 있는 어머니들도 기억합시다. 우리의 기도, 우리의 사랑, 그리고 우리의 최고의 소원을 모든 우리의 어머니들에게 바칩니다. 여러분 모두 행복한 주일 보내십시오. 저를 위해 기도하는 것을 잊지 마시기 바랍니다. 점심 즐겁게 드시고 또 뵙겠습니다.
한글 번역: 윤영학 아오스딩
Dear brothers and sisters, buongiorno! The Gospel for today’s Liturgy speaks to us about the bond that exists between the Lord and each one of us (cf. Jn 10:27-30). In doing so, Jesus uses a tender image, a beautiful image of the shepherd who stays with the sheep. And he explains it with three verbs: “My sheep”, Jesus says, “hear my voice, and I know them, and they follow me” (v. 27). Three verbs: hear, know, follow. Let us take a look at these three verbs.
프란치스코 교황 삼종 기도, 성 베드로 광장, 부활 4주일, 2022년 5월 8일
친애하는 형제자매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오늘 전례 복음은 주님과 우리 각자 사이에 존재하는 유대에 대해 얘기합니다. (요한 10,27-30 참조) 유대를 말씀하시면서 예수님은 부드러운 이미지, 양들과 함께 지내는 목자의 아름다운 이미지를 사용하십니다. 그리고 예수님은 그것을 3 동사로 설명하십니다. 즉 예수님이 말씀하십니다. “내 양들은 내 목소리를 알아듣는다. 나는 그들을 알고 그들은 나를 따른다.” (27절) 세 동사는 듣다, 알다, 따르다. 입니다. 이 세 동사를 살펴보겠습니다.
First of all, the sheep hear the voice of the shepherd. The initiative always comes from the Lord. Everything comes from his grace: it is he who calls us to communion with him. But this communion comes about if we open ourselves to listen. If we are deaf, he cannot grant us this communion. Open ourselves to listening, because listening implies availability, it implies docility, it implies time dedicated to dialogue. Today, we are inundated with words and by the urgency to always have something to say or do. How often two people are talking and the one does not wait for the other to finish his or her thought, but cuts the other off mid-sentence, and responds…. But if we do not allow another to speak, there is no listening. This is an ailment of our time. Today, we are inundated with words, by the urgency to always have something to say or do.
우선 양은 목자의 음성을 듣습니다. 주도권은 항상 주님으로부터 옵니다. 모든 것은 그분의 은총으로부터 옵니다. 그분과 친교를 나누도록 우리를 부르시는 분은 그분이십니다. 그러나 이 친교는 우리가 경청하기 위해 마음을 열 때 이루어집니다. 우리가 귀머거리라면 그분은 우리에게 이 친교를 주실 수 없습니다. 경청은 준비됨을 의미하고 순응성을 의미하며 대화에 시간을 할애함을 의미하기 때문에 우리의 마음을 여십시오. 오늘날 우리는 말들로 넘치고 항상 무엇인가 말해야 하거나 무엇인가 해야 하는 긴박감으로 넘칩니다. 두 사람이 이야기를 하고 있는데 얼마나 자주 한 사람이 다른 사람의 생각이 끝날 때까지 기다리지 못하고 다른 사람의 말을 중간에 끊고 답변을 하나요. 그러나 우리가 다른 사람이 말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으면 경청은 없습니다. 이것은 우리 시대의 질병입니다. 오늘날 우리는 말들로 넘치고 항상 무엇인가 말해야 하거나 무엇인가 해야 하는 긴박감으로 넘칩니다.
We are afraid of silence. How hard it is to listen to each other! To listen till the end, to let the other express him or herself, to listen in our families, to listen at school, to listen at work, and even in the Church! But for the Lord, it is first of all necessary to listen. He is the Word of the Father, and the Christian is a listening child, called to live with the Word of God at hand. Let us ask ourselves today if we are listening children, if we find time for the Word of God, if we give space and attention to our brothers and sisters, if we know how to listen until the other has finished speaking, without cutting off what the other is saying. Those who listen to others know how listen to the Lord, too, and vice versa. And they experience something very beautiful, that is, that the Lord himself listens – he listens to us when we pray to him, when we confide in him, when we call on him.
우리는 침묵을 두려워합니다. 서로를 경청하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가요. 끝까지 경청하는 것, 다른 사람이 자신을 표현하게 하는 것, 우리의 가정에서 경청하는 것, 학교에서 경청하는 것, 심지어 교회 안에서 경청하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가요. 그러나 주님에게 무엇보다 경청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그분은 아버지의 말씀이시며, 크리스천은 하느님의 말씀과 가까이 살도록 부르심을 받은 경청하는 어린이입니다. 오늘 우리자신에게 물어봅시다. 우리가 경청하는 어린이인지, 하느님의 말씀을 위한 시간을 내는지, 우리의 형제자매들에게 공간을 내주고 관심을 기울이는지, 다른 사람이 말을 마칠 때까지 중간에 끊지 않고 경청할 수 있는지 스스로에게 물어봅시다. 다른 사람들에게 경청하는 사람은 주님에게 경청하는 법을 알고 그 반대도 마찬가지입니다. 그들은 아주 아름다운 무엇을 체험합니다. 그것은 주님이 경청하신다는 것입니다. 주님은 우리가 그분에게 기도할 때, 그분에게 우리의 비밀을 털어놓은 때, 우리가 그분을 부를 때 경청하십니다.
Listening to Jesus thus becomes the way for us to discover that he knows us. This is the second verb that concerns the good shepherd. He knows his sheep. But this does not only mean that he knows many things about us. To know in the biblical sense also means to love. It means that the Lord, “while he reads our inner beings,” loves us, he does not condemn us. If we listen to him, we discover this – that the Lord loves us. The way to discover the Lord’s love is to listen to him. Thus, our relationship with him will no longer be impersonal, cold or a front. Jesus is looking for a warm friendship, trust, intimacy. He wants to give us a new and marvelous awareness – that of knowing we are always loved by him and, therefore, that we are never left alone by ourselves.
따라서 예수님에게 경청하는 것은 그분이 우리를 알고 계시다는 것을 발견하는 방법이 됩니다. 이것이 선한 목자에 관한 두 번째 동사입니다. 그분이 그의 양들을 아십니다. 그러나 이것은 그분이 우리에 관한 모든 것을 아신다는 의미만은 아닙니다. 성경적 의미에서 안다는 것은 또한 사랑한다는 의미입니다. 그것은 주님이 “우리의 내적 존재를 읽으시면서” 우리를 사랑하시는 것을 뜻합니다. 그분은 우리를 나무라지 않으십니다. 우리가 그분에게 경청하면 우리는 이것을 발견합니다. 주님이 우리를 사랑하십니다. 주님의 사랑을 발견하는 방법은 그분에게 경청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그분과 우리의 관계는 더 이상 비인격적인 차갑거나 가식적인 것이 아닙니다. 예수님은 따뜻한 우정, 신뢰, 친밀감을 찾고 계십니다. 그분은 우리에게 새롭고 놀라운 깨달음을 주기를 원하십니다. - 우리가 항상 그분의 사랑을 받고 그래서 우리가 절대로 혼자가 아니라는 것을 아는 깨달음입니다.
Being with the good shepherd allows us to live the experience what the Psalm speaks about: “Even though I walk through the valley of the shadow of death, I fear no evil; for you are with me” (Ps 23:4). He sustains us above all in our sufferings, in our difficulties, in our crises – which are dark – by going through them with us. And so, it is specifically in difficult situations, that we can discover that we are known and loved by the Lord. So, let us ask ourselves: Do I let the Lord know me? Do I make room for him in my life? Do I bring what I am living to him? And what idea do I have of him after the many times I have experienced his closeness, his compassion, his tenderness? That the Lord is near, that the Lord is the good shepherd?
선한 목자와 함께 있으면 시편이 말하는 다음과 같은 체험을 하게 됩니다. “제가 비록 어둠의 골짜기를 간다 하여도 재앙을 두려워하지 않으리니 당신께서 저와 함께 계시기 때문입니다.” (시편 23,4) 그분은 우리의 고통, 어려움, 우리의 위기 - 어두움인 -에서 무엇보다도 우리와 함께 그것들을 겪으심으로써 우리를 지탱해주십니다. 그래서 특별히 어려운 상황에서 우리는 주님이 우리를 아시고 사랑하신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우리 자신에게 물어봅시다. 나는 주님이 나를 아시도록 하는가? 나의 삶에서 그분을 위한 자리를 마련하는가? 내가 어떻게 사는지 그분에게 고하는가? 그분의 친밀함, 그분의 연민, 그리고 그분의 다정함을 여러 번 체험한 후의 나의 그분에 대한 생각은 어떠한가? 주님이 가까이 계시고 주님이 선한 목자이신가?
Lastly, the third verb: the sheep who hear, and who discover they are known, follow: they listen, they experience they are known by the Lord and they follow the Lord who is their shepherd. What do those who follow Christ do? They go where he goes, along the same path, in the same direction. They go to seek those who are lost (cf. Lk 15:4), are interested in those who are far-off, take to heart the situation of those who suffer, know how to weep with those who weep, they reach out their hands to their neighbour, placing him or her on their shoulders. And me? Do I let Jesus love me, and by allowing him to love me, do I pass from loving him to imitating him? May the Holy Virgin help us listen to Christ, know him always more and follow him on the way of service. Hearing him, knowing him, following him.
마지막으로, 세 번째 동사는, 경청한 양들, 주님이 그들을 아신다는 것을 발견한 양들은, 따릅니다. 그들은 경청하고, 그들은 주님이 그들을 사랑하신다는 것을 체험하고 그들의 목자이신 주님을 따릅니다. 그리스도를 따르는 그들은 무엇을 합니까? 그들은 같은 길을 따라 같은 방향으로 그분이 가시는 곳으로 갑니다. 그들은 길 잃은 이들을 찾으러 가고 (루카 15,4 참조) 멀리 있는 이들에게 관심을 기울이고 고통 받는 이들의 상황을 안타까워하고 우는 사람들과 함께 우는 법을 알고 그들의 이웃에게 도움의 손을 뻗치고 이웃을 그들의 어깨위에 짊어집니다. 그러면 나는 어떻습니까? 예수님이 나를 사랑하시도록 맡깁니까? 그분이 나를 사랑하시게 맡김으로써 그분을 사랑하는 것으로부터 그분을 닮는 것으로 발전합니까? 동정 성모 마리아님 저희를 도우셔서 저희가 그리스도에 대해 경청하고 그분을 점점 더 알고 봉사의 길에 그분을 따르게 하소서! 그분의 말씀을 듣고, 그분을 알고, 그분을 따르게 하소서!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After the Regina Caeli
Dear brothers and sisters, Yesterday, in San Ramon, Peru, María Agustina Rivas Lopez was beatified. Known as Aguchita, she was a woman religious of the Congregation of our Lady of Charity of the Good Shepherd killed in hatred of the faith in 1990. While aware she was risking her life, this heroic missionary always remained near the poor, especially indigenous women and peasants, witnessing to the Gospel of justice and peace. May her example spark the desire in everyone to serve Christ faithfully and courageously. A round of applause for the new Blessed!
삼종기도 후에
사랑하는 형제자매 여러분, 어제 페루 산 라몬에서 마리아 아구스티나 리바스 로페즈가 시복되었습니다. 아구치타로 알려진 그녀는 1990년에 신앙에 대한 증오로 사망한 선한 목자의 자애의 성모 수녀회의 수도자였습니다. 그녀가 목숨이 위태하다는 것을 알고 있었지만 이 영웅적인 선교사는 정의와 평화의 복음을 증거하며 가난한 사람들, 특히 원주민들, 그리고 농부들 곁에 항상 머물렀습니다. 그의 모범이 모든 사람들이 그리스도께 충실하고 용감하게 봉사하겠다는 열망을 불러일으키기를 바랍니다. 새로운 복자에게 환호의 박수를 보냅시다.
Today is the World Day of Prayer for Vocations, whose theme is “Called to Build the Human Family”. May the Christian community on every continent pray to the Lord for the gift of vocations to the priesthood, to the consecrated life, to the choice of being a missionary, and to matrimony. This is the day on which, because of our baptism, we all feel called to follow Jesus, to say yes to him, to imitate him so as to discover the joy of giving one’s life, of serving the Gospel joyfully and enthusiastically. In this context, I want to extend my best wishes to the new priests of the Diocese of Rome who were ordained this morning in the Basilica of Saint John Lateran.
오늘은 “인류 가족을 건설하도록 부름 받음”을 주제로 하는 세계 성소 기도의 날입니다. 모든 대륙의 그리스도인 공동체가 사제직, 봉헌 생활, 선교사가 되는 선택, 결혼에 대한 성소의 은사를 위해 주님께 기도하기를 바랍니다. 이 날은 세례로 인해 우리 모두가 예수님을 따르고, 그분에게 예라고 응답하고, 그분을 본받도록 부름을 받았다고 느끼는 날입니다. 자신의 생명을 바치는 기쁨과 복음을 기쁘고 열정적으로 섬기는 기쁨을 발견합니다. 이런 맥락에서 저는 오늘 아침 성 요한 라테라노 대성당에서 서품을 받은 로마 교구의 새 사제들에게 최고의 축복을 전하고 싶습니다.
Right now, many members of the faithful are gathered around the image of Mary venerated in the Shrine of Pompei, to pray the Supplication that sprang from the heart of Blessed Bartolo Longo. Kneeling in spirit before the image of the Virgin, I entrust to her the ardent desire for peace of the many people in various parts of the world who suffer the senseless calamity of war. In particular, I present the sufferings and tears of the Ukrainian people to the Holy Virgin. Before the madness of war, please, let us continue to pray the Rosary for peace each day. And let us pray for the leaders of nations, so that they might not lose the “pulse of the people” who want peace and who know well that weapons never achieve it, never.
현재 많은 신자들이 폼페이 성지에 모셔진 마리아의 상 주위에 모여 복자 바르톨로 롱고의 마음에서 우러나온 청원을 바치고 있습니다. 저는 마음으로 동정녀의 형상 앞에 무릎을 꿇고 전쟁이라는 무의미한 재난으로 고통 받는 세계 여러 지역의 많은 사람들의 평화를 위한 간절한 염원을 성모님에게 의탁합니다. 특히 우크라이나 국민의 고통과 눈물을 성모님에게 바칩니다. 전쟁의 광란 앞에 우리가 매일 평화를 위해 계속 묵주기도를 바치도록 합시다. 그리고 국가의 지도자들이 평화를 원하고 무기로는 결코 달성할 수 없다는 것을 잘 알고 있는 "국민의 마음"을 잃지 않도록 기도합시다.
Let us also pray for the victims of the explosion that took place in a large hotel in the capital of Cuba, Havana. May the Risen Christ lead them to the Father’s house and grant comfort to their relatives.
또한 쿠바의 수도 아바나에 있는 대형 호텔에서 발생한 폭발 사고의 희생자들을 위해 기도합시다. 부활하신 그리스도께서 그들을 아버지의 집으로 인도하시고 그들의 친척들에게 위로를 주시기를 빕니다.
I greet all of you from Rome and pilgrims from Italy and many other countries. In particular, I greet the faithful from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from Poland and from the Diocese of Nantes (France). I greet the Passionist Family, which celebrates the three hundredth Jubilee of foundation; those who are ill with fibromyalgia, whom I hope are receiving the necessary care; as well as the faithful from Naples, Pomigliano d’Arco, Reggio Calabria and Foggia; the children from the Confirmation class of Zogno (Bergamo), and those from San Ferdinando in Rome. A special greeting to the group of Ukrainian refugees and the families hosting them from Macchie, near Perugia. I also greet the leaders of the Sant’Egidio Community from Latin America.
로마에서 오신 여러분, 이탈리아를 비롯한 여러 나라에서 오신 순례자 여러분께 인사를 드립니다. 특히 미국, 폴란드, 프랑스 낭트 교구의 신자들에게 인사를 드립니다. 창립 300주년을 맞이한 Passionist Family 에게 인사합니다. 섬유근육통을 앓고 있는 이들에게 인사하며 그들이 필요한 치료를 받기를 바랍니다. 나폴리, Pomigliano d'Arco, Reggio Calabria 및 Foggia의 신자들; Zogno(Bergamo) 견진반 어린이들과 로마의 San Ferdinando 어린이들. 페루자 근교의 마키에에서 온 우크라이나 난민들과 이들을 접대하는 가족들에게 특별한 인사를 전합니다. 또한 라틴 아메리카의 Sant'Egidio 커뮤니티 지도자들에게도 인사를 드립니다.
Today is Mother’s Day in many countries. Let us affectionately remember our mothers – a round of applause for our mothers – even those who are no longer with us down here, but who live in our hearts. Our prayer, our affection, and our best wishes for all our mothers. A happy Sunday to all of you! Please, do not forget to pray for me. Enjoy your lunch and arrivederci.
오늘은 많은 국가에서 어머니의 날을 지내고 있습니다. 우리의 어머니들을 사랑하는 마음으로 기억합시다. - 우리의 어머니들을 위해서 환호의 박수를 보냅시다. - 더 이상 이 땅에서 우리와 함께 있지 않지만 우리의 마음속에 살고 있는 어머니들도 기억합시다. 우리의 기도, 우리의 사랑, 그리고 우리의 최고의 소원을 모든 우리의 어머니들에게 바칩니다. 여러분 모두 행복한 주일 보내십시오. 저를 위해 기도하는 것을 잊지 마시기 바랍니다. 점심 즐겁게 드시고 또 뵙겠습니다.
한글 번역: 윤영학 아오스딩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