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황님의 삼종기도 강론(2025.09.14)
최고관리자
2025.09.20 11:48
1,074
0
- - 짧은주소 : http://yscatholic.com/bbs/?t=1zk
본문
POPE LEO XIV, ANGELUS, Saint Peter's Square, The Feast of the Exultation of the Holy Cross, Sunday, 14 September 2025
Dear brothers and sisters, Happy Sunday! Today the Church celebrates the Feast of the Exultation of the Holy Cross, commemorating the discovery of the Cross by Saint Helen in Jerusalem in the fourth century, and the return of the precious relic to the Holy City by the Emperor Heraclius.
교황 레오 14세, 삼종기도, 성 베드로 광장, 성 십자가 현양 축일, 2025년 9월 14일 주일
사랑하는 형제자매 여러분, 복된 주일입니다! 오늘 교회는 4세기에 헬레나 성녀가 예루살렘에서 성 십자가를 발견한 것과 헤라클리우스 황제가 이 귀중한 유물을 성지로 돌려보낸 것을 기념하는 성 십자가 현양 축일을 지냅니다.
But what does celebrating this feast mean for us today? The Gospel reading that the liturgy places before us (cf. Jn 3:13-17) helps us to understand it. The scene unfolds at night: Nicodemus, one of the leaders of the Jews, a righteous and open-minded person (cf. Jn 7:50-51), comes to meet Jesus. He needs light and guidance: he seeks God and asks the Teacher of Nazareth for help because he recognizes him as a prophet, a man who performs extraordinary signs.
하지만 오늘 이 축일을 기념하는 것이 우리에게 어떤 의미가 있을까요? 오늘 전례의 복음 말씀 (요한 3,13-17 참조) 이 우리가 그것을 이해하도록 도와줍니다. 밤에 펼쳐지는 장면입니다. 유대인들의 지도자 중 한 사람이자 의롭고 마음이 열린 사람 (요한 7,50-51 참조) 인 니코데모가 예수님을 만나러 옵니다. 그는 빛과 인도를 원합니다. 그는 하느님을 찾기 위해 나자렛의 스승에게 도움을 청합니다. 나자렛의 스승이 예언자이고 놀라운 표징을 행하는 분이라는 것을 알기 때문입니다.
The Lord welcomes him, listens to him, and eventually reveals to him that the Son of Man must be lifted up, “so that whoever believes in him may have eternal life” (Jn 3:15), adding: “For God so loved the world that he gave his only Son, so that everyone who believes in him might not perish but might have eternal life” (v. 16). Nicodemus, who perhaps does not fully comprehend the meaning of these words in the moment, will certainly do so when he helps to bury the Savior’s body after the crucifixion (cf. Jn 19:39). It is then that he will understand that God, in order to redeem humanity, became man and died on the cross.
주님께서는 그를 환영하시고, 그의 말에 귀 기울이시고, 마침내 사람의 아들이 들어 올려져야 한다는 것을 그에게 알려 주시며, “믿는 사람은 누구나 사람의 아들 안에서 영원한 생명을 얻게 하려는 것이다.” (요한복음 3,15) 라고 말씀하십니다. 그리고 “하느님께서는 세상을 너무나 사랑하신 나머지 외아들을 내 주시어, 그를 믿는 사람은 누구나 멸망하지 않고 영원한 생명을 얻게 하셨다.” (16절) 라고 덧붙이십니다. 그 순간에 니코데모가 이 말씀의 의미를 온전히 이해하지 못할지라도, 십자가에 못 박히신 구세주의 시신을 무덤으로 옮기는 일을 도울 때 (요한복음 19,39 참조) 그는 분명 그 의미를 이해하게 될 것입니다. 그때 그는 하느님께서 인간을 구원하기 위해 사람이 되시어 십자가에서 죽으셨다는 것을 깨닫게 될 것입니다.
Jesus speaks of this to Nicodemus, recalling an episode in the Old Testament, when the Israelites were bitten by venomous snakes in the desert and were healed by looking upon the bronze serpent that Moses had fashioned and mounted on a pole in obedience to God’s command (cf. Num 21:4-9).
예수님께서는 니코데모에게 이 말씀을 하시면서, 이스라엘 백성이 광야에서 독사에 물렸을 때, 하느님의 명령에 따라 모세가 만들어 기둥에 매달았던 구리 뱀을 바라보고 나았던 구약성경의 한 에피소드를 언급하십니다. (민수기 21:4-9 참조)
God saves us by showing himself to us, offering himself as our companion, teacher, doctor, friend, to the point of becoming bread broken for us in the Eucharist. In order to accomplish this task, he used one of the cruelest instruments that human beings have ever invented: the cross.
하느님께서는 우리에게 자신을 드러내시고, 우리의 동반자, 스승, 의사, 친구로, 그리고 성찬례에서 우리를 위해 쪼개진 빵이 되시기까지 자신을 내어주심으로써, 우리를 구원하십니다. 이 사명을 완수하시기 위해 그분께서는 인간이 발명한 가장 잔혹한 도구 중 하나인 십자가를 사용하셨습니다.
That is why today we celebrate the “exultation”: for the immense love with which God has transformed the means to death into an instrument of life, embracing it for our salvation, teaching us that nothing can separate us from him (cf. Rom 8:35-39) and that his love is greater than our own sin (cf. Francis, Catechesis, 30 March 2016).
그것이 바로 우리가 오늘 “현양”을 기념하는 이유입니다. 하느님께서 죽음의 수단을 생명의 도구로 변화시키시고, 우리의 구원을 위해 십자가를 껴안으신 엄청난 사랑, 아무것도 우리를 하느님에게서 떼어놓을 수 없고, (로마 8,35-39 참조) 하느님의 사랑이 우리의 죄보다 더 크다는 (프란치스코, 교리교육, 2016년 3월 30일 참조) 그분의 가르침을 기념합니다.
Let us then ask, through the intercession of Mary, the Mother who was present at Calvary near her Son, that the saving love of her Son may take root in us and grow, and that we too may know how to give ourselves to each other, as he gave himself completely to all.
이제, 성모 마리아의 중재를 통해, 칼바리에서 아드님 가까이 계셨던 그 어머님께, 그분 아드님의 구원의 사랑이 우리 안에 뿌리를 내리고 자라서, 그분께서 모든 사람들에게 자신을 온전히 내어주신 것처럼 우리도 서로에게 자신을 내어줄 줄 알게 해주십사고 간청합시다.
After the Angelus
Dear brothers and sisters! Tomorrow marks the 60th anniversary of the establishment of the Synod of Bishops, a prophetic intuition desired by Saint Paul VI so that Bishops might increase and improve their exercise of communion with the Successor of Peter. It is my hope that this anniversary will inspire a renewed commitment to the unity and mission of the Church. *synodality
삼종기도 후
사랑하는 형제자매 여러분! 내일은 주교 시노드 설립 60주년이 됩니다. 이는 성 바오로 6세께서 주교들이 베드로의 후계자와의 친교를 더욱 증진하고 발전시키길 바라셨던 예언적 통찰입니다. 저는 이 기념일이 교회의 일치와 사명에 대한 새로운 헌신을 불러일으키기를 바랍니다. *시노드성
I affectionately greet all of you, faithful of Rome and pilgrims from Italy and various countries, especially those from Villa Alemana and Valparaíso in Chile, from the Archdiocese of Mwanza in Tanzania, from Humpolec in the Czech Republic, together with the Peruvians from the religious association Jesús Nazareno Cautivo. I also greet the faithful from Chiaiamari, Anitrella, Uboldo, Faeto, Lesmo, Trani, Faenza, Pistoia, San Martino in Sergnano, Guardia di Acireale, San Martino delle Scale in Palermo, and Alghero.
로마 신자 여러분, 그리고 이탈리아와 여러 나라에서 오신 순례자 여러분, 특히 칠레의 비야 알레마나와 발파라이소, 탄자니아 므완자 대교구, 체코 훔폴레츠, 그리고 예수스 나사렛노 카우티보 종교 단체 소속 페루 신자 여러분께 진심으로 인사드립니다. 또한 키아이아마리, 아니트렐라, 우볼도, 파에토, 레스모, 트라니, 파엔차, 피스토이아, 산 마르티노 인 세르냐노, 과르디아 디 아치레알레, 팔레르모의 산 마르티노 델레 스칼레, 그리고 알게로 신자 여러분께도 따뜻한 인사를 전합니다.
I also greet the bands of Borno and Sonico in Val Camonica, the “La Nuova Famiglia” Cooperative of Monza, the Regional Committee Pro Loco of Lazio, the Union of Catholic Apostolate, the young people of Don Bosco Youth-Net and the community of Communion and Liberation of Rome; as well as the Arti e Mestieri Association of Sant’Agata di Militello, the motorcyclists who came from Ravenna and the cyclists who came from Rovigo.
또한 발 카모니카의 보르노와 소니코 밴드, 몬차의 "라 누오바 파밀리아" 협동조합, 라치오의 지역 위원회 프로 로코, 가톨릭 사도직 연합, 돈 보스코 청년 네트워크의 청소년, 로마의 친교와 해방 공동체, 그리고 산타가타 디 밀리텔로의 아르티 에 메스티에리 협회, 라벤나에서 온 오토바이 운전자, 로비고에서 온 자전거 운전자에게도 인사드립니다.
Dear friends, it seems that you know that today I turn seventy years old. I give thanks to the Lord and to my parents; and I thank all those who have remembered me in their prayers. Many thanks to everyone! Thank you! Have a good Sunday!
사랑하는 친구 여러분, 오늘 제가 일흔 살이 된 것을 알고 계시는 것 같습니다. 주님과 부모님께 감사드리며, 기도로 저를 기억해 주신 모든 분들께도 감사드립니다. 모두에게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복된 주일 보내세요!
한글 번역: 윤영하 아오스딩
Dear brothers and sisters, Happy Sunday! Today the Church celebrates the Feast of the Exultation of the Holy Cross, commemorating the discovery of the Cross by Saint Helen in Jerusalem in the fourth century, and the return of the precious relic to the Holy City by the Emperor Heraclius.
교황 레오 14세, 삼종기도, 성 베드로 광장, 성 십자가 현양 축일, 2025년 9월 14일 주일
사랑하는 형제자매 여러분, 복된 주일입니다! 오늘 교회는 4세기에 헬레나 성녀가 예루살렘에서 성 십자가를 발견한 것과 헤라클리우스 황제가 이 귀중한 유물을 성지로 돌려보낸 것을 기념하는 성 십자가 현양 축일을 지냅니다.
But what does celebrating this feast mean for us today? The Gospel reading that the liturgy places before us (cf. Jn 3:13-17) helps us to understand it. The scene unfolds at night: Nicodemus, one of the leaders of the Jews, a righteous and open-minded person (cf. Jn 7:50-51), comes to meet Jesus. He needs light and guidance: he seeks God and asks the Teacher of Nazareth for help because he recognizes him as a prophet, a man who performs extraordinary signs.
하지만 오늘 이 축일을 기념하는 것이 우리에게 어떤 의미가 있을까요? 오늘 전례의 복음 말씀 (요한 3,13-17 참조) 이 우리가 그것을 이해하도록 도와줍니다. 밤에 펼쳐지는 장면입니다. 유대인들의 지도자 중 한 사람이자 의롭고 마음이 열린 사람 (요한 7,50-51 참조) 인 니코데모가 예수님을 만나러 옵니다. 그는 빛과 인도를 원합니다. 그는 하느님을 찾기 위해 나자렛의 스승에게 도움을 청합니다. 나자렛의 스승이 예언자이고 놀라운 표징을 행하는 분이라는 것을 알기 때문입니다.
The Lord welcomes him, listens to him, and eventually reveals to him that the Son of Man must be lifted up, “so that whoever believes in him may have eternal life” (Jn 3:15), adding: “For God so loved the world that he gave his only Son, so that everyone who believes in him might not perish but might have eternal life” (v. 16). Nicodemus, who perhaps does not fully comprehend the meaning of these words in the moment, will certainly do so when he helps to bury the Savior’s body after the crucifixion (cf. Jn 19:39). It is then that he will understand that God, in order to redeem humanity, became man and died on the cross.
주님께서는 그를 환영하시고, 그의 말에 귀 기울이시고, 마침내 사람의 아들이 들어 올려져야 한다는 것을 그에게 알려 주시며, “믿는 사람은 누구나 사람의 아들 안에서 영원한 생명을 얻게 하려는 것이다.” (요한복음 3,15) 라고 말씀하십니다. 그리고 “하느님께서는 세상을 너무나 사랑하신 나머지 외아들을 내 주시어, 그를 믿는 사람은 누구나 멸망하지 않고 영원한 생명을 얻게 하셨다.” (16절) 라고 덧붙이십니다. 그 순간에 니코데모가 이 말씀의 의미를 온전히 이해하지 못할지라도, 십자가에 못 박히신 구세주의 시신을 무덤으로 옮기는 일을 도울 때 (요한복음 19,39 참조) 그는 분명 그 의미를 이해하게 될 것입니다. 그때 그는 하느님께서 인간을 구원하기 위해 사람이 되시어 십자가에서 죽으셨다는 것을 깨닫게 될 것입니다.
Jesus speaks of this to Nicodemus, recalling an episode in the Old Testament, when the Israelites were bitten by venomous snakes in the desert and were healed by looking upon the bronze serpent that Moses had fashioned and mounted on a pole in obedience to God’s command (cf. Num 21:4-9).
예수님께서는 니코데모에게 이 말씀을 하시면서, 이스라엘 백성이 광야에서 독사에 물렸을 때, 하느님의 명령에 따라 모세가 만들어 기둥에 매달았던 구리 뱀을 바라보고 나았던 구약성경의 한 에피소드를 언급하십니다. (민수기 21:4-9 참조)
God saves us by showing himself to us, offering himself as our companion, teacher, doctor, friend, to the point of becoming bread broken for us in the Eucharist. In order to accomplish this task, he used one of the cruelest instruments that human beings have ever invented: the cross.
하느님께서는 우리에게 자신을 드러내시고, 우리의 동반자, 스승, 의사, 친구로, 그리고 성찬례에서 우리를 위해 쪼개진 빵이 되시기까지 자신을 내어주심으로써, 우리를 구원하십니다. 이 사명을 완수하시기 위해 그분께서는 인간이 발명한 가장 잔혹한 도구 중 하나인 십자가를 사용하셨습니다.
That is why today we celebrate the “exultation”: for the immense love with which God has transformed the means to death into an instrument of life, embracing it for our salvation, teaching us that nothing can separate us from him (cf. Rom 8:35-39) and that his love is greater than our own sin (cf. Francis, Catechesis, 30 March 2016).
그것이 바로 우리가 오늘 “현양”을 기념하는 이유입니다. 하느님께서 죽음의 수단을 생명의 도구로 변화시키시고, 우리의 구원을 위해 십자가를 껴안으신 엄청난 사랑, 아무것도 우리를 하느님에게서 떼어놓을 수 없고, (로마 8,35-39 참조) 하느님의 사랑이 우리의 죄보다 더 크다는 (프란치스코, 교리교육, 2016년 3월 30일 참조) 그분의 가르침을 기념합니다.
Let us then ask, through the intercession of Mary, the Mother who was present at Calvary near her Son, that the saving love of her Son may take root in us and grow, and that we too may know how to give ourselves to each other, as he gave himself completely to all.
이제, 성모 마리아의 중재를 통해, 칼바리에서 아드님 가까이 계셨던 그 어머님께, 그분 아드님의 구원의 사랑이 우리 안에 뿌리를 내리고 자라서, 그분께서 모든 사람들에게 자신을 온전히 내어주신 것처럼 우리도 서로에게 자신을 내어줄 줄 알게 해주십사고 간청합시다.
After the Angelus
Dear brothers and sisters! Tomorrow marks the 60th anniversary of the establishment of the Synod of Bishops, a prophetic intuition desired by Saint Paul VI so that Bishops might increase and improve their exercise of communion with the Successor of Peter. It is my hope that this anniversary will inspire a renewed commitment to the unity and mission of the Church. *synodality
삼종기도 후
사랑하는 형제자매 여러분! 내일은 주교 시노드 설립 60주년이 됩니다. 이는 성 바오로 6세께서 주교들이 베드로의 후계자와의 친교를 더욱 증진하고 발전시키길 바라셨던 예언적 통찰입니다. 저는 이 기념일이 교회의 일치와 사명에 대한 새로운 헌신을 불러일으키기를 바랍니다. *시노드성
I affectionately greet all of you, faithful of Rome and pilgrims from Italy and various countries, especially those from Villa Alemana and Valparaíso in Chile, from the Archdiocese of Mwanza in Tanzania, from Humpolec in the Czech Republic, together with the Peruvians from the religious association Jesús Nazareno Cautivo. I also greet the faithful from Chiaiamari, Anitrella, Uboldo, Faeto, Lesmo, Trani, Faenza, Pistoia, San Martino in Sergnano, Guardia di Acireale, San Martino delle Scale in Palermo, and Alghero.
로마 신자 여러분, 그리고 이탈리아와 여러 나라에서 오신 순례자 여러분, 특히 칠레의 비야 알레마나와 발파라이소, 탄자니아 므완자 대교구, 체코 훔폴레츠, 그리고 예수스 나사렛노 카우티보 종교 단체 소속 페루 신자 여러분께 진심으로 인사드립니다. 또한 키아이아마리, 아니트렐라, 우볼도, 파에토, 레스모, 트라니, 파엔차, 피스토이아, 산 마르티노 인 세르냐노, 과르디아 디 아치레알레, 팔레르모의 산 마르티노 델레 스칼레, 그리고 알게로 신자 여러분께도 따뜻한 인사를 전합니다.
I also greet the bands of Borno and Sonico in Val Camonica, the “La Nuova Famiglia” Cooperative of Monza, the Regional Committee Pro Loco of Lazio, the Union of Catholic Apostolate, the young people of Don Bosco Youth-Net and the community of Communion and Liberation of Rome; as well as the Arti e Mestieri Association of Sant’Agata di Militello, the motorcyclists who came from Ravenna and the cyclists who came from Rovigo.
또한 발 카모니카의 보르노와 소니코 밴드, 몬차의 "라 누오바 파밀리아" 협동조합, 라치오의 지역 위원회 프로 로코, 가톨릭 사도직 연합, 돈 보스코 청년 네트워크의 청소년, 로마의 친교와 해방 공동체, 그리고 산타가타 디 밀리텔로의 아르티 에 메스티에리 협회, 라벤나에서 온 오토바이 운전자, 로비고에서 온 자전거 운전자에게도 인사드립니다.
Dear friends, it seems that you know that today I turn seventy years old. I give thanks to the Lord and to my parents; and I thank all those who have remembered me in their prayers. Many thanks to everyone! Thank you! Have a good Sunday!
사랑하는 친구 여러분, 오늘 제가 일흔 살이 된 것을 알고 계시는 것 같습니다. 주님과 부모님께 감사드리며, 기도로 저를 기억해 주신 모든 분들께도 감사드립니다. 모두에게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복된 주일 보내세요!
한글 번역: 윤영하 아오스딩
댓글목록 0